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 :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destructive behavior and maladjustment schema of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centering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hema therapy of Young원문보기
본 연구는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모 대학병원 정신과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만 19세 여성으로 2014년 12월23일 초기 면담 및 내담자의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2차례에 걸친 면담 후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4월 25일까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를 제외한 총 33회기로 주 2회~3회씩 120분~150분간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적응도식 질문지,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자살사고 척도, 자살충동 척도 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치료과정에서의 단계별 변화와 상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적응도식 검사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5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부적응도식점수가 243점에서 172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강한 필압, 불안정한 선, 세부묘사 결여 등의 표현에서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과 같은 표현 상징이 두드러졌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안정된 필압과 선, 공간사용으로 사전검사에서 나타났던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의 표현이 완화되었고 이는 추후검사 결과에서도 변화 없이 이어져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살사고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점수는 36점에서 사후점수 24점, 추후점수 24점으로 총 변화점수는 12점 감소해 자살생각의 감소를 나타내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살충동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4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자살충동 점수가 119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있어서 회기별 치료과정의 단계별 표현과 상징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작품, 글쓰기, 대화내용 등의 단계별 표현 및 상징들이 초기단계에서는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의 양상들이 드러났다면 종결단계로 갈수록 점차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이 완화된 표현 및 상징들이 나타나며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
본 연구는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모 대학병원 정신과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만 19세 여성으로 2014년 12월23일 초기 면담 및 내담자의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2차례에 걸친 면담 후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4월 25일까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를 제외한 총 33회기로 주 2회~3회씩 120분~150분간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적응도식 질문지,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자살사고 척도, 자살충동 척도 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치료과정에서의 단계별 변화와 상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적응도식 검사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5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부적응도식점수가 243점에서 172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강한 필압, 불안정한 선, 세부묘사 결여 등의 표현에서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과 같은 표현 상징이 두드러졌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안정된 필압과 선, 공간사용으로 사전검사에서 나타났던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의 표현이 완화되었고 이는 추후검사 결과에서도 변화 없이 이어져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살사고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점수는 36점에서 사후점수 24점, 추후점수 24점으로 총 변화점수는 12점 감소해 자살생각의 감소를 나타내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살충동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4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자살충동 점수가 119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있어서 회기별 치료과정의 단계별 표현과 상징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작품, 글쓰기, 대화내용 등의 단계별 표현 및 상징들이 초기단계에서는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의 양상들이 드러났다면 종결단계로 갈수록 점차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이 완화된 표현 및 상징들이 나타나며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심리치료 일환으로 미술치료가 널리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모 대학병원 정신과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만 19세 여성으로 2014년 12월23일 초기 면담 및 내담자의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2차례에 걸친 면담 후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4월 25일까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를 제외한 총 33회기로 주 2회~3회씩 120분~150분간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적응도식 질문지,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자살사고 척도, 자살충동 척도 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치료과정에서의 단계별 변화와 상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적응도식 검사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5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부적응도식점수가 243점에서 172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강한 필압, 불안정한 선, 세부묘사 결여 등의 표현에서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과 같은 표현 상징이 두드러졌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안정된 필압과 선, 공간사용으로 사전검사에서 나타났던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의 표현이 완화되었고 이는 추후검사 결과에서도 변화 없이 이어져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살사고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점수는 36점에서 사후점수 24점, 추후점수 24점으로 총 변화점수는 12점 감소해 자살생각의 감소를 나타내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살충동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4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자살충동 점수가 119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있어서 회기별 치료과정의 단계별 표현과 상징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작품, 글쓰기, 대화내용 등의 단계별 표현 및 상징들이 초기단계에서는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의 양상들이 드러났다면 종결단계로 갈수록 점차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이 완화된 표현 및 상징들이 나타나며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심리치료 일환으로 미술치료가 널리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women suffering from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developed by Dr. Jef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women suffering from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developed by Dr. Jeffrey You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9-year-old female BPD patient who has been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t an unnamed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eginning with a pre-interview and client screening session conducted on Dec. 23, 2014. The program involved a total of 33 sessions which lasted for 120 to 150 minutes each, excluding pre-tests,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se sessions were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rom Jan. 2, 2015 through April 25, 2015.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based on Dr. E. Jeffrey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questionnaires were built accordingly to examine maladjustment schema. In addition, the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HTP), the Scale of Suicide Identification, and the Scale of Suicide Impulse were conducted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To further evaluate the results, a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each session on the symbols and changes occurring during each phase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maladjustment schema tests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dropped significantly across the board in five sub-sectors. In the follow-up tests compared to the post-therapy tests, the total scores went from 243 to 172. This implies a positive effect of art therapy in mitigating maladjustment schema of women with BPD. Moreover, when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of the HTP Test are compared, the pre-test showed strong pen pressure, unstable lines, and a lack of detail. This signified anger, impulsiveness, and vulnerability, judging from the positioning of the drawings in the given space, as well as the harsh brush strokes used to create the drawings. In contrast, in the post-test, the pen pressure and lines stabilized, and the maladjustment schema that was depicted through the usage of space lessened. This trend continued in the follow-up tests, and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Second, the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of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were compared to scrutiniz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hile the pre-test showed a score of 36, the post and follow-up the total change score decreased by 12, with a score of 24 points each. This shows a reduction of suicidal inclinations, and a lessening of self-destructive tendencies in female BPD patients. Additionall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the scores of all four sub-areas showed a general trend of decreasing. The scores of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showed that the total score of suicidal ideation declined from 119 points to 71 points. This shows the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self-destructive behavior in women with BPD. Third, whe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ere examined, they showed a penchant to improve in each stage of treatment. The symbols and expressions these patients used in their work, writing, and speech shifted. In the early stages, patients used symbols and expressions that displayed the typical subsec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In contrast, in the later and final stages, the mode of expression shifted to a much more relaxed tone with fewer indica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is indicates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listed above, it can be ascertained that art therapy based on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women suffering from BP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spiration of helping to create a new foundation for art therapy being used to treat BPD patients. Hopefully this will lead to art therapy being actively carried out and widely used as a practical measure of psychotherapy for BPD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women suffering from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developed by Dr. Jeffrey You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9-year-old female BPD patient who has been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t an unnamed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eginning with a pre-interview and client screening session conducted on Dec. 23, 2014. The program involved a total of 33 sessions which lasted for 120 to 150 minutes each, excluding pre-tests,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se sessions were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rom Jan. 2, 2015 through April 25, 2015.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based on Dr. E. Jeffrey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questionnaires were built accordingly to examine maladjustment schema. In addition, the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HTP), the Scale of Suicide Identification, and the Scale of Suicide Impulse were conducted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To further evaluate the results, a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each session on the symbols and changes occurring during each phase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maladjustment schema tests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dropped significantly across the board in five sub-sectors. In the follow-up tests compared to the post-therapy tests, the total scores went from 243 to 172. This implies a positive effect of art therapy in mitigating maladjustment schema of women with BPD. Moreover, when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of the HTP Test are compared, the pre-test showed strong pen pressure, unstable lines, and a lack of detail. This signified anger, impulsiveness, and vulnerability, judging from the positioning of the drawings in the given space, as well as the harsh brush strokes used to create the drawings. In contrast, in the post-test, the pen pressure and lines stabilized, and the maladjustment schema that was depicted through the usage of space lessened. This trend continued in the follow-up tests, and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Second, the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of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were compared to scrutiniz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hile the pre-test showed a score of 36, the post and follow-up the total change score decreased by 12, with a score of 24 points each. This shows a reduction of suicidal inclinations, and a lessening of self-destructive tendencies in female BPD patients. Additionall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the scores of all four sub-areas showed a general trend of decreasing. The scores of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showed that the total score of suicidal ideation declined from 119 points to 71 points. This shows the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self-destructive behavior in women with BPD. Third, whe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ere examined, they showed a penchant to improve in each stage of treatment. The symbols and expressions these patients used in their work, writing, and speech shifted. In the early stages, patients used symbols and expressions that displayed the typical subsec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In contrast, in the later and final stages, the mode of expression shifted to a much more relaxed tone with fewer indica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is indicates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listed above, it can be ascertained that art therapy based on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women suffering from BP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spiration of helping to create a new foundation for art therapy being used to treat BPD patients. Hopefully this will lead to art therapy being actively carried out and widely used as a practical measure of psychotherapy for BPD pati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