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총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구미란(2005)의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의 실제에 사용된 설문지와 김영미(2010)의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에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였고,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설문지는 송선화(2012)의 유아음악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변량분석(MANOVA)과 사후검증 Scheffé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어려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 지도 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을 조사한 결과, ‘신체표현 및 창의적 표현활동’이 가장 많았고,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을 조사한 결과,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 개념지도’, ‘음악수업 운영’, ‘기타’ 순으로 나타 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음악적 개념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 실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열째, 유아음악교육에서 물리적 환경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기관의 예산부족으로 교재, 교구 및 악기 구입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았고, ‘활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교재, 교구 및 악기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나 장소에 있지 않아서’,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반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부딪히므로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고,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총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구미란(2005)의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의 실제에 사용된 설문지와 김영미(2010)의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에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였고,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설문지는 송선화(2012)의 유아음악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변량분석(MANOVA)과 사후검증 Scheffé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어려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 지도 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을 조사한 결과, ‘신체표현 및 창의적 표현활동’이 가장 많았고,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을 조사한 결과,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 개념지도’, ‘음악수업 운영’, ‘기타’ 순으로 나타 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음악적 개념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 실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열째, 유아음악교육에서 물리적 환경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기관의 예산부족으로 교재, 교구 및 악기 구입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았고, ‘활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교재, 교구 및 악기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나 장소에 있지 않아서’,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반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부딪히므로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고,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n,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carrying out quality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n,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carrying out quality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concentrat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different i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ing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our weeks from November 27th to December 27th, 2018 and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ults. Regarding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he tool is based on the tool used in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performed by Ku Mi-Ran(2005) and Kim Young-Mi(2010) and the tool used in the study of investigating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who perform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chieved by Song Seon-hwa(2012).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determined study issues. Fir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MANOVA and Scheffé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wareness. Second,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chi-square test(x2)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ifficult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s or higher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ir educational goal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 role of teacher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Fourth,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teach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lacking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Fifth, according to a survey of children's most difficult activiti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ody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were "handling instruments," "listening to music," "singing" and "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ooking a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s background.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ost difficult s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activity type"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eaching musical concept," "managing music classe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Seven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usical concept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teaching or basic skill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Eigh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lacking in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professor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Ni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class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by teachers," "environment insufficient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followed.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why find it difficult to utiliz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dget by the institution, it was most difficult to purchase teaching materials, dioceses and instruments,” “because they are not in a position or place where they can be used easily,” and "other" were found in ord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very high. While there is a high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has various difficulties in providing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solutions are available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infant music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fant music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n,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carrying out quality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concentrat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different i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ing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our weeks from November 27th to December 27th, 2018 and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ults. Regarding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he tool is based on the tool used in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performed by Ku Mi-Ran(2005) and Kim Young-Mi(2010) and the tool used in the study of investigating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who perform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chieved by Song Seon-hwa(2012).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determined study issues. Fir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MANOVA and Scheffé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wareness. Second,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chi-square test(x2)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ifficult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s or higher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ir educational goal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 role of teacher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Fourth,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teach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lacking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Fifth, according to a survey of children's most difficult activiti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ody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were "handling instruments," "listening to music," "singing" and "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ooking a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s background.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ost difficult s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activity type"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eaching musical concept," "managing music classe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Seven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usical concept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teaching or basic skill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Eigh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lacking in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professor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Ni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class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by teachers," "environment insufficient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followed.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why find it difficult to utiliz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dget by the institution, it was most difficult to purchase teaching materials, dioceses and instruments,” “because they are not in a position or place where they can be used easily,” and "other" were found in ord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very high. While there is a high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has various difficulties in providing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solutions are available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infant music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fant music program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