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이며, 조사를 위해 전상희의 ‘유아교사의 자질’과 김진숙의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수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24명의 예비조사와 306명의 본조사의 절차를 거쳤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이며, 조사를 위해 전상희의 ‘유아교사의 자질’과 김진숙의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수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24명의 예비조사와 306명의 본조사의 절차를 거쳤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상관관계 및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에게 기본적으로 강조되는 것이 교사의 자질임을 알고 스스로 그 수준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이 점차 높은 수준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자질 중 인성적 특성은 보육에 있어 다양한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어린이집 교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문적 자질에 해당하는 하위요소인 전문성, 교직태도, 보육기술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이와 관련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질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하위요인 중에서 아동최선의 이익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최선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교사로서 갖추어야할 자질이 더 많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직업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규범이 잘 수행될 때 영유아권리존중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이 실행되기 위해 어린이집 교사 자질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게 되었다. 그에 따라 교사가 가지고 있는 기초적인 요인에 따른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정도를 파악하여 질 높은 보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교사교육의 항목은 무엇이 있을지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이며, 조사를 위해 전상희의 ‘유아교사의 자질’과 김진숙의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수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24명의 예비조사와 306명의 본조사의 절차를 거쳤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상관관계 및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에게 기본적으로 강조되는 것이 교사의 자질임을 알고 스스로 그 수준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이 점차 높은 수준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자질 중 인성적 특성은 보육에 있어 다양한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어린이집 교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문적 자질에 해당하는 하위요소인 전문성, 교직태도, 보육기술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이와 관련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질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자질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하위요인 중에서 아동최선의 이익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최선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교사로서 갖추어야할 자질이 더 많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직업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규범이 잘 수행될 때 영유아권리존중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이 실행되기 위해 어린이집 교사 자질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게 되었다. 그에 따라 교사가 가지고 있는 기초적인 요인에 따른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정도를 파악하여 질 높은 보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교사교육의 항목은 무엇이 있을지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effect of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 on edu-care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questionnaires of 'The Q...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effect of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 on edu-care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questionnaires of 'Th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ritten by Jeon Sang-he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Children's Right Respect Nursery' written by Kim Jin-sook. This study went through 24 preliminary surveys and 306 main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analysis method used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Cronbach's α-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item-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used in the study. Third, descriptive statistics are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qualities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and also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bout the qualit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s show the above average level. This means the teachers know the basic qualification of teacher is important factor and try hard to improve it. Also,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respecting infants and children right is progressing at a higher level. Second,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nursery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show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Especially, the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is essential for child-care teachers that is meaningfully connected to various elements. Also, professionalism, teaching attitude, nursery skill which are child elements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are all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practice level, and relevent teaching training is necessary. Finally, the effect of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shows that the qualification of teache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has bigger influence on child-first benefit that is a subelement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which means more qual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persue the child-first benefit and accordingly, the right of infant and child can be better protected when understanding the profession and social norm is well execut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working at child-care center is an important elem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propose what kind of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high quality child-care by analyz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child and child rights according to the basic factors that teachers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effect of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 on edu-care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questionnaires of 'Th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ritten by Jeon Sang-he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Children's Right Respect Nursery' written by Kim Jin-sook. This study went through 24 preliminary surveys and 306 main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analysis method used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Cronbach's α-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item-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used in the study. Third, descriptive statistics are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qualities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and also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bout the qualit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s show the above average level. This means the teachers know the basic qualification of teacher is important factor and try hard to improve it. Also,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respecting infants and children right is progressing at a higher level. Second,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nursery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show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Especially, the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is essential for child-care teachers that is meaningfully connected to various elements. Also, professionalism, teaching attitude, nursery skill which are child elements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are all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practice level, and relevent teaching training is necessary. Finally, the effect of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shows that the qualification of teache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has bigger influence on child-first benefit that is a subelement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and child right, which means more qual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persue the child-first benefit and accordingly, the right of infant and child can be better protected when understanding the profession and social norm is well execut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working at child-care center is an important elem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propose what kind of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high quality child-care by analyz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child and child rights according to the basic factors that teachers ha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