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 양상 분석 원문보기


이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를 분석하여 그 습득 여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음 영역은 모국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역이기 때문에 국적에 따라 다른 오류 양상을 보인다. 그 중 국내 학습자 분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는 양적ㆍ질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많은 수의 중국인 학습자들이 부정확한 발음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의 음절 말 자음에 해당하는 종성과 중국어의 운미(韻尾)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많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발음 습득을 어려워한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는 종성 발음 교육과 관련하여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보다 더욱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종성 발음 오류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음운 환경과 오류의 정도를 밝혀내어 종성 발음의 습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어 교육의 하위 분야 중 발음 영역은 학습자의 모국어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영역이다. 이에 한국어의 종성 발음을 중국어 운미(韻尾)와 비교ㆍ대조하여 어떤 부분이 비슷하고 다른지 파악한 후 대조분석이론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예측해 보았다. 학습자는 중국어에 없거나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는 발음에서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종성 발음의 오류 양상을 실현되는 음운 환경을 다양하게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숙달도가 올라갈수록 어떤 종성 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습득이 어려운 발음은 어떠한 오류를 발생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총 107명의 중국인 학습자의 산출 발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실현되는 음운 환경에 따른 각 항목의 빈도를 분석하여 오류율을 도출해 내었고,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Fisher검증을 실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예상했던 오류와 같이 폐쇄음 종성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러한 폐쇄음 종성의 오류는 초급 학습자에게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대조분석이론의 예상과 달랐던 점은 비음 종성과 관련된 부분인데, 중국어에도 비음 운미(韻尾)가 있으므로 쉽게 습득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많은 오류를 범하였다. 비음 종성 오류의 특징은 초급 학습자보다 중ㆍ고급 학습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었다. 이는 중국어에 대응되는 한국어 비음 종성이 완전히 같지 않고 유사하기 때문에 비음 종성 /ㄴ/, /ㅁ/, /ㅇ/를 혼동하여 발화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종성 중 가장 많은 오류가 보인 것은 유음 종성 /ㄹ/였다. 폐쇄음 종성에서는 종성 자체를 인식하기 어려워하여 탈락시켜 발음하는 오류를 많이 보였지만, 종성 /ㄹ/는 모음과 결합하여 /ㄹ/를 발음할 때 혀를 둥글게 말아서 발음하는 중국인들의 발음 습관과 관련 있는 얼화(儿化) 현상이 나타나는 오류가 많았다.
중국인 학습자가 산출하는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숙달도, 종성이 실현되는 음운 환경, 발생시키는 오류의 종류에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에 대한 습득 정도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분석을 했다는 점과 초성 자음의 오류에 집중되어 있었던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aimed at assessing whether Chinese students are properly learning Korean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ir errors in pronouncing Korean language. Since the pronunciation domain is greatly affected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ere are different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of the leaners. Although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studi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on the Chinese learners who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수연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이미혜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viii, 71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5474905&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