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 : 파찰음과 마찰음의 발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or Vietnamese Students: Based on Pronunciation Error Analyses of Affricate and Fricative 원문보기


응웬탄남 (영남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한국학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체계 대조를 통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발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수는 많아지고 있는데 단순히 학습자의 수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언어권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한국어 발음 교육은 영어권과 중국어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존에 활발히 연구되어 온 한국어 교육 초반에 나타났던 언어권의 학습자가 아닌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체계에 차이를 도출하고 그 차이에서 오는 발음 오류들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1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선행 연구들의 검토함으로써 이 연구에서 행할 연구 범위와 방법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체계를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차이에서 비롯된 발음 오류들을 예측하여 정리한다.
3장에서는 영남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목표 발음인 파찰음 ‘ㅈ, ㅉ, ㅊ’ 과 마찰음 ‘ㅅ, ㅆ’의 인지∙발화 실험에서의 오류 결과를 확인하고 2장에서 분석한 예측 오류와 실제 실험 결과를 대조∙분석한다. 한국어는 ‘평음 : 경음 : 격음’의 대립을 보이는 반면 베트남어는 유무성의 유무 대립을 이룬다. 따라서 삼지적 대립 관계에 대한 정보가 없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그 발음 차이를 인식하고 발음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구체적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는 한국어 파찰음 ‘ㅈ, ㅉ, ㅊ’과 마찰음 ‘ㅅ, ㅆ’ 발음을 인지하고 발음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측하고 이 같은 내용이 실제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발화 실험에서 어떠한 결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4장에서는 3장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파찰음 ‘ㅈ, ㅉ, ㅊ’과 마찰음 ‘ㅅ, ㅆ’의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즉, 한국어 파찰음 ‘ㅈ, ㅉ, ㅊ’과 마찰음 ‘ㅅ, ㅆ’을 인지시키기 위해 적절한 설계 원리를 세워 정확하게 인지하고 발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통합하여 요약 정리하고 이 논문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phoneme pronunciation features of Korean and Vietnamese and to presen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Vietnamese students by contrasting the pronouncing systems of Korean and Vietnamese. In addition to the steady in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recently more learners have appeared from various language speakers. However, studies 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have only been focused on the limited foreign learners.
In this study, it analyzes the pronunciation errors of Vietnamese students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Based on the analyses, it suggests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id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Vietnamese student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Vietnamese students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The second chapter made an expected error list through examining Korean and Vietnamese phoneme systems prior to analyzing Vietnamese students' pronouncing errors.
The third chapter, the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응웬탄남
학위수여기관 영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한국학과 한국학전공
지도교수 서희정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61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57792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