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호접란 중간묘 생산에 적합한 배지 및 관수방법 구명 Determination of media and irrigation methods suitable for young moth orchids production using a closed plant factory system원문보기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 내에서 호접란 중간묘의 생육에 적절한 저면관수 시스템과 관수 빈도 및 배지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차 실험에서는 밀폐형 식물공장 내에서 Doritaenopsis ‘Mantefon’ 8개월 순화묘를 사용하여 배지 처리에 따라 수태와 피트모스를 이용하여 8.5cm 포트로 이식하였다. 관수방법으로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 double)을 사용하였다.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은 2회/일, 1회/일, 2회/주, 1회/주 관수하였고 매트관수(double)은 2회/주, 1회/주 관수하였다. 대조구로는 두상관수를 1회/주 관수하였다. 양액은 Ichihashi양액(EC 1.4±0.1 dS·m-1, pH 6.3±0.1)을 사용하였고, 밀폐형 식물공장 내의 환경은 온도 28±0.5℃, ...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 내에서 호접란 중간묘의 생육에 적절한 저면관수 시스템과 관수 빈도 및 배지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차 실험에서는 밀폐형 식물공장 내에서 Doritaenopsis ‘Mantefon’ 8개월 순화묘를 사용하여 배지 처리에 따라 수태와 피트모스를 이용하여 8.5cm 포트로 이식하였다. 관수방법으로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 double)을 사용하였다.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은 2회/일, 1회/일, 2회/주, 1회/주 관수하였고 매트관수(double)은 2회/주, 1회/주 관수하였다. 대조구로는 두상관수를 1회/주 관수하였다. 양액은 Ichihashi양액(EC 1.4±0.1 dS·m-1, pH 6.3±0.1)을 사용하였고, 밀폐형 식물공장 내의 환경은 온도 28±0.5℃, 상대습도 70±5%를 유지하였다. 광원으로는 bar-type warm white LED를 사용하였으며 PPFD 150μmol·m-2·s-1으로 하루 12시간 조사해주었다. 그 결과 호접란의 생육에 배지가 끼치는 영향으로는 수태 처리구가 피트모스 처리구보다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고, 관수방법 및 관수빈도의 영향으로는 두상관수보다 저면관수방식에서 비교적 더 많은 생장량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2차 실험에서는 1차실험과 동일한 시설에서 Doritaenopsis ‘Mantefon’ 8개월 순화묘를 사용하였으며 배지는 1차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수태를 사용하였다. 관수방법으로는 동일하게 담배수관수, 심지관수, 매트관수 세가지 관수방법을 사용하였다.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는 1회/일, 1회/2일(격일), 2회/주, 1회/주 관수하였다. 매트관수는 1회/주 관수해 주었으며, 대조구로는 두상관수 1회/주를 두었다. 그 결과 호접란의 생육에 관수빈도가 끼치는 영향으로는 담배수관수 내에서는 1회/2일 관수 처리구가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고, 심지관수 내에서는 1회/일 관수 처리구가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다. 관수방법의 영향으로는 담배수관수가 다른 관수 방법보다 더 좋은 생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 내에서 호접란 중간묘의 생육에 적절한 저면관수 시스템과 관수 빈도 및 배지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차 실험에서는 밀폐형 식물공장 내에서 Doritaenopsis ‘Mantefon’ 8개월 순화묘를 사용하여 배지 처리에 따라 수태와 피트모스를 이용하여 8.5cm 포트로 이식하였다. 관수방법으로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 double)을 사용하였다.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 매트관수(single)은 2회/일, 1회/일, 2회/주, 1회/주 관수하였고 매트관수(double)은 2회/주, 1회/주 관수하였다. 대조구로는 두상관수를 1회/주 관수하였다. 양액은 Ichihashi양액(EC 1.4±0.1 dS·m-1, pH 6.3±0.1)을 사용하였고, 밀폐형 식물공장 내의 환경은 온도 28±0.5℃, 상대습도 70±5%를 유지하였다. 광원으로는 bar-type warm white LED를 사용하였으며 PPFD 150μmol·m-2·s-1으로 하루 12시간 조사해주었다. 그 결과 호접란의 생육에 배지가 끼치는 영향으로는 수태 처리구가 피트모스 처리구보다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고, 관수방법 및 관수빈도의 영향으로는 두상관수보다 저면관수방식에서 비교적 더 많은 생장량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2차 실험에서는 1차실험과 동일한 시설에서 Doritaenopsis ‘Mantefon’ 8개월 순화묘를 사용하였으며 배지는 1차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수태를 사용하였다. 관수방법으로는 동일하게 담배수관수, 심지관수, 매트관수 세가지 관수방법을 사용하였다. 담배수관수와 심지관수는 1회/일, 1회/2일(격일), 2회/주, 1회/주 관수하였다. 매트관수는 1회/주 관수해 주었으며, 대조구로는 두상관수 1회/주를 두었다. 그 결과 호접란의 생육에 관수빈도가 끼치는 영향으로는 담배수관수 내에서는 1회/2일 관수 처리구가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고, 심지관수 내에서는 1회/일 관수 처리구가 비교적 많은 생장을 보였다. 관수방법의 영향으로는 담배수관수가 다른 관수 방법보다 더 좋은 생장을 보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irrigation methods, frequency and media on growth of young moth orchid plants in a closed plant factory system. In the first experiment, 8-month-old micropropagules of Doritaenopsis ‘Mantefon’ were transplanted in 8.5cm plastic pots filled with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irrigation methods, frequency and media on growth of young moth orchid plants in a closed plant factory system. In the first experiment, 8-month-old micropropagules of Doritaenopsis ‘Mantefon’ were transplanted in 8.5cm plastic pots filled with peat moss and sphagnum moss.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single, double) were used as irrigation methods.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single) were irrigated 2/day, 1/day, 2/week and 1/week. Mat culture (double) was irrigated 2/week and 1/week. The control group was overhead-irrigated once a week. All irrigation treatments were applied with Ichihashi nutrient solution of EC 1.4±0.1 dS·m-1 and pH 6.3±0.1. The plant factory system was maintained at air temperature of 28±0.5℃, relative humidity of 70±5%, photoperiod of 12 h (06:00-18:00), and PPFD of 150±10 µmol·m-2·s-1 from bar-type warm-white LED lamp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media on the growth of Phalaenopsis showed relatively higher growth in the sphagnum moss than the peatmoss treatment. The influence of the irrigation method and irrigation frequency tended to show a relatively higher growth in the subirrigation than the overhead irrig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8-month-old micropropagules of Doritaenopsis 'Mantefon' was used in the same facility as the first experiment. The medium used sphagnum moss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were used as irrigation methods. Ebb-and-flow and wick culture were irrigated 1/day, 1/2day, 2/week and 1/week. Mat culture was irrigated 1/week. The control group was overhead-irrigated once a week. As a result, the effects of irrigation frequency on the growth of Phalaenopsis showed relatively high growth of irrigation treatments 1/2 days (every other day) in ebb-and-flow, and relatively high irrigation of irrigation treatments 1/day in wick culture. The influence of the irrigation method showed that the ebb-and-flow was better than other irrigation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irrigation methods, frequency and media on growth of young moth orchid plants in a closed plant factory system. In the first experiment, 8-month-old micropropagules of Doritaenopsis ‘Mantefon’ were transplanted in 8.5cm plastic pots filled with peat moss and sphagnum moss.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single, double) were used as irrigation methods.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single) were irrigated 2/day, 1/day, 2/week and 1/week. Mat culture (double) was irrigated 2/week and 1/week. The control group was overhead-irrigated once a week. All irrigation treatments were applied with Ichihashi nutrient solution of EC 1.4±0.1 dS·m-1 and pH 6.3±0.1. The plant factory system was maintained at air temperature of 28±0.5℃, relative humidity of 70±5%, photoperiod of 12 h (06:00-18:00), and PPFD of 150±10 µmol·m-2·s-1 from bar-type warm-white LED lamp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media on the growth of Phalaenopsis showed relatively higher growth in the sphagnum moss than the peatmoss treatment. The influence of the irrigation method and irrigation frequency tended to show a relatively higher growth in the subirrigation than the overhead irrig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8-month-old micropropagules of Doritaenopsis 'Mantefon' was used in the same facility as the first experiment. The medium used sphagnum moss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Ebb-and-flow, wick culture, and mat culture were used as irrigation methods. Ebb-and-flow and wick culture were irrigated 1/day, 1/2day, 2/week and 1/week. Mat culture was irrigated 1/week. The control group was overhead-irrigated once a week. As a result, the effects of irrigation frequency on the growth of Phalaenopsis showed relatively high growth of irrigation treatments 1/2 days (every other day) in ebb-and-flow, and relatively high irrigation of irrigation treatments 1/day in wick culture. The influence of the irrigation method showed that the ebb-and-flow was better than other irrigation metho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