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관계를 파악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소아병동간호사의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과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PES-NWI)를 조은희(2011)등이 한국어판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최영진(2009)이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을 제외한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는 윤은자와 김희정(2013)이 개발한 도구(Korean Nurse ...
국문초록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김안숙 지도교수: 박성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본 연구는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관계를 파악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소아병동간호사의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과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PES-NWI)를 조은희(2011)등이 한국어판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최영진(2009)이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을 제외한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는 윤은자와 김희정(2013)이 개발한 도구(Korean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8월 1일부터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χ²-test,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환경은 소아병동간호사가 1.97점, 일반병동간호사가 1.98점으로 두 집 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2, p=.905). 2. 직무스트레스는 소아병동간호사가 3.13점, 일반병동간호사가 2.85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0, p=.006). 하위영역으로는 업무량과중(t=-2.79, p=.006), 전 문지식의 역할갈등(t=-2.17, p=.032), 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 부담(t=-2.09, p= .038) 부적절한 보상(t=-1.99, p=.048), 업무외 책임(t=-2.03, p=.044), 부적절한 물 리적 환경(t=-2.22, p=.02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이직의도는 소아병동간호사가 3.01점, 일반병동간호사가 2.80점(t=-1.67, p=.096)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의 직무만족요인에서만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t=-2.98, p=.003). 4. 소아병동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r=-.275, p=.024)와 이직의도 (r=-.311, p<.001)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 (r=.5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와 이직의도가 낮아졌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병동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에서 이직의도(r=-.238, p=.023)와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r=.536,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여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이직의도가 낮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 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소아병동과 일반병동간호사 둘다 간호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이직의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소아병동간호사가 더 간호근무환경이 나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간호사의 이직감소를 위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소아병동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자아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전문가 교육과 방안이 요구된다.
국문초록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김안숙 지도교수: 박성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본 연구는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관계를 파악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소아병동간호사의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과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PES-NWI)를 조은희(2011)등이 한국어판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최영진(2009)이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을 제외한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는 윤은자와 김희정(2013)이 개발한 도구(Korean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8월 1일부터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χ²-test,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환경은 소아병동간호사가 1.97점, 일반병동간호사가 1.98점으로 두 집 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2, p=.905). 2. 직무스트레스는 소아병동간호사가 3.13점, 일반병동간호사가 2.85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0, p=.006). 하위영역으로는 업무량과중(t=-2.79, p=.006), 전 문지식의 역할갈등(t=-2.17, p=.032), 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 부담(t=-2.09, p= .038) 부적절한 보상(t=-1.99, p=.048), 업무외 책임(t=-2.03, p=.044), 부적절한 물 리적 환경(t=-2.22, p=.02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이직의도는 소아병동간호사가 3.01점, 일반병동간호사가 2.80점(t=-1.67, p=.096)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의 직무만족요인에서만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t=-2.98, p=.003). 4. 소아병동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r=-.275, p=.024)와 이직의도 (r=-.311, p<.001)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 (r=.5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와 이직의도가 낮아졌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병동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에서 이직의도(r=-.238, p=.023)와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r=.536,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여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이직의도가 낮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 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소아병동과 일반병동간호사 둘다 간호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이직의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소아병동간호사가 더 간호근무환경이 나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간호사의 이직감소를 위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소아병동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자아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전문가 교육과 방안이 요구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