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정서노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사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정서노동과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1-1. 유아교사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정서노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사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정서노동과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1-1.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지능 이 조절하는가? 1-3.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가? 2.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정서노동 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가? 2-1.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을 정서지능이 조절하는가? 2-3.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어린이집 교사 655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알아보기 위해 Brotheridge와 Lee(2003), Kruml과 Geddes(2000)의 정서노동 척도를 이랑, 김완석, 신강현(2006)이 번안하고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2009)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순남(1999)과 서지영(2001)이 사용한 직무 만족도 도구를 이진화(2007)가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김현지(2006)가 구성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정서지능 척도(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강영숙(2007)이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번역한 도구를 조혜진, 김수연(2011)이 유아 교사에게 적합하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ettegrew와 Wolf(1982)가 개발한 측정도구, Iverson, Olekalns와 Erwin(1998)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기초로 이재일(2011)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가 표면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을 낮게 인식하며 내면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정서지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면행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정서노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사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정서노동과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1-1.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지능 이 조절하는가? 1-3.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가? 2.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정서노동 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가? 2-1.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을 정서지능이 조절하는가? 2-3. 유아교사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어린이집 교사 655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알아보기 위해 Brotheridge와 Lee(2003), Kruml과 Geddes(2000)의 정서노동 척도를 이랑, 김완석, 신강현(2006)이 번안하고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2009)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순남(1999)과 서지영(2001)이 사용한 직무 만족도 도구를 이진화(2007)가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김현지(2006)가 구성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정서지능 척도(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강영숙(2007)이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번역한 도구를 조혜진, 김수연(2011)이 유아 교사에게 적합하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ettegrew와 Wolf(1982)가 개발한 측정도구, Iverson, Olekalns와 Erwin(1998)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기초로 이재일(2011)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가 표면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을 낮게 인식하며 내면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정서지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면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면행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노동 유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It's specifically meant in this study to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It's specifically meant in this study to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offer full-fledged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es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in their job satisfaction?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1-1. What is the influence of a child-care teacher's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1-2. Does a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1-3. Does a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2-1. What is the influence of a child-care teacher's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2-2. Does a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2-3. Does a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5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child-care teacher has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implied that the child-care teacher who showed more surface acting found themselves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that the teachers who showed more deep acting found themselves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Secon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ir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mong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hows that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2.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no significant has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but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mplied that more deep acting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ed to a higher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ir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mong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s that social support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social supports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erefor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an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 and emotional labor should be given more emphasize i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s, and every institution should consider setting up an effective support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It's specifically meant in this study to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offer full-fledged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es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in their job satisfaction?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1-1. What is the influence of a child-care teacher's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1-2. Does a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1-3. Does a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job satisfac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2-1. What is the influence of a child-care teacher's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2-2. Does a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2-3. Does a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control the relations amo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5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child-care teacher has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implied that the child-care teacher who showed more surface acting found themselves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that the teachers who showed more deep acting found themselves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Secon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ir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mong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shows that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2.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no significant has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but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mplied that more deep acting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ed to a higher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ird, the analysis as t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mong emotional labor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s that social support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 It implied that the social supports of the child-care teacher stimulated their own deep acting to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Therefor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an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 and emotional labor should be given more emphasize i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s, and every institution should consider setting up an effective supporting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