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실제편의 음악교육 활동 분석을 통해 음악교육 내용이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5가지 영역인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각 영역의 내용범주와 내용의 관련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목표는 지식, 기술, 태도의 목표 범주에 따라 분석 하였고, 활동내용은 대학교재에서 다루는 음악교육 내용인 소리탐색,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음악 창작, 음악극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주제는 누리과정 지도서의 생활주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자료는 일상적 자료, 음향자료, 동영상, 악보, 악기, 노랫말자료, 사진 및 그림/글, 생물 및 자연물의 자료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반영된 누리과정 관련 요소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목표는 어떠 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내용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생활주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5.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제시된 활동 자료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실제편의 음악교육 활동 분석을 통해 음악교육 내용이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5가지 영역인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각 영역의 내용범주와 내용의 관련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목표는 지식, 기술, 태도의 목표 범주에 따라 분석 하였고, 활동내용은 대학교재에서 다루는 음악교육 내용인 소리탐색,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음악 창작, 음악극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주제는 누리과정 지도서의 생활주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자료는 일상적 자료, 음향자료, 동영상, 악보, 악기, 노랫말자료, 사진 및 그림/글, 생물 및 자연물의 자료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반영된 누리과정 관련 요소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목표는 어떠 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내용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생활주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5.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제시된 활동 자료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예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내용으로 2012년에 개발된 누리과정이 반영된 대학교재 총 13권에 수록된 음악활동 576개이다. 음악활동의 누리과정관련요소, 활동목표, 활동내용, 생활주제, 활동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누리과정 지도서, 선정된 13권 음악교육 대학교재, 음악활동 분석 선행연구(김미정, 김희태, 2012; 김효진, 2007; 황인주, 2008)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기준을 토대로 활동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반영된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예술경험 영역, 사회관계 영역, 자연탐구 영역, 신체운동·건강 영역, 의사소통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영역은 예술경험 영역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낸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누리과정 관련요소 중 예술경험 영역에 치중되어 있으며, 그 외의 영역에서는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통합빈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교육 실제계획 부분에 있어서 타 영역과의 통합 내용에 대한 균형있는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목표를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과 관련 목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지식과 관련한 목표, 태도와 관련한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과 관련한 목표의 빈도가 지식과 태도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인 것으로 음악교육의 실제계획에 있어서 지식, 기술, 태도의 균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내용은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신체표현, 음악 감상, 소리탐색, 음악극, 음악 창작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내용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노래 부르기였으며, 악기 다루기, 신체표현, 음악 감상이 그 뒤로 많았고, 그 외의 3가지 소리탐색, 음악극, 음악 창작의 내용은 다소 낮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노래 부르기와 일부 내용에만 치중되어 있어 음악교육 실제계획에 있어서 음악교육내용의 균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생활주제는 봄·여름·가을·겨울,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생활도구, 우리나라,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세계 여러 나라, 나와 가족, 건강과 안전, 교통기관, 우리 동네, 기타 순으로 나타났으며, 봄·여름·가을·겨울,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생활도구 주제의 활동은 대체로 비슷한 빈도를 보이며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 건강과 안전, 교통기관, 우리 동네의 주제는 다른 주제의 비해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유아음악 대학교재 활동의 생활주제간에 빈도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활주제간 활동 수의 균형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제시된 활동자료는 악기, 일상적 자료, 음향자료, 사진 및 그림/글, 노랫말 자료, 악보, 생물 및 자연물, 동영상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재 음악교육활동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활동자료는 악기였으며,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낸 활동자료는 동영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서 악기의 활용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누리과정관련요소, 활동목표, 활동내용, 생활주제, 활동자료에서 다소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유치원 교사들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배웠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반영하여 교육하기 때문에(신금호, 2013; 장은주, 김영연, 2010)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음악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을 구성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좀 더 균형있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실제편의 음악교육 활동 분석을 통해 음악교육 내용이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5가지 영역인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각 영역의 내용범주와 내용의 관련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목표는 지식, 기술, 태도의 목표 범주에 따라 분석 하였고, 활동내용은 대학교재에서 다루는 음악교육 내용인 소리탐색,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음악 창작, 음악극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주제는 누리과정 지도서의 생활주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자료는 일상적 자료, 음향자료, 동영상, 악보, 악기, 노랫말자료, 사진 및 그림/글, 생물 및 자연물의 자료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반영된 누리과정 관련 요소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목표는 어떠 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내용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생활주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5.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제시된 활동 자료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예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내용으로 2012년에 개발된 누리과정이 반영된 대학교재 총 13권에 수록된 음악활동 576개이다. 음악활동의 누리과정관련요소, 활동목표, 활동내용, 생활주제, 활동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누리과정 지도서, 선정된 13권 음악교육 대학교재, 음악활동 분석 선행연구(김미정, 김희태, 2012; 김효진, 2007; 황인주, 2008)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기준을 토대로 활동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반영된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예술경험 영역, 사회관계 영역, 자연탐구 영역, 신체운동·건강 영역, 의사소통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영역은 예술경험 영역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낸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누리과정 관련요소 중 예술경험 영역에 치중되어 있으며, 그 외의 영역에서는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통합빈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교육 실제계획 부분에 있어서 타 영역과의 통합 내용에 대한 균형있는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목표를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과 관련 목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지식과 관련한 목표, 태도와 관련한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과 관련한 목표의 빈도가 지식과 태도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인 것으로 음악교육의 실제계획에 있어서 지식, 기술, 태도의 균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음악교육내용은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신체표현, 음악 감상, 소리탐색, 음악극, 음악 창작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내용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노래 부르기였으며, 악기 다루기, 신체표현, 음악 감상이 그 뒤로 많았고, 그 외의 3가지 소리탐색, 음악극, 음악 창작의 내용은 다소 낮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노래 부르기와 일부 내용에만 치중되어 있어 음악교육 실제계획에 있어서 음악교육내용의 균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의 생활주제는 봄·여름·가을·겨울,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생활도구, 우리나라,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세계 여러 나라, 나와 가족, 건강과 안전, 교통기관, 우리 동네, 기타 순으로 나타났으며, 봄·여름·가을·겨울,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생활도구 주제의 활동은 대체로 비슷한 빈도를 보이며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 건강과 안전, 교통기관, 우리 동네의 주제는 다른 주제의 비해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유아음악 대학교재 활동의 생활주제간에 빈도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활주제간 활동 수의 균형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 제시된 활동자료는 악기, 일상적 자료, 음향자료, 사진 및 그림/글, 노랫말 자료, 악보, 생물 및 자연물, 동영상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재 음악교육활동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활동자료는 악기였으며,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낸 활동자료는 동영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에서 악기의 활용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이 누리과정관련요소, 활동목표, 활동내용, 생활주제, 활동자료에서 다소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유치원 교사들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배웠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반영하여 교육하기 때문에(신금호, 2013; 장은주, 김영연, 2010)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음악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실제편 활동을 구성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좀 더 균형있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university textbook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analyze the exemplary classroom activities inside the textbook to examine the balance of the structure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 thorough investigation, refl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Nuri Curric...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university textbook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analyze the exemplary classroom activities inside the textbook to examine the balance of the structure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 thorough investigation, refl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Nuri Curriculum and the textbook activity, the activity content was accordingly matched up with five curriculum domains; Physical excercise &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Art experience, and Nature exploration. The goal of activity in the textbook was put into three division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e activity content from the textbook was categorized into sound exploration, singing, movements, playing instruments, listening music, composition, and music drama. The theme of activity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Nuri Curriculum. Lastly, the teaching material fell into a number of categories; audio resource, video clips, music sheets, instruments, lyrics, photos and drawings, and living things or objects from nature. Based on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ich domain of Nuri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to the content of the music textbook activity? Second, how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state the goal? Third, what musical content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contain? Forth, which theme of Nuri curriculum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adopt? Fifth, what kind of resources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u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76 music activities collected from 13 Nuri curriculum-reflected music textbooks for pre-service teachers. All activities were subject to contrast to the degree of relevance to Nuri curriculum, objectives, activity contents, activity theme and teaching material. Prior research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analysis standard. After the standard had been set, the frequency of the result wa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percentage. In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as for the first question, in terms of Nuri Curriculum, Art experience was highly related and adopted in music activity from the textbook. The rest of the other domains are listed in the order of Social relationship, Nature exploration, Physical exercise& Health, and Communication. Art experience took up more than 50% out of all domains, while Commucation showed the lowest frequency. This result explains the preference gap among each domain and need of balanced decision on planning music activity. Second, after the activity goal was filtered into the domai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t appeared that skill-related goals took a large portion among the textbook activities. It actually outnumbered the sum of knowledge-related goals and attitude-related goal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e curricular balance amo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in lesson planning. Third, activities showed high frequency from the textbook are as follow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ovements, listening to music, sound exploration, music drama, and composition. The most common activity from the textbook w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ovements, listening to music were comparably high, but lower than singing. However, activities like sound exploration, music drama, and composition were relatively rare in the textbook. It implies the lack of diversity in music activity that requires teachers to exercise various activities. Forth, the frequent theme of activity based on Nuri curriculum was listed as follows: Four seasons(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Animals, Plants, and Nature, Environment and Life, Appliances, My country, Kindergarten/Daycare Center and Friends,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Me and My Family, Health and Safety, Transportaion, My neighborhood, etc. There was little discrepancy among 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Animal, Plants, and Nature, Environment and Life, and Appliances, but showed similar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mes like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Health and Safety, Transportation, and My neighborhood displayed relatively low frequency in music textbook activity. Overall, there was noticeable gap among the theme, which calls for the effort to minimize the imbalance. Fifth, the categorization of teaching resources in music textbook showed the order of frequently used materials as follows: instruments, tools from daily life, audio resource, photo and drawing/writing, lyrics, music sheets, living things and living nature, and video clips. Instruments scored the highest frequency, while video clips were the lowest, which explains the usage of instruments is fairly common. In conclusion, music activities in university textbook generally showed a sign of disproportion in curricular domain, objectives, contents, activity theme, and teach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impact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the classroom, it seems necessary to put more weight on balance in plann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university textbook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analyze the exemplary classroom activities inside the textbook to examine the balance of the structure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 thorough investigation, refl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Nuri Curriculum and the textbook activity, the activity content was accordingly matched up with five curriculum domains; Physical excercise &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Art experience, and Nature exploration. The goal of activity in the textbook was put into three division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e activity content from the textbook was categorized into sound exploration, singing, movements, playing instruments, listening music, composition, and music drama. The theme of activity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Nuri Curriculum. Lastly, the teaching material fell into a number of categories; audio resource, video clips, music sheets, instruments, lyrics, photos and drawings, and living things or objects from nature. Based on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ich domain of Nuri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to the content of the music textbook activity? Second, how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state the goal? Third, what musical content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contain? Forth, which theme of Nuri curriculum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adopt? Fifth, what kind of resources does the music textbook activity u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76 music activities collected from 13 Nuri curriculum-reflected music textbooks for pre-service teachers. All activities were subject to contrast to the degree of relevance to Nuri curriculum, objectives, activity contents, activity theme and teaching material. Prior research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analysis standard. After the standard had been set, the frequency of the result wa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percentage. In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as for the first question, in terms of Nuri Curriculum, Art experience was highly related and adopted in music activity from the textbook. The rest of the other domains are listed in the order of Social relationship, Nature exploration, Physical exercise& Health, and Communication. Art experience took up more than 50% out of all domains, while Commucation showed the lowest frequency. This result explains the preference gap among each domain and need of balanced decision on planning music activity. Second, after the activity goal was filtered into the domai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t appeared that skill-related goals took a large portion among the textbook activities. It actually outnumbered the sum of knowledge-related goals and attitude-related goal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e curricular balance amo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in lesson planning. Third, activities showed high frequency from the textbook are as follow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ovements, listening to music, sound exploration, music drama, and composition. The most common activity from the textbook w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ovements, listening to music were comparably high, but lower than singing. However, activities like sound exploration, music drama, and composition were relatively rare in the textbook. It implies the lack of diversity in music activity that requires teachers to exercise various activities. Forth, the frequent theme of activity based on Nuri curriculum was listed as follows: Four seasons(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Animals, Plants, and Nature, Environment and Life, Appliances, My country, Kindergarten/Daycare Center and Friends,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Me and My Family, Health and Safety, Transportaion, My neighborhood, etc. There was little discrepancy among 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Animal, Plants, and Nature, Environment and Life, and Appliances, but showed similar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mes like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Health and Safety, Transportation, and My neighborhood displayed relatively low frequency in music textbook activity. Overall, there was noticeable gap among the theme, which calls for the effort to minimize the imbalance. Fifth, the categorization of teaching resources in music textbook showed the order of frequently used materials as follows: instruments, tools from daily life, audio resource, photo and drawing/writing, lyrics, music sheets, living things and living nature, and video clips. Instruments scored the highest frequency, while video clips were the lowest, which explains the usage of instruments is fairly common. In conclusion, music activities in university textbook generally showed a sign of disproportion in curricular domain, objectives, contents, activity theme, and teach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impact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the classroom, it seems necessary to put more weight on balance in plann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