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중·일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관심도와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만족도 및 구매의도 A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hair style interest and awareness toward a wing of Korean, Chinese, Japanese women원문보기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탈모환자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여성들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변화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가발착용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과 차이가 있는가를 실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조사는 2017년 3월 15일부터 6월 20일까지 한․중․일 여성 가발착용자 750명이었으며, 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72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것 20부를 제외한 총 70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탈모환자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여성들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변화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가발착용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과 차이가 있는가를 실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조사는 2017년 3월 15일부터 6월 20일까지 한․중․일 여성 가발착용자 750명이었으며, 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72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것 20부를 제외한 총 70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0.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적극적 실천형, 일반적 인지형의 2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가발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가발착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자아효능감은 표현자신감, 이미지 관리 능력의 2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헤어스타일 관심도의 하위차원인 일반적 인지형에서만 자아효능감의 하위차원인 표현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가발착용 인식이 가발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가발착용 인식이 가발착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여섯째, 가발착용 인식이 자아효능감(표현자신감, 이미지 관리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일곱째, 국가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구의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특히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순으로 만족하였고 가발 구매의도는 중국, 한국, 일본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덟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는, 헤어스타일 관심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p<.01, p<.05).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 국가 간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영향의 정도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가 간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영향을 실증하였고, 국가 간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빈모 및 탈모로 고민 중인 여성들에게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탈모환자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여성들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변화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가발착용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과 차이가 있는가를 실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조사는 2017년 3월 15일부터 6월 20일까지 한․중․일 여성 가발착용자 750명이었으며, 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72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것 20부를 제외한 총 70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0.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적극적 실천형, 일반적 인지형의 2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가발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가발착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자아효능감은 표현자신감, 이미지 관리 능력의 2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헤어스타일 관심도의 하위차원인 일반적 인지형에서만 자아효능감의 하위차원인 표현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가발착용 인식이 가발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가발착용 인식이 가발착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여섯째, 가발착용 인식이 자아효능감(표현자신감, 이미지 관리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일곱째, 국가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구의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특히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순으로 만족하였고 가발 구매의도는 중국, 한국, 일본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덟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는, 헤어스타일 관심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p<.01, p<.05).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 국가 간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영향의 정도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가 간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영향을 실증하였고, 국가 간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에 따른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 가발착용 인식, 자아효능감, 가발착용 만족도 및 가발 구매의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빈모 및 탈모로 고민 중인 여성들에게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wig-wearing to satisfy women's desire to change their hair style as the number of hair loss patients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an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 of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wig-wearing to satisfy women's desire to change their hair style as the number of hair loss patients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an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 of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o June 20, 2017, for 750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omen wearing wigs; 720 copies were collected from 7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0 uncompleted ones were excluded and 700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Duncan-test as post-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ir style interest consisted of two types: active practice type and general awareness type, and hair style interes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 purchase intention (p>.05). Second, hair style interes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wearing satisfaction (p>.05). Third, self-efficacy consisted of two factors: expression confidence and image management ability, and only general awareness type, which is a subdimension of hair style interes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xpression confidence, a subdimension of self efficacy(p<.01). Fourth, wig-wearing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buy a wig (p<.001). Fifth, wig-wearing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wearing satisfaction (p<.001). Sixth, wig-wearing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expression confidence and image management ability) (p<.001). Seven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country (p<.001).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ere satisfied with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and wig-wearing satisfaction in that order. And it was found that the wig purchase intension was satisfied in order of China, Korea, and Japan. Eighth, difference in the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air style interest; however, other variable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p<.01,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confirmed the degree and differences of the effects of the hair style interest, the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the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of the women from the countr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were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hair style interest,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hair style interest,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women depending on the country. Also, it is meaningful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to women who are worried about hypotrichosis and hair loss by checking the differences of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wig-wearing to satisfy women's desire to change their hair style as the number of hair loss patients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an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 of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o June 20, 2017, for 750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omen wearing wigs; 720 copies were collected from 7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0 uncompleted ones were excluded and 700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Duncan-test as post-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ir style interest consisted of two types: active practice type and general awareness type, and hair style interes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 purchase intention (p>.05). Second, hair style interes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wearing satisfaction (p>.05). Third, self-efficacy consisted of two factors: expression confidence and image management ability, and only general awareness type, which is a subdimension of hair style interes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xpression confidence, a subdimension of self efficacy(p<.01). Fourth, wig-wearing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buy a wig (p<.001). Fifth, wig-wearing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g-wearing satisfaction (p<.001). Sixth, wig-wearing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expression confidence and image management ability) (p<.001). Seven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country (p<.001).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ere satisfied with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and wig-wearing satisfaction in that order. And it was found that the wig purchase intension was satisfied in order of China, Korea, and Japan. Eighth, difference in the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air style interest; however, other variable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p<.01,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confirmed the degree and differences of the effects of the hair style interest, the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the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of the women from the countr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were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hair style interest,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hair style interest, self efficacy from wig-wearing awareness,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women depending on the country. Also, it is meaningful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to women who are worried about hypotrichosis and hair loss by checking the differences of hair style interest, wig-wearing awareness, self efficacy, wig-wearing satisfaction and wig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