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들의 인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기관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셋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시설 및 가정연계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넷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및 법인 어린이집 종사자 3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김은실, 최은영, 조아라(2013)가 제시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설문지는 ...
본 연구는 영유아들의 인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기관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셋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시설 및 가정연계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넷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및 법인 어린이집 종사자 3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김은실, 최은영, 조아라(2013)가 제시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X²),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기관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태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기본생활의 습관 지도가 주를 이루어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원체계에서는 중앙 정부, 유아교육진흥원 또는 교육청, 보육정보센터 또는 지자체, 기관자체 교육, 사설기관 등의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시설 및 가정연계의 활성화 방안으로 생활습관지도, 도덕과 예절지도 및 교사의 모범행동 등의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와 부모 대상 교육 강화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의 조성해야 하겠다. 셋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의 내실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은 기관과 가정의 연계가 필요하며 효율적인 인성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의 조성과 전문기관의 정보의 제공이나 접근성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통로의 개설이 필요하다 하겠다. 셋째, 영유아를 위한 인성교육은 단순한 생활습관형성단계라는 인식을 넘어서서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정서적 인지적 기술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중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영유아들을 위한 인성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에 대한 지원체계에 있어서 전문기관이나 문화가정지원센터나 양로원 등과 관련한 간접적인 연계기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전인적인 인성교육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선진국의 인성교육의 실태와 성공사례들과 비교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영유아들의 인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기관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셋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시설 및 가정연계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넷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및 법인 어린이집 종사자 3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김은실, 최은영, 조아라(2013)가 제시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X²),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기관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태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기본생활의 습관 지도가 주를 이루어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원체계에서는 중앙 정부, 유아교육진흥원 또는 교육청, 보육정보센터 또는 지자체, 기관자체 교육, 사설기관 등의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시설 및 가정연계의 활성화 방안으로 생활습관지도, 도덕과 예절지도 및 교사의 모범행동 등의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와 부모 대상 교육 강화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의 조성해야 하겠다. 셋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의 내실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은 기관과 가정의 연계가 필요하며 효율적인 인성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의 조성과 전문기관의 정보의 제공이나 접근성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통로의 개설이 필요하다 하겠다. 셋째, 영유아를 위한 인성교육은 단순한 생활습관형성단계라는 인식을 넘어서서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정서적 인지적 기술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중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영유아들을 위한 인성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영유아들의 인성함양에 대한 지원체계에 있어서 전문기관이나 문화가정지원센터나 양로원 등과 관련한 간접적인 연계기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전인적인 인성교육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선진국의 인성교육의 실태와 성공사례들과 비교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real condi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to seek ways to activate advisable character education. To fulfill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infants organizations? Second, wha...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real condi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to seek ways to activate advisable character education. To fulfill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infants organizations? Second, what supporting system we have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Third, how to activate link between organizations and homes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Fourth, what are ways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304 people who dedicated to private and corporate daycare center. A tool for this study is based on revised version of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Choi and Cho(2013). Then, collected date went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ONE-WA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when asked about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respondents agreed on teaching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vision habits. Second, when it comes to supporting system, they need multiple supports from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e, office of education, local autonomous entity. They also need supports from their own organiza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rd, in order to activate link between organizations and homes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they want more specific teacher model. and teaching plans for habit guidance. Thus, this study shows following conclusion. First, training for teacher and parents needs to be reinforced for better character education. Second,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is needed to improv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Thir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needed to be supplemented for fruitfu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character education need link between organization and home. And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we need to offer more training for teacher and parents. Second, in order to cultivate environment for character education, we need to make gate to interchange professional information. Third, we should be aware of character education as a training for understanding other's emotions and control own emotions rather than simple habit building. Finally, followings are proposals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we need systematic research on education for improving character. Second, when it comes to supporting system, we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wholistic character education by studying other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professional institute, Culture and Family Supporting Center and nursing home. Third, we should compare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to extract objective data to apply for.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real condi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to seek ways to activate advisable character education. To fulfill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infants organizations? Second, what supporting system we have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Third, how to activate link between organizations and homes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Fourth, what are ways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304 people who dedicated to private and corporate daycare center. A tool for this study is based on revised version of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Choi and Cho(2013). Then, collected date went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ONE-WA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when asked about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respondents agreed on teaching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vision habits. Second, when it comes to supporting system, they need multiple supports from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e, office of education, local autonomous entity. They also need supports from their own organiza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rd, in order to activate link between organizations and homes to cultivate character for infants, they want more specific teacher model. and teaching plans for habit guidance. Thus, this study shows following conclusion. First, training for teacher and parents needs to be reinforced for better character education. Second,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is needed to improv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Thir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needed to be supplemented for fruitfu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character education need link between organization and home. And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we need to offer more training for teacher and parents. Second, in order to cultivate environment for character education, we need to make gate to interchange professional information. Third, we should be aware of character education as a training for understanding other's emotions and control own emotions rather than simple habit building. Finally, followings are proposals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we need systematic research on education for improving character. Second, when it comes to supporting system, we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wholistic character education by studying other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professional institute, Culture and Family Supporting Center and nursing home. Third, we should compare real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to extract objective data to apply fo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