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의 유서에 담긴 내용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자살 원인과 특성 분석, 자살자들의 정서 유형 분류, 자살자 유형 분류에 따른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에서 2012년 사이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 가운데 유서를 남기고 자살한 124건의 사례이며, 연구자료는 유서를 기본으로 하고, 사건기록, 유가족 면담 기록, 친구ㆍ동료들의 인터뷰 기록, 군의관 및 상담전문가의 상담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유서 내용에 대해 분석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병사 자살자의 유서에서 나타나는 정서요인은 집단별로 구분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자살자의 유서에 나타난 24개의 변인에 의해 산출된 모델을 분석한 결과 자살자들은 분노충동요인집단,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혼합요인집단 등 4가지 유형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자살자의 계급에 따라 정서요인집단간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정서요인집단과 계급의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특성은 없었다. 셋째, 정서요인집단별 자살방법 선택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도 기각되었다. 목맴, 투신, 총기자살, 기타 자살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정서요인집단 별 유의미한 특성은 찾을 수 없었다. 넷째, 정서요인집단별 유서의 길이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즉, 혼합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길었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분노충동요인집단 순이었고, 현실도피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짧았다. 마지막으로 자살자 정서요인집단별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에서 자살자 유형별 정서적 어휘 사용 빈도에 차이점이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혼합요인집단의 정서적 어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순이었고, 분노충동요인집단이 정서적 어휘를 가장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살자들이 남긴 유서에는 자살자가 자살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개인적ㆍ사회적ㆍ부대적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 등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고, 유서에 대한 분석은 자살자의 심리와 자살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자의 유서를 활용한 군 심리부검의 개선방안 및 ...
본 연구는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의 유서에 담긴 내용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자살 원인과 특성 분석, 자살자들의 정서 유형 분류, 자살자 유형 분류에 따른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에서 2012년 사이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 가운데 유서를 남기고 자살한 124건의 사례이며, 연구자료는 유서를 기본으로 하고, 사건기록, 유가족 면담 기록, 친구ㆍ동료들의 인터뷰 기록, 군의관 및 상담전문가의 상담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유서 내용에 대해 분석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병사 자살자의 유서에서 나타나는 정서요인은 집단별로 구분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자살자의 유서에 나타난 24개의 변인에 의해 산출된 모델을 분석한 결과 자살자들은 분노충동요인집단,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혼합요인집단 등 4가지 유형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자살자의 계급에 따라 정서요인집단간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정서요인집단과 계급의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특성은 없었다. 셋째, 정서요인집단별 자살방법 선택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도 기각되었다. 목맴, 투신, 총기자살, 기타 자살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정서요인집단 별 유의미한 특성은 찾을 수 없었다. 넷째, 정서요인집단별 유서의 길이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즉, 혼합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길었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분노충동요인집단 순이었고, 현실도피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짧았다. 마지막으로 자살자 정서요인집단별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에서 자살자 유형별 정서적 어휘 사용 빈도에 차이점이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혼합요인집단의 정서적 어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순이었고, 분노충동요인집단이 정서적 어휘를 가장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살자들이 남긴 유서에는 자살자가 자살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개인적ㆍ사회적ㆍ부대적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 등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고, 유서에 대한 분석은 자살자의 심리와 자살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자의 유서를 활용한 군 심리부검의 개선방안 및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의 유서에 담긴 내용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자살 원인과 특성 분석, 자살자들의 정서 유형 분류, 자살자 유형 분류에 따른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에서 2012년 사이 군복무 중 자살한 병사들 가운데 유서를 남기고 자살한 124건의 사례이며, 연구자료는 유서를 기본으로 하고, 사건기록, 유가족 면담 기록, 친구ㆍ동료들의 인터뷰 기록, 군의관 및 상담전문가의 상담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유서 내용에 대해 분석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병사 자살자의 유서에서 나타나는 정서요인은 집단별로 구분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자살자의 유서에 나타난 24개의 변인에 의해 산출된 모델을 분석한 결과 자살자들은 분노충동요인집단,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혼합요인집단 등 4가지 유형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자살자의 계급에 따라 정서요인집단간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정서요인집단과 계급의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특성은 없었다. 셋째, 정서요인집단별 자살방법 선택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도 기각되었다. 목맴, 투신, 총기자살, 기타 자살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정서요인집단 별 유의미한 특성은 찾을 수 없었다. 넷째, 정서요인집단별 유서의 길이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즉, 혼합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길었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분노충동요인집단 순이었고, 현실도피요인집단의 유서길이가 가장 짧았다. 마지막으로 자살자 정서요인집단별 정서적 어휘 사용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에서 자살자 유형별 정서적 어휘 사용 빈도에 차이점이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혼합요인집단의 정서적 어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내적요인집단, 현실도피요인집단 순이었고, 분노충동요인집단이 정서적 어휘를 가장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살자들이 남긴 유서에는 자살자가 자살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개인적ㆍ사회적ㆍ부대적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 등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고, 유서에 대한 분석은 자살자의 심리와 자살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자의 유서를 활용한 군 심리부검의 개선방안 및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ndeavors to find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icide by analyzing the suicide notes of soldiers. The study also attempts to group the soldiers based on their emotional factors and find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appeared in the suicide notes for ea...
This study endeavors to find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icide by analyzing the suicide notes of soldiers. The study also attempts to group the soldiers based on their emotional factors and find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appeared in the suicide notes for each grou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124 suicide notes written by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 during duty between 2008 and 2012. Research materials are based on suicide notes, records of suicide cases and interviews with bereaved family members, colleagues, military doctors and counselors. The SSA(Smallest Space Analysis) and the SPSS statistical methods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uicide notes. The first meaningful result from the study was that emotional factors from the suicide notes can be divided into groups. That is,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such as anger-impulsive factors group, internal factors group, escapism factors group and mixed factors group after an analysis of 24 variables from the suicide notes. Second, the hypothesis that shows a correlation between the rank of soldiers and the emotional factors group where they belong is rejected. There are no meaningful results between emotional factors groups and the rank of soldiers. Third, the hypothesis that show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suicide for each group is also rejected. There i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election of suicide method and the emotional factors group. Fourth, study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length of suicide notes vary for each emotional factors group. The mixed factors group had the longest length, followed by the internal factors group, anger-impulsive group and the escapism factors group. Finally, study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used in the suicide notes for each emotional factors group. The mixed factors group ha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the internal factors group, escapism factors group, and the anger-impulsive group. Overall, suicide notes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social, military and psychological causes that lead to the soldiers' suicide. Analysis of suicide notes is greatly helpful to identify the mental state of the soldiers and their cause of suicide. Political suggestions to prevent military suicide and enhance military psychological autopsy using suicide notes are sh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endeavors to find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icide by analyzing the suicide notes of soldiers. The study also attempts to group the soldiers based on their emotional factors and find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appeared in the suicide notes for each grou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124 suicide notes written by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 during duty between 2008 and 2012. Research materials are based on suicide notes, records of suicide cases and interviews with bereaved family members, colleagues, military doctors and counselors. The SSA(Smallest Space Analysis) and the SPSS statistical methods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uicide notes. The first meaningful result from the study was that emotional factors from the suicide notes can be divided into groups. That is,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such as anger-impulsive factors group, internal factors group, escapism factors group and mixed factors group after an analysis of 24 variables from the suicide notes. Second, the hypothesis that shows a correlation between the rank of soldiers and the emotional factors group where they belong is rejected. There are no meaningful results between emotional factors groups and the rank of soldiers. Third, the hypothesis that show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suicide for each group is also rejected. There i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election of suicide method and the emotional factors group. Fourth, study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length of suicide notes vary for each emotional factors group. The mixed factors group had the longest length, followed by the internal factors group, anger-impulsive group and the escapism factors group. Finally, study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used in the suicide notes for each emotional factors group. The mixed factors group ha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the internal factors group, escapism factors group, and the anger-impulsive group. Overall, suicide notes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social, military and psychological causes that lead to the soldiers' suicide. Analysis of suicide notes is greatly helpful to identify the mental state of the soldiers and their cause of suicide. Political suggestions to prevent military suicide and enhance military psychological autopsy using suicide notes are sh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