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노인이 당면한 경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사회참여에 관한 문헌연구와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담당 사서와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설문 및 면담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한 노인들의 경제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은 은퇴 후 가족에게 의존하는 모습보다는 재능을 기부할 수 있는 생산자로서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노인의 능력개발에 효과가 있다. 설문조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회참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문에 ‘자신의 능력개발’이 3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참여자 면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능력개발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들의 ...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노인이 당면한 경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사회참여에 관한 문헌연구와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담당 사서와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설문 및 면담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한 노인들의 경제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은 은퇴 후 가족에게 의존하는 모습보다는 재능을 기부할 수 있는 생산자로서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노인의 능력개발에 효과가 있다. 설문조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회참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문에 ‘자신의 능력개발’이 3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참여자 면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능력개발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효과가 있다. 사회로부터 은퇴하게 되면 경제, 사회적 역할상실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폐쇄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하지만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폭 넓은 대인관계 형성, 정신 및 육체적 건강, 질서 잡힌 생활 등 삶의 질적 향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1, 3 세대의 소통의 효과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1세대와 3세대 간의 교류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1세대와 3세대 간의 소통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노년층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공도서관 이용자층 중 노인의 도서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시행 중인 공공도서관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노년층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촉진시켰다. 현재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공도서관 분야에서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노인이 당면한 경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사회참여에 관한 문헌연구와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담당 사서와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설문 및 면담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한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한 노인들의 경제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은 은퇴 후 가족에게 의존하는 모습보다는 재능을 기부할 수 있는 생산자로서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노인의 능력개발에 효과가 있다. 설문조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회참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문에 ‘자신의 능력개발’이 3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참여자 면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능력개발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효과가 있다. 사회로부터 은퇴하게 되면 경제, 사회적 역할상실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폐쇄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하지만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폭 넓은 대인관계 형성, 정신 및 육체적 건강, 질서 잡힌 생활 등 삶의 질적 향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1, 3 세대의 소통의 효과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1세대와 3세대 간의 교류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1세대와 3세대 간의 소통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노년층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공도서관 이용자층 중 노인의 도서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시행 중인 공공도서관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노년층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촉진시켰다. 현재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공도서관 분야에서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노인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 immediat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the aging society, the effect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ies is analyzed and the necessity is presented. Following a literature review on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case s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 immediat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the aging society, the effect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ies is analyzed and the necessity is presented. Following a literature review on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case studies of public libraries'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were conducted as well a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lderly people and the responsible librarian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a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conomic activity and volunteer activity for retired seniors. Through the programs, elderly people appear to depend less on their families after retirement, and they gain opportunities as producers who can donate talent. Second, participation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ies of the elderly. In this survey, among the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development of your skills" was found to elicit at the most affirmative response, at 35.5%. The participant interviews also indicated the effects of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e programs. Third, participation results i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en retiring from society, loss of economic and social roles causes mental instability and a closed life. However,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experienced improved quality of life, including the formation of wide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orderly living. Fourth, communication effect between 1st and 3rd generations can be obtained. In modern society, exchange between the 1st generation and the 3rd generation is scarce, but through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y, such communication takes place. Fifth,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elderly people's use of public libraries.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elderly people have lower library utilization rates. However, in public libraries implementing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elderly’s use of public libraries increased. Currently, research on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the elderl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has hardly been don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 immediat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the aging society, the effect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ies is analyzed and the necessity is presented. Following a literature review on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case studies of public libraries'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were conducted as well a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lderly people and the responsible librarian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a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conomic activity and volunteer activity for retired seniors. Through the programs, elderly people appear to depend less on their families after retirement, and they gain opportunities as producers who can donate talent. Second, participation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ies of the elderly. In this survey, among the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development of your skills" was found to elicit at the most affirmative response, at 35.5%. The participant interviews also indicated the effects of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e programs. Third, participation results i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en retiring from society, loss of economic and social roles causes mental instability and a closed life. However,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experienced improved quality of life, including the formation of wide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orderly living. Fourth, communication effect between 1st and 3rd generations can be obtained. In modern society, exchange between the 1st generation and the 3rd generation is scarce, but through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y, such communication takes place. Fifth,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elderly people's use of public libraries.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elderly people have lower library utilization rates. However, in public libraries implementing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elderly’s use of public libraries increased. Currently, research on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of the elderl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has hardly been don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