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Design Evaluation System : Focusing on Checklist through Evaluation Elements원문보기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
현대사회는 산업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에서 삶에 대한 패러다임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도시민들은 인간에 대한 존엄성 상실과 함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겪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 속에서 물질적인 만족감보다는 정신적 치유에 대한 질적 관심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그에 부응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
국 문 요 약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
현대사회는 산업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에서 삶에 대한 패러다임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도시민들은 인간에 대한 존엄성 상실과 함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겪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 속에서 물질적인 만족감보다는 정신적 치유에 대한 질적 관심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그에 부응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공공공간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시도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자체별로 정책적인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현실적 한계로 인해 질적 성장보다는 주로 물리적 환경 측면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여 연구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사용자 중심의 사후평가 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함께 심리적 측면까지도 고려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물리적, 정책적 환경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점이 심리적 환경으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치유 개념의 공간적용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환경의 일반적인 개념과 치유환경의 구체적인 요소, 선행연구를 통한 치유환경의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요소를 기준으로 기존 공공디자인 평가방법 및 항목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보다 체계적인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각 장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치유환경과 공공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에서 치유환경의 필요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3장에서는 기존 치유환경 유형의 재분류를 통해 구체적 요소를 추출하고, 지금까지 진행된 공공디자인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에 관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 평가를 위한 항목 및 요소를 도출한다.
4장에서는 치유환경의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요소와 공공디자인에서의 평가요소를 토대로 공통요소에 따른 세부내용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치유환경 요소 중 공공디자인 평가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항목과 요소들을 구체화한다. 이러한 평가항목과 요소를 기반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한다.
5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장으로 공공공간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공공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체크리스트를 검증한다.
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 및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고, 치유환경의 공공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치유환경의 유형과 요소들을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갖는다. 이는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한 중요도 분석과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에서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지금까지 치유환경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의료 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진행되었지만, 앞으로 공공디자인의 평가체계를 계획함에 있어 치유환경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평가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치유환경의 특성과 사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대한 후속연구가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치유환경, 치유환경 요소, 공공디자인, 체크리스트, 공공디자인 평가체계
국 문 요 약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
현대사회는 산업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에서 삶에 대한 패러다임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도시민들은 인간에 대한 존엄성 상실과 함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겪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 속에서 물질적인 만족감보다는 정신적 치유에 대한 질적 관심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그에 부응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공공공간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시도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자체별로 정책적인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현실적 한계로 인해 질적 성장보다는 주로 물리적 환경 측면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여 연구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사용자 중심의 사후평가 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함께 심리적 측면까지도 고려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물리적, 정책적 환경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점이 심리적 환경으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치유 개념의 공간적용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환경의 일반적인 개념과 치유환경의 구체적인 요소, 선행연구를 통한 치유환경의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요소를 기준으로 기존 공공디자인 평가방법 및 항목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보다 체계적인 평가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각 장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치유환경과 공공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에서 치유환경의 필요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3장에서는 기존 치유환경 유형의 재분류를 통해 구체적 요소를 추출하고, 지금까지 진행된 공공디자인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에 관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 평가를 위한 항목 및 요소를 도출한다.
4장에서는 치유환경의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요소와 공공디자인에서의 평가요소를 토대로 공통요소에 따른 세부내용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치유환경 요소 중 공공디자인 평가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항목과 요소들을 구체화한다. 이러한 평가항목과 요소를 기반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한다.
5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장으로 공공공간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공공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체크리스트를 검증한다.
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 및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고, 치유환경의 공공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치유환경의 유형과 요소들을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갖는다. 이는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한 중요도 분석과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에서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지금까지 치유환경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의료 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진행되었지만, 앞으로 공공디자인의 평가체계를 계획함에 있어 치유환경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평가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치유환경의 특성과 사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대한 후속연구가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Design Evaluation System : Focusing on Checklist through Evaluation Elements
Lim, Jong Hoon Major in Industrial Design Dept. of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Since modern socie...
ABSTRACT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Design Evaluation System : Focusing on Checklist through Evaluation Elements
Lim, Jong Hoon Major in Industrial Design Dept. of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Since modern society undergoes fas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paradigm of life in urban settings changes radically. With this change, urban dwellers slowly lost their human dignity, with the concomitant loss of their sanity and spiritual satisfaction. They now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psychological happiness rather than material abundance and begi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urban environment that corresponds to such needs.
In recent studies on public space design, there were attempt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till, these efforts fall short of focusing on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on quality aspects due to the fact that public space design was undertaken by local governments only. For this reason, people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user-oriented post evaluation systems and the need for public space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psychological sides as well.
At this important juncture, in which public space design’s focus shifts decisively from physical and policy aspects toward psychological side, the researcher begins his research effort from recognizing the need to apply the notion of "healing" in space desig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ains the notion of healing environment and features that constitute this environment. Also, the researcher proposes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user-oriented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it.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rive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space for creating a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these elements, the researcher develops a checklist for more systemic evaluation elements through case studies on existing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methods.
Chapter 2 focuses on a literature survey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healing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design. The chapter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need for a healing environment and its applicability in real-world settings.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er extracts necessary elements by reclassifying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current healing environments, followed by the derivation of items and elements for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a survey of preceding studies.
In Chapter 4, the researcher derives common elements based on a compilation of ele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ling environment and evaluation elements in public space design. In evaluating public space design, among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applicable items and elements emerge. Based on these items and elements, one can create a checklist, which is can be analyzed for each item's importance by surveying the professionals. Chapter 5 is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atisfaction survey of public space users. Based on the analysis on public space design elements demanded by the users, the checklist is verified. Chapter 6 discusses limi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hile suggesting possible items for application in real-world public space design setting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dvocate the importance of a user-oriented psychologic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shows a possibility that the notion of healing and its components can be applicable to a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 is also important. By surveying professional groups about the importance of such environments and satisfaction surveys of ordinary people, one can see that the need to have such an environment exists and is rising fast. If studies on healing environment focused mostly on medical environment, future studies must embrace the fact that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can be used to evaluate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s that subsequent research efforts could focus more on systemized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s that take into better account healing environment features and user requirements.
Keywords: healing environment,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public space design, checklist,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
ABSTRACT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Design Evaluation System : Focusing on Checklist through Evaluation Elements
Lim, Jong Hoon Major in Industrial Design Dept. of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Since modern society undergoes fas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paradigm of life in urban settings changes radically. With this change, urban dwellers slowly lost their human dignity, with the concomitant loss of their sanity and spiritual satisfaction. They now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psychological happiness rather than material abundance and begi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urban environment that corresponds to such needs.
In recent studies on public space design, there were attempt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till, these efforts fall short of focusing on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on quality aspects due to the fact that public space design was undertaken by local governments only. For this reason, people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user-oriented post evaluation systems and the need for public space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psychological sides as well.
At this important juncture, in which public space design’s focus shifts decisively from physical and policy aspects toward psychological side, the researcher begins his research effort from recognizing the need to apply the notion of "healing" in space desig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ains the notion of healing environment and features that constitute this environment. Also, the researcher proposes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user-oriented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it.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rive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space for creating a healing, environment-based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these elements, the researcher develops a checklist for more systemic evaluation elements through case studies on existing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methods.
Chapter 2 focuses on a literature survey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healing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design. The chapter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need for a healing environment and its applicability in real-world settings.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er extracts necessary elements by reclassifying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current healing environments, followed by the derivation of items and elements for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a survey of preceding studies.
In Chapter 4, the researcher derives common elements based on a compilation of ele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ling environment and evaluation elements in public space design. In evaluating public space design, among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applicable items and elements emerge. Based on these items and elements, one can create a checklist, which is can be analyzed for each item's importance by surveying the professionals. Chapter 5 is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atisfaction survey of public space users. Based on the analysis on public space design elements demanded by the users, the checklist is verified. Chapter 6 discusses limi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hile suggesting possible items for application in real-world public space design setting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dvocate the importance of a user-oriented psychologic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shows a possibility that the notion of healing and its components can be applicable to a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 is also important. By surveying professional groups about the importance of such environments and satisfaction surveys of ordinary people, one can see that the need to have such an environment exists and is rising fast. If studies on healing environment focused mostly on medical environment, future studies must embrace the fact that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can be used to evaluate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s that subsequent research efforts could focus more on systemized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s that take into better account healing environment features and user requirements.
Keywords: healing environment,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public space design, checklist, public space design evaluation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