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류 섭취와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서울 및 고창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512명을 대상으로 채소 및 과일의 섭취 수준과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일일 평균 섭취 횟수는 총 4.6회였으며 일일 채소 섭취 횟수는 평균 1.1회, 일일 김치 섭취 횟수는 평균 1.9회, 일일 과일 섭취 횟수는 평균 1.5회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과일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거주지역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과일의 경우 도시 지역의 과일 섭취 수준이 농촌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에 따른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채소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 일일 김치 섭취 횟수, 일일 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1), 이를 통해 채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채소, 김치, 과일, 총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일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p<.05), 일일 과일 섭취 횟수(p<.001),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가정 내 식환경요인 중 ‘공급도’ 와 ‘접근성’ 항목은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지역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1), ‘섭취 의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남녀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5). 가정 내 식환경요인 점수에 따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점수가 평균 이상인 그룹의 일일 채소·김치·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가 평균 미만인 그룹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채소 및 과일 섭취는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에서 유의미한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류 섭취와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서울 및 고창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512명을 대상으로 채소 및 과일의 섭취 수준과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일일 평균 섭취 횟수는 총 4.6회였으며 일일 채소 섭취 횟수는 평균 1.1회, 일일 김치 섭취 횟수는 평균 1.9회, 일일 과일 섭취 횟수는 평균 1.5회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과일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거주지역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과일의 경우 도시 지역의 과일 섭취 수준이 농촌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에 따른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채소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 일일 김치 섭취 횟수, 일일 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1), 이를 통해 채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채소, 김치, 과일, 총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일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p<.05), 일일 과일 섭취 횟수(p<.001),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가정 내 식환경요인 중 ‘공급도’ 와 ‘접근성’ 항목은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지역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1), ‘섭취 의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남녀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5). 가정 내 식환경요인 점수에 따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점수가 평균 이상인 그룹의 일일 채소·김치·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가 평균 미만인 그룹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채소 및 과일 섭취는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중 채소 및 과일의 공급도, 접근성, 섭취의지 모든 항목에서 총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반면 식품 상점의 접근성으로 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은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섭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였으며, 특히 채소의 선호도가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 내 식환경요인 중 채소 및 과일의 공급도, 섭취의지 항목이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섭취와 가장 밀접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높이기 위해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방해하는 요인을 극복하고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변화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류 섭취와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서울 및 고창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512명을 대상으로 채소 및 과일의 섭취 수준과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일일 평균 섭취 횟수는 총 4.6회였으며 일일 채소 섭취 횟수는 평균 1.1회, 일일 김치 섭취 횟수는 평균 1.9회, 일일 과일 섭취 횟수는 평균 1.5회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과일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거주지역에 따른 일일 채소 및 김치 섭취 횟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과일의 경우 도시 지역의 과일 섭취 수준이 농촌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에 따른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채소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 일일 김치 섭취 횟수, 일일 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1), 이를 통해 채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채소, 김치, 과일, 총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일 선호도는 일일 채소 섭취 횟수(p<.05), 일일 과일 섭취 횟수(p<.001),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가정 내 식환경요인 중 ‘공급도’ 와 ‘접근성’ 항목은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지역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1), ‘섭취 의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남녀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5). 가정 내 식환경요인 점수에 따른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를 분석한 결과, 점수가 평균 이상인 그룹의 일일 채소·김치·과일 섭취 횟수, 총 채소 및 과일 섭취 횟수가 평균 미만인 그룹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채소 및 과일 섭취는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 가정 내 식환경요인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중 채소 및 과일의 공급도, 접근성, 섭취의지 모든 항목에서 총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반면 식품 상점의 접근성으로 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은 채소 및 과일의 섭취 횟수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섭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채소 및 과일의 선호도였으며, 특히 채소의 선호도가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 내 식환경요인 중 채소 및 과일의 공급도, 섭취의지 항목이 초등학생의 채소 및 과일의 섭취와 가장 밀접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높이기 위해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방해하는 요인을 극복하고 채소 및 과일의 섭취를 변화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s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finding ways to improve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their preference, and food environmental factors of 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s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finding ways to improve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their preference, and food environmental factors of home and neighborho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12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ochang area. This investigation included the level of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preference, home and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on averag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was 4.6 times per day(total), vegetables 1.1 times per day, Kimchi 1.9 times per day, and fruits 1.5 times per 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and fruit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intake of vegetables and kimchi according to the residence area. Fruits consumption was higher in urban area than in rural area, but i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total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ccording to preference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all items such as daily vegetables consumption, daily kimchi consumption, daily fruits consumption, total vegetables and fruits consumption. So,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was, the higher the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fruits, fruits and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uits preference in the number of daily consumption of vegetables(p<.05), of fruits(p<.001), and total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p<.001). Third, in the ‘supply’ and ‘accessibility’ among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fig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areas than in the rural areas(p<.001). And in ‘Intention to ingest’, the figure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p<.05).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group whose score was above average showed higher number of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fruits, and total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than the group with below average, as well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01). Fourth,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ference and the home food environment. Among them, the total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consumed in all the items such as the supply, accessability,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1). On the other hand, the accessibility of food stores showed that the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factors was not related to the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the preference of vegetables and fruits. Especially, the preference of the vegetable contributed to their intake the most. Also, among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supply’ and ‘the intention to ingest’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the closest factors to the inges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overcome obstacles and change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s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finding ways to improve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their preference, and food environmental factors of home and neighborho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12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ochang area. This investigation included the level of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preference, home and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on averag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was 4.6 times per day(total), vegetables 1.1 times per day, Kimchi 1.9 times per day, and fruits 1.5 times per 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and fruit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intake of vegetables and kimchi according to the residence area. Fruits consumption was higher in urban area than in rural area, but i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total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ccording to preference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all items such as daily vegetables consumption, daily kimchi consumption, daily fruits consumption, total vegetables and fruits consumption. So,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was, the higher the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fruits, fruits and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uits preference in the number of daily consumption of vegetables(p<.05), of fruits(p<.001), and total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p<.001). Third, in the ‘supply’ and ‘accessibility’ among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fig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areas than in the rural areas(p<.001). And in ‘Intention to ingest’, the figure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p<.05).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group whose score was above average showed higher number of daily intake of vegetables, kimchi, fruits, and total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than the group with below average, as well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01). Fourth,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ference and the home food environment. Among them, the total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consumed in all the items such as the supply, accessability,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1). On the other hand, the accessibility of food stores showed that the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factors was not related to the number of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the preference of vegetables and fruits. Especially, the preference of the vegetable contributed to their intake the most. Also, among the home food environmental factors, ‘the supply’ and ‘the intention to ingest’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the closest factors to the inges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overcome obstacles and change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Keyword
#초등학생 채소 및 과일 섭취 선호도 식환경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preference food environment home food environment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성희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영양교육전공
지도교수
김정연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vii, 80장
키워드
초등학생 채소 및 과일 섭취 선호도 식환경 가정 내 식환경요인 지역사회의 식환경요인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preference food environment home food environment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