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기질에 대한 특성의 이해를 통하여 영아들의 문제행동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보육환경과 지도방안의 교사교육을 제안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에 관한 보고인 설문지 응답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60명의 보육교사가 자신의 어린이집 330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기질에 대한 특성의 이해를 통하여 영아들의 문제행동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보육환경과 지도방안의 교사교육을 제안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에 관한 보고인 설문지 응답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60명의 보육교사가 자신의 어린이집 330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순빈도분석 (Simple Frequency Analysis)과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영아의 기질,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영아 기질과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아성별에 따라 기질의 평균 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아가 2.41로 2. 31인 남아 보다 높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사회정서적 유능성 전체에서 여아가 2.37, 남아 2,31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행동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 중 또래 공격성은 남아가 2.88 여아가 2.6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위축, 반항성, 수면문제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격리불안과 식사문제 2개 영역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영아의 기질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질과 사회정서적유능성의 하위요인 중 활동수준, 접근-회피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질이 높을수록 사회정서적 유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의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는 영아의 기질은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질과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활동수준 , 접근-회피감,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질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의 관계는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문제행동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조절, 친사회적관계, 사회적행동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정서적 유능성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영아의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33%였고 기질의 지구성이 β= .43, 반응강도는 β= .43 .주의분산과 반응역은, β= .25로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이 시회정서적 유능성에 대한 설명력은 .33% 였다. 영아의 기질 중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이 높을수록 문제 행동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질의 문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37% 였고, 문제행동에 대하여 기질의 하위요인인 활동수준, 접근-회피,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을 독립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영향력은 기질의 반응강도 β=- .58, 지구성 β= -.22, 주의분산 β= -.13으로 영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기질에 대한 특성의 이해를 통하여 영아들의 문제행동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보육환경과 지도방안의 교사교육을 제안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에 관한 보고인 설문지 응답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60명의 보육교사가 자신의 어린이집 330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순빈도분석 (Simple Frequency Analysis)과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영아의 기질,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영아 기질과 사회정서적 유능성 및 문제행동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아성별에 따라 기질의 평균 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아가 2.41로 2. 31인 남아 보다 높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사회정서적 유능성 전체에서 여아가 2.37, 남아 2,31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행동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 중 또래 공격성은 남아가 2.88 여아가 2.6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위축, 반항성, 수면문제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격리불안과 식사문제 2개 영역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영아의 기질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질과 사회정서적유능성의 하위요인 중 활동수준, 접근-회피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질이 높을수록 사회정서적 유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의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는 영아의 기질은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질과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활동수준 , 접근-회피감,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질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의 관계는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문제행동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조절, 친사회적관계, 사회적행동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정서적 유능성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영아의 기질이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33%였고 기질의 지구성이 β= .43, 반응강도는 β= .43 .주의분산과 반응역은, β= .25로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이 시회정서적 유능성에 대한 설명력은 .33% 였다. 영아의 기질 중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이 높을수록 문제 행동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질의 문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37% 였고, 문제행동에 대하여 기질의 하위요인인 활동수준, 접근-회피, 반응강도, 지구성, 주의분산, 반응역을 독립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영향력은 기질의 반응강도 β=- .58, 지구성 β= -.22, 주의분산 β= -.13으로 영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flexible provision of infant 's problem behavio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infant temp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flexible provision of infant 's problem behavio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infant temperament and to provide data suggesting teacher education on childcare environment and gui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i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hildcare teacher at a day care center in Jeollanam-do. Sixty child care teachers targeted 330 infants in their day care center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Simpl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earson.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infant temperament,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infant?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3. What is the impact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verage analysis of temperament according to sex of infants, overall, gir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boys with 2.41 and 2.31. In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group, girls were 2.37 and boys were lower than girls with 2.3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blem behaviors. Among the sub-factors, peer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2.88 for boys and 2.65 for girls. Depressive atrophy, rebelliousness, and sleep problems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in boys than girl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solation anxiety and diet problems only in the two areas were somewhat higher in girls than boy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Infant tempera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level,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and respons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mperament, the greater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fant temperamen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 activity level,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and response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mper, the lower the problematic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attention, self -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pro-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the less the problem behavior.
3. Influence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33%, temperament endurance was β= .43, response intensity was β= .43, dispersion of attention and response was β= .25.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inf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33%.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sponse intensity, the endurance, and the variance of attention among infant temperament, the lower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was 37%.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the level of activity,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The sub-factor influ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with the response intensity of the temperament β=- .58, endurance β= -.22, and variance β= -.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flexible provision of infant 's problem behavio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infant temperament and to provide data suggesting teacher education on childcare environment and gui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i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hildcare teacher at a day care center in Jeollanam-do. Sixty child care teachers targeted 330 infants in their day care center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Simpl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earson.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infant temperament,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infant?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3. What is the impact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verage analysis of temperament according to sex of infants, overall, gir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boys with 2.41 and 2.31. In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group, girls were 2.37 and boys were lower than girls with 2.3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blem behaviors. Among the sub-factors, peer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2.88 for boys and 2.65 for girls. Depressive atrophy, rebelliousness, and sleep problems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in boys than girl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solation anxiety and diet problems only in the two areas were somewhat higher in girls than boy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Infant tempera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level,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and respons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mperament, the greater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fant temperamen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 activity level,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and response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mper, the lower the problematic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attention, self -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pro-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the less the problem behavior.
3. Influence of infant temperamen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33%, temperament endurance was β= .43, response intensity was β= .43, dispersion of attention and response was β= .25.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inf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33%.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sponse intensity, the endurance, and the variance of attention among infant temperament, the lower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was 37%.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the level of activity, approach-avoidance, reaction intensity, endurance, variance of attention,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The sub-factor influ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with the response intensity of the temperament β=- .58, endurance β= -.22, and variance β= -.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