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드라마 제작에 실질적인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드라마 작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드라마 작가로 성장하며 어떠한 직업 정체성을 가지고 드라마 작가로 생존하는지, 또 그들이 관계 맺는 감독, 배우, 방송사, 제작사들과 어떤 권력관계 속에서 어떤 문제로 갈등 혹은 타협하면서 드라마를 만드는지에 대해 드라마 생산과정의 맥락 속에서 논의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라는 순환 과정 중에 생산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며 생산자들이 상호작용 하는 힘 속에서 드라마 작가와 그들과 협업하는 감독, 배우, 기획자(방송사), 제작사 등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
이 연구는 드라마 제작에 실질적인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드라마 작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드라마 작가로 성장하며 어떠한 직업 정체성을 가지고 드라마 작가로 생존하는지, 또 그들이 관계 맺는 감독, 배우, 방송사, 제작사들과 어떤 권력관계 속에서 어떤 문제로 갈등 혹은 타협하면서 드라마를 만드는지에 대해 드라마 생산과정의 맥락 속에서 논의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라는 순환 과정 중에 생산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며 생산자들이 상호작용 하는 힘 속에서 드라마 작가와 그들과 협업하는 감독, 배우, 기획자(방송사), 제작사 등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택하였으며 2015년 3월 4일부터 2015년 10월 15일까지 약 8개월에 걸쳐 드라마 작가 14명, 감독 5명, 방송사 기획자와 편성담당자(CP/EP/BM) 4명, 제작자와 소속 프로듀서 4명, 연예기획사 대표 및 배우 3명 등 총 30명의 드라마 생산자들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현상들을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두껍게 기술(thick description)’ 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였으며, 심층인터뷰 이외에도 월간 <방송작가>와 언론 기사 등의 질적 자료들을 조합하여 분석하였다. 1956년 첫 TV 드라마 <사형수>가 방송된 이후에 드라마 제작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드라마 작가의 역할과 노동의 성격도 상당부분 달라졌고, 특히 1991년 외주제작정책 이후에는 드라마 작가들과 감독, 제작사, 연예기획사, 방송사들의 역학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드라마 제작시스템의 변화와 자기만족을 추구하면서도 동시 자기 착취적인 미디어 노동의 특징 등을 큰 맥락에 위치시키며 드라마 작가를 중심으로 한 드라마 생산자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은 창작에 대한 열망과 운명적인 선택, 보다 나은 사회적·경제적 처우가 동기가 되어 드라마 작가가 되는 길에 들어서지만 습작기부터 치열한 경쟁에 시달리고, 혹독한 보조 작가 생활을 경험하는 등 새로운 어려움에 직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예능 구성작가들의 드라마 작가 입성이 활발해졌는데, 이는 비드라마 작가인 교양·예능 구성작가들의 처우가 드라마 작가에 비해 매우 열악한데다가 드라마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구성작가들의 참여 가능성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단막극이 없어지고 드라마 제작이 외주 제작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 환경은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이 드라마 데뷔를 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드라마 작가들은 드라마 쓰는 일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천형(天刑)으로 느낄 만큼 고통스러워하면서도 글을 써야하는 고독한 창작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고, 무슨 일이 닥쳐도 제 시간 내에서 드라마를 써내야 하는 미디어 노동을 수행하는 생산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으며, 성공만 하면 높은 원고료를 받을 수 있는 불안정한 고소득 수입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다. 또한 사람들에게 기쁨과 위로를 주는 사회공헌자로서의 정체성, 시청률로 대중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화산업 내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정체성 등을 가지고 있다. 드라마 작가들은 경쟁이 심한 드라마 산업 내에서 나름대로 생존해 나가면서 고도의 정치력을 갖춘 전략가, 실패와 좌절 속에 방황하는 창작자로서 원고료 차이로 형성된 계급 사회에 순응하는 특성을 띠고 있다. 드라마 생산자들의 갈등은 드라마 대본의 저작권을 가진 작가와 편성권을 가진 방송사의 힘을 배경으로 하는 감독, 그리고 경제적 자본을 소유한 제작자와 문화적 자본을 무기로 드라마 생산에 개입하려는 배우가 끊임없이 권력다툼을 하면서 발생한다. 이 갈등은 우리나라의 드라마 생산과정이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체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편성이 결정되거나 취소되는, 불안정적인 시스템에 있기 때문에 더욱 치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불합리한 방송 시스템에서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과 신인작가들은 작가로 성장하는데 큰 어려움 겪고 있으며 시청률로 인정받은 인기 작가들은 드라마 제작 전반을 주도하고 책임지는 프로듀서로서 역할을 하는 등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또 드라마 생산자들은 더욱 더 상업화 되는 드라마 제작환경 속에서 드라마 생산자들은 권력, 경제적 이득, 창의적 노동에 대한 열망을 놓고 치열하게 갈등을 벌이고 있었다. 드라마 생산자들의 권력은 기획 단계, 편성 단계, 제작 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갈등을 만들어 낸다. 초기 대본과 시놉시스를 개발하는 드라마 기획 단계에서는 자본을 가진 제작자의 권력이 극대화 되는 시기로, 신인작가들은 제작사의 요구에 휘둘리며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제작사의 요구에 맞춰 대본을 개발하고, 인기 작가들은 제작사와 계약함으로써 드라마 내용, 편성, 캐스팅 등을 모두 책임지는 프로듀서 역할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개발에 있어서 주도권이 없는 신인작가들은 표면적으로는 제작사의 권력에 순응하면서도 방송사와 직접 거래를 모색하는 등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전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다. 드라마 편성 단계에서는 방송사의 권력이 가장 막강한 시기로 방송사를 대표하는 기획자(CP/EP)의 선택과 판단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계는 방송사가 제작사로부터 제출된 수많은 드라마 기획안 중에 드라마를 제작할 것을 정해서 드라마 시간대에 편성을 확정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드라마 작가들은 편성의 벽을 느끼고 편성 전쟁을 치르며 뒤늦게 합류한 감독들과 불협화음을 겪기도 하며 작가가 교체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일들을 경험한다. 촬영을 시작해서 본격적인 제작 과정에 진입하는 드라마 제작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제작사와 방송사 기획자의 권력은 약해지고 드라마를 실질적으로 끌어가는 감독과 작가의 권력이 강해진다. 동시에 이 두 사람의 갈등이 첨예하게 부딪혀 드라마 내용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등 권력의 쏠림에 따라 다양한 갈등이 표출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그동안 미디어 생산자 영역에서 거의 공백으로 남겨져 있던 드라마 생산자들에게 집중하여 드라마 작가들에 대해 조명하고, 드라마 생산자들 사이에 갈등을 관찰하면서 이들 사이에 내밀하게 작용되고 있는 힘들과 상호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드라마 작가들의 스토리텔링 전략 등 드라마 작가들의 세밀한 작업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적은 점, 방송사나 제작사, 연예기획사의 입장이 상대적으로 적게 기술된 점은 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해 더욱 더 정교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드라마 제작에 실질적인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드라마 작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드라마 작가로 성장하며 어떠한 직업 정체성을 가지고 드라마 작가로 생존하는지, 또 그들이 관계 맺는 감독, 배우, 방송사, 제작사들과 어떤 권력관계 속에서 어떤 문제로 갈등 혹은 타협하면서 드라마를 만드는지에 대해 드라마 생산과정의 맥락 속에서 논의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라는 순환 과정 중에 생산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며 생산자들이 상호작용 하는 힘 속에서 드라마 작가와 그들과 협업하는 감독, 배우, 기획자(방송사), 제작사 등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택하였으며 2015년 3월 4일부터 2015년 10월 15일까지 약 8개월에 걸쳐 드라마 작가 14명, 감독 5명, 방송사 기획자와 편성담당자(CP/EP/BM) 4명, 제작자와 소속 프로듀서 4명, 연예기획사 대표 및 배우 3명 등 총 30명의 드라마 생산자들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현상들을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두껍게 기술(thick description)’ 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였으며, 심층인터뷰 이외에도 월간 <방송작가>와 언론 기사 등의 질적 자료들을 조합하여 분석하였다. 1956년 첫 TV 드라마 <사형수>가 방송된 이후에 드라마 제작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드라마 작가의 역할과 노동의 성격도 상당부분 달라졌고, 특히 1991년 외주제작정책 이후에는 드라마 작가들과 감독, 제작사, 연예기획사, 방송사들의 역학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드라마 제작시스템의 변화와 자기만족을 추구하면서도 동시 자기 착취적인 미디어 노동의 특징 등을 큰 맥락에 위치시키며 드라마 작가를 중심으로 한 드라마 생산자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은 창작에 대한 열망과 운명적인 선택, 보다 나은 사회적·경제적 처우가 동기가 되어 드라마 작가가 되는 길에 들어서지만 습작기부터 치열한 경쟁에 시달리고, 혹독한 보조 작가 생활을 경험하는 등 새로운 어려움에 직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예능 구성작가들의 드라마 작가 입성이 활발해졌는데, 이는 비드라마 작가인 교양·예능 구성작가들의 처우가 드라마 작가에 비해 매우 열악한데다가 드라마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구성작가들의 참여 가능성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단막극이 없어지고 드라마 제작이 외주 제작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 환경은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이 드라마 데뷔를 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드라마 작가들은 드라마 쓰는 일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천형(天刑)으로 느낄 만큼 고통스러워하면서도 글을 써야하는 고독한 창작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고, 무슨 일이 닥쳐도 제 시간 내에서 드라마를 써내야 하는 미디어 노동을 수행하는 생산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으며, 성공만 하면 높은 원고료를 받을 수 있는 불안정한 고소득 수입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졌다. 또한 사람들에게 기쁨과 위로를 주는 사회공헌자로서의 정체성, 시청률로 대중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화산업 내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정체성 등을 가지고 있다. 드라마 작가들은 경쟁이 심한 드라마 산업 내에서 나름대로 생존해 나가면서 고도의 정치력을 갖춘 전략가, 실패와 좌절 속에 방황하는 창작자로서 원고료 차이로 형성된 계급 사회에 순응하는 특성을 띠고 있다. 드라마 생산자들의 갈등은 드라마 대본의 저작권을 가진 작가와 편성권을 가진 방송사의 힘을 배경으로 하는 감독, 그리고 경제적 자본을 소유한 제작자와 문화적 자본을 무기로 드라마 생산에 개입하려는 배우가 끊임없이 권력다툼을 하면서 발생한다. 이 갈등은 우리나라의 드라마 생산과정이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체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편성이 결정되거나 취소되는, 불안정적인 시스템에 있기 때문에 더욱 치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불합리한 방송 시스템에서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과 신인작가들은 작가로 성장하는데 큰 어려움 겪고 있으며 시청률로 인정받은 인기 작가들은 드라마 제작 전반을 주도하고 책임지는 프로듀서로서 역할을 하는 등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또 드라마 생산자들은 더욱 더 상업화 되는 드라마 제작환경 속에서 드라마 생산자들은 권력, 경제적 이득, 창의적 노동에 대한 열망을 놓고 치열하게 갈등을 벌이고 있었다. 드라마 생산자들의 권력은 기획 단계, 편성 단계, 제작 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갈등을 만들어 낸다. 초기 대본과 시놉시스를 개발하는 드라마 기획 단계에서는 자본을 가진 제작자의 권력이 극대화 되는 시기로, 신인작가들은 제작사의 요구에 휘둘리며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제작사의 요구에 맞춰 대본을 개발하고, 인기 작가들은 제작사와 계약함으로써 드라마 내용, 편성, 캐스팅 등을 모두 책임지는 프로듀서 역할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개발에 있어서 주도권이 없는 신인작가들은 표면적으로는 제작사의 권력에 순응하면서도 방송사와 직접 거래를 모색하는 등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전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다. 드라마 편성 단계에서는 방송사의 권력이 가장 막강한 시기로 방송사를 대표하는 기획자(CP/EP)의 선택과 판단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계는 방송사가 제작사로부터 제출된 수많은 드라마 기획안 중에 드라마를 제작할 것을 정해서 드라마 시간대에 편성을 확정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드라마 작가들은 편성의 벽을 느끼고 편성 전쟁을 치르며 뒤늦게 합류한 감독들과 불협화음을 겪기도 하며 작가가 교체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일들을 경험한다. 촬영을 시작해서 본격적인 제작 과정에 진입하는 드라마 제작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제작사와 방송사 기획자의 권력은 약해지고 드라마를 실질적으로 끌어가는 감독과 작가의 권력이 강해진다. 동시에 이 두 사람의 갈등이 첨예하게 부딪혀 드라마 내용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등 권력의 쏠림에 따라 다양한 갈등이 표출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그동안 미디어 생산자 영역에서 거의 공백으로 남겨져 있던 드라마 생산자들에게 집중하여 드라마 작가들에 대해 조명하고, 드라마 생산자들 사이에 갈등을 관찰하면서 이들 사이에 내밀하게 작용되고 있는 힘들과 상호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드라마 작가들의 스토리텔링 전략 등 드라마 작가들의 세밀한 작업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적은 점, 방송사나 제작사, 연예기획사의 입장이 상대적으로 적게 기술된 점은 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해 더욱 더 정교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spiring TV drama writers grow as TV drama writers who are actually play a central role in producing TV dramas, and what kind of a job identity TV drama writers have. It discusses about what problems and in what power relationship they have conflicts and make comprom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spiring TV drama writers grow as TV drama writers who are actually play a central role in producing TV dramas, and what kind of a job identity TV drama writers have. It discusses about what problems and in what power relationship they have conflicts and make compromises with directors, actors and actresse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duction companies in the context of a drama production process. To clarify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directors, actors, actresses, planner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duction companies, while focusing on the domain of production out of the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cyclic process of TV dramas, this study sele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30 drama producers, 14 TV drama writers, 5 drama directors, 4 broadcasting staff in charge of planning and programming dramas (CP/EP/BM), 2 production company CEOs and 2 production company producers, 2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y CEOs and 1 actor for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various phenomena in a broader context, and conducted ‘Thick Description’ for the in-depth interviews, and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 a monthly publication, and news artic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piring TV drama writers were motivated to start their career because of three factors: a desire to create, an intuitive feeling that the occupation was their fate, and better social and economical job conditions. They suffered fierce competition in their apprenticeship years and faced new difficulties when they worked as an assistant writer. Also, there were mor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program scriptwriters entering the field of TV dramas recently. It seemed to be becaus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program scriptwriters were very poorly treated, compared to drama writers, and as the domain of dramas became wider, they were given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drama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er one-act dramas broadcasting on TV, and more TV dramas are manufactured by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and such a change i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has been one of the main obstacles to aspiring TV drama writers trying to make their debuts as a TV drama writer.This study discovered that TV drama writers have an identity as a solitary creator who takes drama writing as their fate and writes in great agony and distress as a producer who has to carry out media labor to complete writing dramas in time no matter what happens, and as an unstable but possible high-income worker who can get paid a lot for writing when they succeed in their career. In addition, they have an identity as a social contributor who gives people pleasure and comfort and an identity as a cultural industry content producer who satisfies the public with high ratings. Overall, they have a feature of adapting themselves to the hierarchical society formed by differences in their payment for writing, as a strategist who has high-level political power and creator who wanders in failure and frustration while surviving the severely competitive drama industry. TV drama producers’ conflicts can be defined as a fight for power, and conflicts constantly take place among writers who have copyrights of drama scripts, directors whose background is the power of a broadcasting company over program organization, producers who own economic capital and actors and actresses who are likely to intervene in the production of dramas with cultural capital as a weapon. Such a conflict may be much fiercer as producing dramas are not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processed, and the programming of dramas can be determined or canceled by various unpredictable variables. In such an irrational broadcasting system, aspiring and new TV drama writers have difficulties growing as a regular TV drama writer, but some of the popular drama writers recognized with high ratings even play a role as a producer in charge of the entire production of dramas on the contrary. Moreover, in a more commercialized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all the drama producers had severe conflicts on power, economic profits and desires for creative labor, and their fight for power even created further conflicts through such stages as planning, programming and produc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highlighting TV drama producers who were hardly research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domain of media producers, especially TV drama writers, and specifically examines powers and interactions inherent in TV drama producers while observing conflicts between them. However this study fails to sufficiently describe what TV drama writers exactly do in their jobs, such as story-telling strategies and the viewpoints of broadcasting companies, production companies and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ies. Thu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se domai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spiring TV drama writers grow as TV drama writers who are actually play a central role in producing TV dramas, and what kind of a job identity TV drama writers have. It discusses about what problems and in what power relationship they have conflicts and make compromises with directors, actors and actresse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duction companies in the context of a drama production process. To clarify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directors, actors, actresses, planner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duction companies, while focusing on the domain of production out of the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cyclic process of TV dramas, this study sele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30 drama producers, 14 TV drama writers, 5 drama directors, 4 broadcasting staff in charge of planning and programming dramas (CP/EP/BM), 2 production company CEOs and 2 production company producers, 2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y CEOs and 1 actor for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various phenomena in a broader context, and conducted ‘Thick Description’ for the in-depth interviews, and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 a monthly publication, and news artic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piring TV drama writers were motivated to start their career because of three factors: a desire to create, an intuitive feeling that the occupation was their fate, and better social and economical job conditions. They suffered fierce competition in their apprenticeship years and faced new difficulties when they worked as an assistant writer. Also, there were mor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program scriptwriters entering the field of TV dramas recently. It seemed to be becaus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program scriptwriters were very poorly treated, compared to drama writers, and as the domain of dramas became wider, they were given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drama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er one-act dramas broadcasting on TV, and more TV dramas are manufactured by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and such a change i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has been one of the main obstacles to aspiring TV drama writers trying to make their debuts as a TV drama writer.This study discovered that TV drama writers have an identity as a solitary creator who takes drama writing as their fate and writes in great agony and distress as a producer who has to carry out media labor to complete writing dramas in time no matter what happens, and as an unstable but possible high-income worker who can get paid a lot for writing when they succeed in their career. In addition, they have an identity as a social contributor who gives people pleasure and comfort and an identity as a cultural industry content producer who satisfies the public with high ratings. Overall, they have a feature of adapting themselves to the hierarchical society formed by differences in their payment for writing, as a strategist who has high-level political power and creator who wanders in failure and frustration while surviving the severely competitive drama industry. TV drama producers’ conflicts can be defined as a fight for power, and conflicts constantly take place among writers who have copyrights of drama scripts, directors whose background is the power of a broadcasting company over program organization, producers who own economic capital and actors and actresses who are likely to intervene in the production of dramas with cultural capital as a weapon. Such a conflict may be much fiercer as producing dramas are not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processed, and the programming of dramas can be determined or canceled by various unpredictable variables. In such an irrational broadcasting system, aspiring and new TV drama writers have difficulties growing as a regular TV drama writer, but some of the popular drama writers recognized with high ratings even play a role as a producer in charge of the entire production of dramas on the contrary. Moreover, in a more commercialized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all the drama producers had severe conflicts on power, economic profits and desires for creative labor, and their fight for power even created further conflicts through such stages as planning, programming and produc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highlighting TV drama producers who were hardly research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domain of media producers, especially TV drama writers, and specifically examines powers and interactions inherent in TV drama producers while observing conflicts between them. However this study fails to sufficiently describe what TV drama writers exactly do in their jobs, such as story-telling strategies and the viewpoints of broadcasting companies, production companies and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ies. Thu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se domains
Keyword
#생산자 연구 드라마 생산자 드라마 작가 드라마 감독 미디어 노동 갈등과 타협 드라마제작시스템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미숙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언론정보학과
지도교수
홍지아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ⅹiii, 345 p.
키워드
생산자 연구 드라마 생산자 드라마 작가 드라마 감독 미디어 노동 갈등과 타협 드라마제작시스템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