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살자의 형제자매의 사별 이후 애도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참여자는 30대에서 40대 여성 3명이었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애도자가 경험하는 사별의 경험을 개인 내적, 사회적, 영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은 개인내적으로 죽음의 공포, 자살사고, 이유 찾기, 각양각색의 애도, 거리두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정서적 혼돈, 허무한 귀인, 나름의 애도라는 핵심주제로 요약될 수 있었다. 둘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겪어야 했던 경험들을 분석한 결과 수치심과 낙인, 나눌 수 없는 아픔, 비밀주의, 이웃의 점잖은 위로와 지지라는 상위주제와 사회적 소외와 사회적 지지라는 상반되는 두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셋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경험한 영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신에 대한 의지, 달라진 인생관, 그리고 삶을 향한 각오라는 상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것은 실존적 해석이라는 단일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넷째, 애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건 후 경과된 시간, 정보의 개방여부, 가족에 대한 책임감, 자살자와의 심리적 관계, 원가정의 가족역동, 그리고 참여자 가정의 가족역동이 중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견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자살유가족들은 사건 소식으로 죽음의 공포와 충격에 휩싸였다. 그들의 형제자매의 자살 후 ...
본 연구는 자살자의 형제자매의 사별 이후 애도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참여자는 30대에서 40대 여성 3명이었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애도자가 경험하는 사별의 경험을 개인 내적, 사회적, 영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은 개인내적으로 죽음의 공포, 자살사고, 이유 찾기, 각양각색의 애도, 거리두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정서적 혼돈, 허무한 귀인, 나름의 애도라는 핵심주제로 요약될 수 있었다. 둘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겪어야 했던 경험들을 분석한 결과 수치심과 낙인, 나눌 수 없는 아픔, 비밀주의, 이웃의 점잖은 위로와 지지라는 상위주제와 사회적 소외와 사회적 지지라는 상반되는 두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셋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경험한 영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신에 대한 의지, 달라진 인생관, 그리고 삶을 향한 각오라는 상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것은 실존적 해석이라는 단일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넷째, 애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건 후 경과된 시간, 정보의 개방여부, 가족에 대한 책임감, 자살자와의 심리적 관계, 원가정의 가족역동, 그리고 참여자 가정의 가족역동이 중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견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자살유가족들은 사건 소식으로 죽음의 공포와 충격에 휩싸였다. 그들의 형제자매의 자살 후 삶의 의미를 잃고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우울증에 시달렸다. 고인에게 미처 해주지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와 죄책감으로 고인과 연관된 자살을 부추긴 많은 원인들을 찾아 헤매었다. 둘째, 자살 사별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깨닫고 사회적 관계 내에서 형제의 자살은 비밀이 되었다. 이러한 점이 주변의 위로를 얻기 어려웠고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감정을 감추는 양상을 보였다. 낙인을 피하고 자살의 전염성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에 집중하였다. 셋째, 형제자매들은 사건 경험 후 타인에 대해 그들 개인 만에 고유한 특성을 인식하였다.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 사이에서 그들의 경험을 둘러싼 생명과 세계를 숙고하게 하였다. 사별 후 심리적 성숙은 인간에 대한 이타적인 마음이 대표적인 긍정적 변화였다. 넷째, 참여자들이 애도과정에서 가용한 지지자원으로는 능동적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요청하고 도움을 받은 경우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 뒤를 이어 시간의 경과,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종교적 배경이 보호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합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 시도자 가족 단위의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주민의 자살예방교육에서 자살유가족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이웃의 관심 필요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족 내의 가족을 지원할 수 있는 대상으로 교육하고 그들의 가족을 돌볼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셋째,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자살유가족 지원을 위한 서비스 분리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살자의 형제자매의 사별 이후 애도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참여자는 30대에서 40대 여성 3명이었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애도자가 경험하는 사별의 경험을 개인 내적, 사회적, 영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은 개인내적으로 죽음의 공포, 자살사고, 이유 찾기, 각양각색의 애도, 거리두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정서적 혼돈, 허무한 귀인, 나름의 애도라는 핵심주제로 요약될 수 있었다. 둘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겪어야 했던 경험들을 분석한 결과 수치심과 낙인, 나눌 수 없는 아픔, 비밀주의, 이웃의 점잖은 위로와 지지라는 상위주제와 사회적 소외와 사회적 지지라는 상반되는 두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셋째, 자살자의 형제자매들이 사건 이후 경험한 영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신에 대한 의지, 달라진 인생관, 그리고 삶을 향한 각오라는 상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것은 실존적 해석이라는 단일 핵심주제로 요약되었다. 넷째, 애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건 후 경과된 시간, 정보의 개방여부, 가족에 대한 책임감, 자살자와의 심리적 관계, 원가정의 가족역동, 그리고 참여자 가정의 가족역동이 중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견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자살유가족들은 사건 소식으로 죽음의 공포와 충격에 휩싸였다. 그들의 형제자매의 자살 후 삶의 의미를 잃고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우울증에 시달렸다. 고인에게 미처 해주지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와 죄책감으로 고인과 연관된 자살을 부추긴 많은 원인들을 찾아 헤매었다. 둘째, 자살 사별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깨닫고 사회적 관계 내에서 형제의 자살은 비밀이 되었다. 이러한 점이 주변의 위로를 얻기 어려웠고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감정을 감추는 양상을 보였다. 낙인을 피하고 자살의 전염성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에 집중하였다. 셋째, 형제자매들은 사건 경험 후 타인에 대해 그들 개인 만에 고유한 특성을 인식하였다.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 사이에서 그들의 경험을 둘러싼 생명과 세계를 숙고하게 하였다. 사별 후 심리적 성숙은 인간에 대한 이타적인 마음이 대표적인 긍정적 변화였다. 넷째, 참여자들이 애도과정에서 가용한 지지자원으로는 능동적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요청하고 도움을 받은 경우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 뒤를 이어 시간의 경과,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종교적 배경이 보호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합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 시도자 가족 단위의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주민의 자살예방교육에서 자살유가족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이웃의 관심 필요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족 내의 가족을 지원할 수 있는 대상으로 교육하고 그들의 가족을 돌볼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셋째,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자살유가족 지원을 위한 서비스 분리 운영이 필요하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