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 표현에 대해 대조 분석함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표현의 습득에 대한 실제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오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한국어와 인구어에 속하는 힌디어는 어순의 기본 형식이 비슷하지만 부정 표현을 사용하는 체계가 다르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은 문법적 측면에서 통사적 부정과 형태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국어 통사적 부정에는 선행 부정(단형 부정)과 후행 부정(장형 부정)의 두 가지의 형식이 있는데 선행 부정은 부정 부사인 ‘안’ 부정과 ‘못’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후행 부정은 부정 보조용언인 ‘-지 않다’ 부정, ‘-지 못하다’ 부정과 ‘-지 말다’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반면에 힌디어 통사적 부정에는 부정 부사인 ‘nəhĩ:’ 부정, ‘nə’ 부정과 ‘mət’ 부정이 있는데 서술어 앞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서술어 뒤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다만 한국어 부정과 달리 힌디어 부정에는 부정소의 위치가 바꾸더라도 의미와 쓰임에 별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 한국어 형태적 부정은 어휘적 부정과 파생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어휘적 부정에는 ‘아니다’, ‘모르다’, ‘없다’의 부정의미를 내포하는 어휘들이 있고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사 ‘비’, ‘부/불’, ‘미’, ‘무’, ‘물’이 있다. 이에 비해 힌디어 형태적 부정에는 어휘적 부정이 없으나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두사와 부정 접미사의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한다. 먼저 2장에서는 전통문법에서 정의된 부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부정의 분류에 대한 논의를 본 후에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분류 및 체계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의 쓰임과 체계의 차이로 말미암아 한국어를 학습하는 인도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부정 표현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대조하여 교육하는 경우에는 부정 표현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고 교육. 학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3장에서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기능과 실현 양상을 대조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 학습자의 부정 쓰임에 대한 오류를 파학하기 위하여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인도인 학습자의 부정 표현에 발생하는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 이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교육과정에 의한 오류’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그 다음으로 인도인 고급 학생의 논의를 근거하여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부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지도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5장에서 본고의 내용을 요야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have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Hindi Negative expressions and discuss about the aspects of error made by the Indian students of beginners-intermediate level in acquisition of Korean negative expressions. Hindi, belongs to Indo- European Language and Korean, which belongs to Ural- Altaic Language ...
본 연구는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 표현에 대해 대조 분석함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표현의 습득에 대한 실제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오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한국어와 인구어에 속하는 힌디어는 어순의 기본 형식이 비슷하지만 부정 표현을 사용하는 체계가 다르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은 문법적 측면에서 통사적 부정과 형태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국어 통사적 부정에는 선행 부정(단형 부정)과 후행 부정(장형 부정)의 두 가지의 형식이 있는데 선행 부정은 부정 부사인 ‘안’ 부정과 ‘못’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후행 부정은 부정 보조용언인 ‘-지 않다’ 부정, ‘-지 못하다’ 부정과 ‘-지 말다’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반면에 힌디어 통사적 부정에는 부정 부사인 ‘nəhĩ:’ 부정, ‘nə’ 부정과 ‘mət’ 부정이 있는데 서술어 앞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서술어 뒤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다만 한국어 부정과 달리 힌디어 부정에는 부정소의 위치가 바꾸더라도 의미와 쓰임에 별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 한국어 형태적 부정은 어휘적 부정과 파생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어휘적 부정에는 ‘아니다’, ‘모르다’, ‘없다’의 부정의미를 내포하는 어휘들이 있고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사 ‘비’, ‘부/불’, ‘미’, ‘무’, ‘물’이 있다. 이에 비해 힌디어 형태적 부정에는 어휘적 부정이 없으나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두사와 부정 접미사의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한다. 먼저 2장에서는 전통문법에서 정의된 부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부정의 분류에 대한 논의를 본 후에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분류 및 체계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의 쓰임과 체계의 차이로 말미암아 한국어를 학습하는 인도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부정 표현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대조하여 교육하는 경우에는 부정 표현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고 교육. 학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3장에서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기능과 실현 양상을 대조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 학습자의 부정 쓰임에 대한 오류를 파학하기 위하여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인도인 학습자의 부정 표현에 발생하는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 이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교육과정에 의한 오류’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그 다음으로 인도인 고급 학생의 논의를 근거하여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부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지도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5장에서 본고의 내용을 요야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have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Hindi Negative expressions and discuss about the aspects of error made by the Indian students of beginners-intermediate level in acquisition of Korean negative expressions. Hindi, belongs to Indo- European Language and Korean, which belongs to Ural- Altaic Language Family share fundamental grammatical rules of basic word-order. However, the usage of negative expressions reveal some differences in two languages. Korean Negations and Hindi Nega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Syntactic Negation and Morphological Negation. In Korean Syntactic Negation Expression, there are forms of negation i. e. Pre Verbal Negation(Short Negation) and Post Verbal Negation(Long Negation). Pre Verbal Negation(Short Negation) consists negative adverbs ‘안’ negation, ‘못’ negation, whereas Post Verbal Negation(Long Negation) consists negative predicates ‘-지 않다’ negation. ‘-지 못하다’ negation, ‘-지 말다’ negation. In contrary, Hindi Syntactic Negation Expression consists only negative adverbs such as ‘nəhĩ:’, ‘nə’ and ‘mət’ which can precedes the verbs and follows the verb as well. However unlikely Korean Negative Expressions, Hindi Negative Expressions does not show any distinction in the meaning and usage based on their structural differences. Again, Korean Morphological Negative expressions can be distinguished as Lexical Negation and Derivative Negation. Lexical Negation refers to vocabulary with negative meaning such as ‘아니다’, ‘모르다’, ‘없다’ and Derivative Negation includes negative prefixes like ‘비’, ‘부/불’, ‘미’, ‘무’, ‘물’. In contrast, Hindi Negative expression does not contain Lexical Negation, however, it contains Derivative Negation which includes negative prefixes and suffixes. After review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 discussed in traditional grammar, chapter 2 defines the classifi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Negation. Indian Korean learners experience some difficulties during their Korean negative expression acquisition process because of the structural differences and usage patterns in Korean and Hindi Negations. In this case, teaching Korean Negation using contrast study between Korean and Hindi Negation will help the learners to grasp Korean Negation in simple way and reduce the problems. Thus, chapter 3 examines the function and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Negation and reveal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Korean and Hindi Negation. In chapter 4, a pilot test analyzes the errors in the usage of Korean negation committed by the Indian students of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With the help of pilot test result, the chapter further discovers the reason behind the errors committed during the practice of Korean Negations and classifies the reasons into errors through influence of mother tongue, errors through influence of target language and the errors through influence of impact of education curriculum. Subsequently, the necessity abou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negation is discussed based on the opinion of the Indian students those who have acquired advanced Korean level. Chapter 5 concludes the entire research carried out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 표현에 대해 대조 분석함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표현의 습득에 대한 실제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오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한국어와 인구어에 속하는 힌디어는 어순의 기본 형식이 비슷하지만 부정 표현을 사용하는 체계가 다르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은 문법적 측면에서 통사적 부정과 형태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국어 통사적 부정에는 선행 부정(단형 부정)과 후행 부정(장형 부정)의 두 가지의 형식이 있는데 선행 부정은 부정 부사인 ‘안’ 부정과 ‘못’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후행 부정은 부정 보조용언인 ‘-지 않다’ 부정, ‘-지 못하다’ 부정과 ‘-지 말다’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반면에 힌디어 통사적 부정에는 부정 부사인 ‘nəhĩ:’ 부정, ‘nə’ 부정과 ‘mət’ 부정이 있는데 서술어 앞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서술어 뒤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다만 한국어 부정과 달리 힌디어 부정에는 부정소의 위치가 바꾸더라도 의미와 쓰임에 별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 한국어 형태적 부정은 어휘적 부정과 파생적 부정으로 나누어져 있다. 어휘적 부정에는 ‘아니다’, ‘모르다’, ‘없다’의 부정의미를 내포하는 어휘들이 있고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사 ‘비’, ‘부/불’, ‘미’, ‘무’, ‘물’이 있다. 이에 비해 힌디어 형태적 부정에는 어휘적 부정이 없으나 파생적 부정에는 부정 접두사와 부정 접미사의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한다. 먼저 2장에서는 전통문법에서 정의된 부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부정의 분류에 대한 논의를 본 후에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분류 및 체계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부정과 힌디어 부정의 쓰임과 체계의 차이로 말미암아 한국어를 학습하는 인도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부정 표현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대조하여 교육하는 경우에는 부정 표현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고 교육. 학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3장에서 한국어와 힌디어 부정의 기능과 실현 양상을 대조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하는 초ㆍ중급 인도 학습자의 부정 쓰임에 대한 오류를 파학하기 위하여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인도인 학습자의 부정 표현에 발생하는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 이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교육과정에 의한 오류’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그 다음으로 인도인 고급 학생의 논의를 근거하여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부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지도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5장에서 본고의 내용을 요야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have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Hindi Negative expressions and discuss about the aspects of error made by the Indian students of beginners-intermediate level in acquisition of Korean negative expressions. Hindi, belongs to Indo- European Language and Korean, which belongs to Ural- Altaic Language Family share fundamental grammatical rules of basic word-order. However, the usage of negative expressions reveal some differences in two languages. Korean Negations and Hindi Nega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Syntactic Negation and Morphological Negation. In Korean Syntactic Negation Expression, there are forms of negation i. e. Pre Verbal Negation(Short Negation) and Post Verbal Negation(Long Negation). Pre Verbal Negation(Short Negation) consists negative adverbs ‘안’ negation, ‘못’ negation, whereas Post Verbal Negation(Long Negation) consists negative predicates ‘-지 않다’ negation. ‘-지 못하다’ negation, ‘-지 말다’ negation. In contrary, Hindi Syntactic Negation Expression consists only negative adverbs such as ‘nəhĩ:’, ‘nə’ and ‘mət’ which can precedes the verbs and follows the verb as well. However unlikely Korean Negative Expressions, Hindi Negative Expressions does not show any distinction in the meaning and usage based on their structural differences. Again, Korean Morphological Negative expressions can be distinguished as Lexical Negation and Derivative Negation. Lexical Negation refers to vocabulary with negative meaning such as ‘아니다’, ‘모르다’, ‘없다’ and Derivative Negation includes negative prefixes like ‘비’, ‘부/불’, ‘미’, ‘무’, ‘물’. In contrast, Hindi Negative expression does not contain Lexical Negation, however, it contains Derivative Negation which includes negative prefixes and suffixes. After review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 discussed in traditional grammar, chapter 2 defines the classifi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Negation. Indian Korean learners experience some difficulties during their Korean negative expression acquisition process because of the structural differences and usage patterns in Korean and Hindi Negations. In this case, teaching Korean Negation using contrast study between Korean and Hindi Negation will help the learners to grasp Korean Negation in simple way and reduce the problems. Thus, chapter 3 examines the function and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Negation and reveal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Korean and Hindi Negation. In chapter 4, a pilot test analyzes the errors in the usage of Korean negation committed by the Indian students of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With the help of pilot test result, the chapter further discovers the reason behind the errors committed during the practice of Korean Negations and classifies the reasons into errors through influence of mother tongue, errors through influence of target language and the errors through influence of impact of education curriculum. Subsequently, the necessity abou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negation is discussed based on the opinion of the Indian students those who have acquired advanced Korean level. Chapter 5 concludes the entire research carried out in this study.
Keyword
#부정 부정소 통사적 부정 선행 부정(단형부정) 후행 부정(장형 부정) 형태적 부정 어휘적 부정 파생적 부정 이중부정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 오류 양상 Negative Expression Negative Elements Syntactic Negation Pre-verbal Negation (Short Negation) Post-verbal Negation (Long Negation) Morphological Negation Lexical Negation Derivative Negation Double Negation Indian Korean learners
학위논문 정보
저자
Kumari Nidhi
학위수여기관
세종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지도교수
주경희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113
키워드
부정 부정소 통사적 부정 선행 부정(단형부정) 후행 부정(장형 부정) 형태적 부정 어휘적 부정 파생적 부정 이중부정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 오류 양상 Negative Expression Negative Elements Syntactic Negation Pre-verbal Negation (Short Negation) Post-verbal Negation (Long Negation) Morphological Negation Lexical Negation Derivative Negation Double Negation Indian Korean learn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