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안전사고는 중대재해의 비중이 높아 인적·물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사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현장에서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안전재해는 줄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관점을 바꾸어, 개인적 특성이나 사회·심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재해유발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타 분야에서는 설득 상황이나 통제, 규제 등에서 생겨나는 ...
건설산업의 안전사고는 중대재해의 비중이 높아 인적·물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사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현장에서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안전재해는 줄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관점을 바꾸어, 개인적 특성이나 사회·심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재해유발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타 분야에서는 설득 상황이나 통제, 규제 등에서 생겨나는 인간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설득 상황 또는 교육 시 심리적 반발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일명 청개구리 심보라고 하는 ‘심리적 반발’은 사회적 압력이 강할수록 인간 본연의 자유를 얻기 위해 나타나게 되며, 직접적인 행동이나 정서 및 태도 등의 형태로 표현된다고 한다.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예방활동 역시,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나 통제의 일종이므로, 이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분석을 통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 반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문헌분석을 통하여 재해발생 원리, 안전예방활동, 심리적 반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중·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안전예방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분석 및 안전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심리적 반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 경험에 대한 요인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의 분석 방안을 활용하여, 중·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 근로자의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반응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간 관계를 파악하고, 집단별 심리적 반발에 따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 경험에 대한 요인 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섯째, 분석 결과 심리적 반발 정도에 따라 안전지식, 낙관적 편견, 연령, 근속연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재해경험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반발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요인들과 심리적 반발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반발은 안전지식, 낙관적 편견, 연 및 근속연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을 감소시킬 방안을 예시하였다. 여섯째,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심리적 반발 분석절차 및 결과의 적절성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감소방안에 대한 실무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분야에 심리적 반발을 접목시켜,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의 관계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에 대한 분석 결과와 예시된 심리적 반발 감소 방안을 바탕으로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심리적 반발을 저감시켜 안전예방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심리적 반발이 안전사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냈지만,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을 다양하게 고려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근로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심리적 반발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상황에 따른 특성을 반영한 심리적 반발 측정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건설산업의 안전사고는 중대재해의 비중이 높아 인적·물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사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현장에서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안전재해는 줄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관점을 바꾸어, 개인적 특성이나 사회·심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재해유발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타 분야에서는 설득 상황이나 통제, 규제 등에서 생겨나는 인간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설득 상황 또는 교육 시 심리적 반발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일명 청개구리 심보라고 하는 ‘심리적 반발’은 사회적 압력이 강할수록 인간 본연의 자유를 얻기 위해 나타나게 되며, 직접적인 행동이나 정서 및 태도 등의 형태로 표현된다고 한다.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예방활동 역시,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나 통제의 일종이므로, 이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분석을 통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 반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문헌분석을 통하여 재해발생 원리, 안전예방활동, 심리적 반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중·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안전예방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분석 및 안전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심리적 반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 경험에 대한 요인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의 분석 방안을 활용하여, 중·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 근로자의 안전예방활동에 대한 반응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간 관계를 파악하고, 집단별 심리적 반발에 따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 경험에 대한 요인 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섯째, 분석 결과 심리적 반발 정도에 따라 안전지식, 낙관적 편견, 연령, 근속연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재해경험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반발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요인들과 심리적 반발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반발은 안전지식, 낙관적 편견, 연 및 근속연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을 감소시킬 방안을 예시하였다. 여섯째,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심리적 반발 분석절차 및 결과의 적절성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 감소방안에 대한 실무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분야에 심리적 반발을 접목시켜, 건설현장 안전예방활동과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의 관계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근로자의 심리적 반발에 대한 분석 결과와 예시된 심리적 반발 감소 방안을 바탕으로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심리적 반발을 저감시켜 안전예방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심리적 반발이 안전사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냈지만,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을 다양하게 고려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근로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심리적 반발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심리적 반발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상황에 따른 특성을 반영한 심리적 반발 측정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ince the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result in tremendous human and material losses due to a high proportion of serious disasters. it is very important to proactively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However, despite various efforts to prevent unsafe acts at construction sites, the numbe...
Since the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result in tremendous human and material losses due to a high proportion of serious disasters. it is very important to proactively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However, despite various efforts to prevent unsafe acts at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has not yet decreased, and therefore a need to devise new measure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has emerged in order to reduce the safety accidents. In this regard, recent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workers' behaviors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r socia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disaster-induced factors, representing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other area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occurrence of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persuasive situation or training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s that emerge from the persuasive situation, control or restriction. Psychological reactance appears in oder to obtain freedom of human nature as social pressure increases and is said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direction actions, emotions or attitudes. Since the prevention activities of construction site are also a kind of control or restriction on worke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prevention activities exist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y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accident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nd exemplified a method to reduc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In summary, the procedures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saster occurrence theory,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psychological reactance and safety accident factors were examined by the use of existing literatur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suggested by deriv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workers at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nd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Third, research methods for analyzing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and its relation to safety accidents were devised. With the use of previous studies, method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safety accident factors, experience factors were suggested. Fourth, with the use of the methods to analyze psychological reactance and safety accident factors derived, a survey of 70 workers at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to worker’s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investig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safety accident factors and experience facto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reactance by group was analyzed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fety accid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at show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was found to have a relation with knowledge of safety, optimistic bias, age an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 interview with expert was conducted to exemplify the measures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Sixth, this paper verified the appropriacy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alysis procedures and results, and the practicality of the measures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through the interview with expert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by grafting psychological reactance to construction safety. On the basis of the exemplified psychological reactance reduction methods and analysis results of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it is expected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us to maximize the effects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reactance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safety accidents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the safety accident factors but failed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safety accident factor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psychological reac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ch workers are in was not considered. For future work, there is a need to conduct a further analysis on the safety accident factors and a study of the methods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in whi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re reflected.
Since the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result in tremendous human and material losses due to a high proportion of serious disasters. it is very important to proactively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However, despite various efforts to prevent unsafe acts at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has not yet decreased, and therefore a need to devise new measure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has emerged in order to reduce the safety accidents. In this regard, recent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workers' behaviors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r socia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disaster-induced factors, representing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other area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occurrence of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persuasive situation or training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s that emerge from the persuasive situation, control or restriction. Psychological reactance appears in oder to obtain freedom of human nature as social pressure increases and is said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direction actions, emotions or attitudes. Since the prevention activities of construction site are also a kind of control or restriction on worke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prevention activities exist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y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accident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nd exemplified a method to reduc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In summary, the procedures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saster occurrence theory,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psychological reactance and safety accident factors were examined by the use of existing literatur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suggested by deriv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workers at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nd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Third, research methods for analyzing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and its relation to safety accidents were devised. With the use of previous studies, method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safety accident factors, experience factors were suggested. Fourth, with the use of the methods to analyze psychological reactance and safety accident factors derived, a survey of 70 workers at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to worker’s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investig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safety accident factors and experience facto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reactance by group was analyzed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fety accid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at show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was found to have a relation with knowledge of safety, optimistic bias, age an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 interview with expert was conducted to exemplify the measures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Sixth, this paper verified the appropriacy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alysis procedures and results, and the practicality of the measures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through the interview with expert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and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by grafting psychological reactance to construction safety. On the basis of the exemplified psychological reactance reduction methods and analysis results of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it is expected to reduce worker's psychological reactanc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us to maximize the effects of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reactance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safety accidents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the safety accident factors but failed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safety accident factor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psychological reac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ch workers are in was not considered. For future work, there is a need to conduct a further analysis on the safety accident factors and a study of the methods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in whi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re reflec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