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녀를 양육하는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직장생활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Employment of Married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Rearing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1, 2020년, pp.39 - 51  

조현미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간호부) ,  최은정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rried North Korean women's child-rearing, working lives, and their home and work environment in depth. Methods: This study adopt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o qualitatively analyze data. The participants were 8 marri...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 9월 통일부에서 발표한 북한이탈주민 중 남한입국자 중 여성은 몇 퍼센트인가? 2018년 9월 통일부에서 발표한 북한이탈주민 중 남한입국자 누적수는 약 32,523여명이며[1], 그중 여성이 72.1%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2]. 이는 다양해진 탈북경로와 장기간 이동하는데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이탈여성의 입국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3].
북한이탈주민 중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이유는? 1%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2]. 이는 다양해진 탈북경로와 장기간 이동하는데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이탈여성의 입국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3]. 이것은 여성이 북한이탈시 제3국을 경유하는 경우 중국인과의 사실혼 관계 등이 국경이동을 수월하게 해주는 점과[4] 여성이 남성보다 은닉이 쉽고, 중국에서 여성의 수요가 있다는 점[5] 때문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이탈 기혼 여성들이 심리적 어려움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문제점은? 이러한 자녀상실의 죄책감 및 모성역할의 힘겨움은 북한이탈남성이나 미혼여성에 비해 북한이탈 기혼여성들에게 더욱 복잡하고 고통이 가중된 상황을 안겨줄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어려움이 원인이 되어 신체화 증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경험하기도 하면서 직장생활 유지와 적응적 삶으로의 변화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7]. 이와 같은 현실은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접근이 필요함을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North Korean refugees' entry status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cited 2019 Dec 31].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status/lately/. 

  2.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policy for North Korean refugees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cited 2019 Dec 31]. Available from: https://www.data.go.kr/dataset/15019661/fileData.do. 

  3. Chae KH.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0):524-530.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524 

  4. Kang CY. A study on the life situation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China. Journal of Women’s Studies. 2004;19:59-77. 

  5. Kim TH, No CY.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voice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s in Chin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3;41(8):1-17. 

  6. Cho YA, Jeon WT. A qualitative study of North Korea wome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5;10(1):17-35. 

  7. Han IY, Ku HJ, Oh SK. A study on sex knowledge among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0;15(1):87-102. https://doi.org/10.18205/kpa.2010.15.1.005 

  8. Park SY. Reconstruction of life histor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exodus from self-reliance (Juche) ideology to the il-lusion of capitalism.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2017;11(2):5-30. 

  9. Kim HK. Lived experience of resilience for North Korean refugee woman who has lived in North Korea and China. Gender and Culture. 2011;4(2):7-36. 

  10. Lee EJ. A qualitative study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job-seeking strategies. Korea Science and Art Forum. 2017;27:173-189. https://doi.org/10.17548/ksaf.2017.01.27.173 

  11. Jun MH. An autobiographical-narrative analysis of an North Korean woman's adaption process: Marginality to creative core.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017;28(3):145-176. https://doi.org/10.23909/KJCC.2017.08.28.3.145 

  12. Cho YA. The experiences of child reunification among North Korean women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24(1):197-222. 

  13. Han SO, Lee GS.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marriage between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and South Korean man. Journal of Women’s Studies. 2014;24(2):197-233. 

  14. Jang JE, Choi JS.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adolesc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5;46(4):375-419. https://doi.org/10.16999/kasws.2015.46.4.375 

  15. Yang MS. Lee DH. Study on life history of an elderl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10):120-139.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120 

  16. Lee SP, Kouh HJ. Building of group program for female saeteomin's early settl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325-331.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325 

  17. Jang MS, Lee AR.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support policy strategies for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eoul. Seoul: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Research; 2009 Dec. Report No.: 2009-Policy Development-028. 

  18. Hong SA.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their settlement tasks: From the family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013;25(2):173-205. 

  19.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p. 1-173. 

  20. Kang YW, Lim CH, Lee HC. North Korean refugees' life in South Kore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es.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2010;24:459-490. https://doi.org/10.17968/jcek.2010..24.014 

  21.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985. p. 289-331. 

  22. Kim JT, Kim KW, Moon BG. A study on the adaptation and barrier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n workplace. Multiculture and Peace. 2016;10(2):29-52. https://doi.org/10.22446/mnpisk.2016.10.2.002 

  23. Lee JM, Hwang S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Social Welfare Policy. 2008;33(1):61-84. https://doi.org/10.15855/swp.2008..33.61 

  24. Cho YA, Jeun WT, Yu JJ, Um JS.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 3-year follow-up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5;17(2): 467-484. 

  25. Han IY. Depressive trait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01;11:78-94. 

  26. Hong NM, Lee IJ, Kim GE, Park GH, Choi YH. Study on the experience of defecting North Korea women in South Korea: Grounded theor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0;41(1):307-343. https://doi.org/10.16999/kasws.2010.41.1.307 

  27. Rhee YS, Koo HW, Han IY. Systematic reviews of North Korean refugees: Women’s distinguishable experienc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011;23(2):147-194. 

  28. Lee KJ, Kim JY, Lee KH, Kim YM, Yang MJ, Choi YS, et al. A study on the adaptation and depres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7;41:14-2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