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편도선절제술을 받게 될 아동에게 태블릿을 이용한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이 아동의 수술 직후 각성시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구 소재의 C 대학병원에 편도선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6-11세의 아동으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이었다. 실험군은 작성된 수술 명단에서 수술전 날 연령별 계층에 따라 나눈 후 무작위 표집을 하였고 대조군은 연령 계층에 따라 실험군과 짝짓기하하였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아동의 수술과 마취 및 회복 단계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구성하였다. 수술 전 내용은 수술 침대로의 이동, 수술실 이동, 수술 대기실과 수술실의 전경, 수술실 의료인들의 복장, 마취기계와 마취 준비과정의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수술 후에는 회복실 전경, 회복 과정과 아동의 상태, 올바른 자세, 침상 안정, 울지 않기, 수술 후 금식, 차가운 음식 섭취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6세 여아를 환아 모델로 설정하여 단계별로 직접 체험하는 과정에 따른 교육내용 시나리오를 아동과 대화하는 듯이 손 인형을 조작하여 교육하는 영상이다. 실험군에게는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를 수술 전날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일상적 간호를 수행하였다. 수술 전날 일반적 특성과 수술 전 불안 및 통증을 측정하였고 수술 종료 후 10분 후와 30분 후 각성시 불안과 통증을 측정하였다. 수술 후 각성 시 섬망은 수술 후 10분과 30분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분산분석과 Bonferroni correction 및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불안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2.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섬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3.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통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상의 결과를 통해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 프로그램이 ...
본 연구의 목적은 편도선절제술을 받게 될 아동에게 태블릿을 이용한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이 아동의 수술 직후 각성시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구 소재의 C 대학병원에 편도선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6-11세의 아동으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이었다. 실험군은 작성된 수술 명단에서 수술전 날 연령별 계층에 따라 나눈 후 무작위 표집을 하였고 대조군은 연령 계층에 따라 실험군과 짝짓기하하였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아동의 수술과 마취 및 회복 단계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구성하였다. 수술 전 내용은 수술 침대로의 이동, 수술실 이동, 수술 대기실과 수술실의 전경, 수술실 의료인들의 복장, 마취기계와 마취 준비과정의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수술 후에는 회복실 전경, 회복 과정과 아동의 상태, 올바른 자세, 침상 안정, 울지 않기, 수술 후 금식, 차가운 음식 섭취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6세 여아를 환아 모델로 설정하여 단계별로 직접 체험하는 과정에 따른 교육내용 시나리오를 아동과 대화하는 듯이 손 인형을 조작하여 교육하는 영상이다. 실험군에게는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를 수술 전날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일상적 간호를 수행하였다. 수술 전날 일반적 특성과 수술 전 불안 및 통증을 측정하였고 수술 종료 후 10분 후와 30분 후 각성시 불안과 통증을 측정하였다. 수술 후 각성 시 섬망은 수술 후 10분과 30분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분산분석과 Bonferroni correction 및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불안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2.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섬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3.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통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상의 결과를 통해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 프로그램이 전신마취 하에서 편도절제술을 받을 아동의 수술 후 각성 불안과 섬망 및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으므로 편도절제술 아동들의 회복 간호 중재 프로그램으로 임상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도선절제술을 받게 될 아동에게 태블릿을 이용한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이 아동의 수술 직후 각성시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구 소재의 C 대학병원에 편도선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6-11세의 아동으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이었다. 실험군은 작성된 수술 명단에서 수술전 날 연령별 계층에 따라 나눈 후 무작위 표집을 하였고 대조군은 연령 계층에 따라 실험군과 짝짓기하하였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아동의 수술과 마취 및 회복 단계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구성하였다. 수술 전 내용은 수술 침대로의 이동, 수술실 이동, 수술 대기실과 수술실의 전경, 수술실 의료인들의 복장, 마취기계와 마취 준비과정의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수술 후에는 회복실 전경, 회복 과정과 아동의 상태, 올바른 자세, 침상 안정, 울지 않기, 수술 후 금식, 차가운 음식 섭취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병원놀이 동영상은 6세 여아를 환아 모델로 설정하여 단계별로 직접 체험하는 과정에 따른 교육내용 시나리오를 아동과 대화하는 듯이 손 인형을 조작하여 교육하는 영상이다. 실험군에게는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를 수술 전날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일상적 간호를 수행하였다. 수술 전날 일반적 특성과 수술 전 불안 및 통증을 측정하였고 수술 종료 후 10분 후와 30분 후 각성시 불안과 통증을 측정하였다. 수술 후 각성 시 섬망은 수술 후 10분과 30분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분산분석과 Bonferroni correction 및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불안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2.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섬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3.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각성 통증의 정도가 더 낮아졌다. 상의 결과를 통해 병원놀이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 프로그램이 전신마취 하에서 편도절제술을 받을 아동의 수술 후 각성 불안과 섬망 및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으므로 편도절제술 아동들의 회복 간호 중재 프로그램으로 임상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a tablet computer hospital play video on postoperative anxiety, emergence delirium and pain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children aged 6-11 years admitted to C University Hospi...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a tablet computer hospital play video on postoperative anxiety, emergence delirium and pain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children aged 6-11 years admitted to C University Hospital to undergo tonsillectomy, consisting of 30 pediatric pati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pediatric patients in a control group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from the scheduled surgery list according to age stratification on the day before surgery. The control group was randomly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age stratification. The hospital play video sequentially consisted of a pediatric patient’s surgery and anesthesia and recovery stages. The preoperative contents consisted of movement to a surgical bed, movement to an operating room, the scenes of surgery waiting room and operation room, clothes of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operating room, anesthesia machines and anesthesia preparation process, while its postoperative contents included the scenes of recovery room, recovery process, pediatric patients’ condition, correct posture, bed rest, not crying, fasting after the surgery and cold food intake.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preoperative information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routine nursing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ir preoperative anxiety and pain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were measured. Postoperative anxiety and pain were measured at 10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the surgery. Postoperative emergence delirium was measured at 10 and 30 minutes after the surge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of ANOVA, Bonferroni correction,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anxiety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al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2. The degree of emergence delirium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contro. 3. The degree of pain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preoperative education providing program using a hospital play video was effective in relieving postoperative anxiety, delirium and pain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Therefore, it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recovery-orient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a tablet computer hospital play video on postoperative anxiety, emergence delirium and pain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children aged 6-11 years admitted to C University Hospital to undergo tonsillectomy, consisting of 30 pediatric pati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pediatric patients in a control group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from the scheduled surgery list according to age stratification on the day before surgery. The control group was randomly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age stratification. The hospital play video sequentially consisted of a pediatric patient’s surgery and anesthesia and recovery stages. The preoperative contents consisted of movement to a surgical bed, movement to an operating room, the scenes of surgery waiting room and operation room, clothes of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operating room, anesthesia machines and anesthesia preparation process, while its postoperative contents included the scenes of recovery room, recovery process, pediatric patients’ condition, correct posture, bed rest, not crying, fasting after the surgery and cold food intake.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preoperative information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routine nursing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ir preoperative anxiety and pain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were measured. Postoperative anxiety and pain were measured at 10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the surgery. Postoperative emergence delirium was measured at 10 and 30 minutes after the surge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of ANOVA, Bonferroni correction,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anxiety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al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2. The degree of emergence delirium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contro. 3. The degree of pain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the hospital play video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preoperative education providing program using a hospital play video was effective in relieving postoperative anxiety, delirium and pain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Therefore, it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recovery-orient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