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리빙 뮤지엄(Living Museum)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 : 서울시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A Case Study for the Korean Application of the Living Museum : Focused on the historical house museum in Seoul원문보기
본 논문은 한국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리빙 뮤지엄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서울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의 새로운 지점을 덧붙이고, 리빙 히스토리 개념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안함에 따라 관람객의 역사 체험을 생생하게 살리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리빙 뮤지엄은 19세기 후반 정통 농촌사회와 민속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며, 역사적 공간과 역사적 주택을 보존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리빙 뮤지엄이 갖는 의의는 과거의 완벽한 모사 또는 재연을 통해 관람객에게 체험의 생생함을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이 갖게 된 경험의 맥락 속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빙 뮤지엄은 때로 에코 뮤제 혹은 야외박물관(open-air museum)과 유사하게 분리되기도 한다. 하지만 리빙 뮤지엄은 리빙 히스토리라는 개념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역사 재연 및 모사 형태의 체험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리빙 뮤지엄의 주요 구성요소는 물리적 시설로써 역사적 장소, 역사적 삶과 사건, 이야기(...
본 논문은 한국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리빙 뮤지엄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서울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의 새로운 지점을 덧붙이고, 리빙 히스토리 개념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안함에 따라 관람객의 역사 체험을 생생하게 살리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리빙 뮤지엄은 19세기 후반 정통 농촌사회와 민속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며, 역사적 공간과 역사적 주택을 보존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리빙 뮤지엄이 갖는 의의는 과거의 완벽한 모사 또는 재연을 통해 관람객에게 체험의 생생함을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이 갖게 된 경험의 맥락 속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빙 뮤지엄은 때로 에코 뮤제 혹은 야외박물관(open-air museum)과 유사하게 분리되기도 한다. 하지만 리빙 뮤지엄은 리빙 히스토리라는 개념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역사 재연 및 모사 형태의 체험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리빙 뮤지엄의 주요 구성요소는 물리적 시설로써 역사적 장소, 역사적 삶과 사건, 이야기(콘텐츠), 리빙 히스토리언(화자), 관객(개입 및 참여자)으로 설정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 간에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실행하는지를 구현하는 것이 리빙 뮤지엄의 핵심활동이 되는 셈이다. 플리머스 플랜테이션, 시드니 리빙 뮤지엄, 뉴욕 테너먼트 뮤지엄 그리고 오사카 주택박물관을 해외 주요 리빙 뮤지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사례를 통해 리빙 뮤지엄 현황과 운영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각 박물관의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울시 역사가옥박물관의 상황을 검토함에 따라 리빙 뮤지엄 개념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적용 프로그램 개발 유형을 제시하였고, 경교장(역사적 현장), 고희동 가옥/최순우의 집(예술가 및 미술사학자의 집), 백인제 가옥(전통가옥의 보존)을 대상으로 선정, 결과적으로 가옥별 적용 프로그램을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에 따라 추후 역사가옥을 중심으로 한 리빙 뮤지엄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리빙 뮤지엄을 활성화하고 관람객의 체험형 혹은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리빙 뮤지엄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서울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의 새로운 지점을 덧붙이고, 리빙 히스토리 개념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안함에 따라 관람객의 역사 체험을 생생하게 살리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리빙 뮤지엄은 19세기 후반 정통 농촌사회와 민속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며, 역사적 공간과 역사적 주택을 보존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리빙 뮤지엄이 갖는 의의는 과거의 완벽한 모사 또는 재연을 통해 관람객에게 체험의 생생함을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이 갖게 된 경험의 맥락 속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빙 뮤지엄은 때로 에코 뮤제 혹은 야외박물관(open-air museum)과 유사하게 분리되기도 한다. 하지만 리빙 뮤지엄은 리빙 히스토리라는 개념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역사 재연 및 모사 형태의 체험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리빙 뮤지엄의 주요 구성요소는 물리적 시설로써 역사적 장소, 역사적 삶과 사건, 이야기(콘텐츠), 리빙 히스토리언(화자), 관객(개입 및 참여자)으로 설정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 간에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실행하는지를 구현하는 것이 리빙 뮤지엄의 핵심활동이 되는 셈이다. 플리머스 플랜테이션, 시드니 리빙 뮤지엄, 뉴욕 테너먼트 뮤지엄 그리고 오사카 주택박물관을 해외 주요 리빙 뮤지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사례를 통해 리빙 뮤지엄 현황과 운영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각 박물관의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울시 역사가옥박물관의 상황을 검토함에 따라 리빙 뮤지엄 개념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적용 프로그램 개발 유형을 제시하였고, 경교장(역사적 현장), 고희동 가옥/최순우의 집(예술가 및 미술사학자의 집), 백인제 가옥(전통가옥의 보존)을 대상으로 선정, 결과적으로 가옥별 적용 프로그램을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에 따라 추후 역사가옥을 중심으로 한 리빙 뮤지엄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리빙 뮤지엄을 활성화하고 관람객의 체험형 혹은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iving museum that can be unfamiliar in Korea, to attach a new point of museum research by applying the concept on History House Museum in Seoul, and to vitalize historical experience of visitors by suggest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liv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iving museum that can be unfamiliar in Korea, to attach a new point of museum research by applying the concept on History House Museum in Seoul, and to vitalize historical experience of visitors by suggest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living history concept. Living Museum was built to preserve authentic rural society and folk culture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has been expanded to preserve historic space and historic housing. The significance of Living Museum of providing vividness of experience to visitors through perfect replica or reenactment of the past, and for them to interpret history in the context of personal experience. Sometimes, Living Museum gets separated into écomusée or open-air museum. However, Living Museum has a certain difference in that it reenacts history more actively and takes the lead in the experience of replication format in living historic concept. Also, major components of Living Museum are composed of historical place as a physical facility, historic life and event, story(content), living historian(narrator), and audience(intervention and participant), and how these components ultimately form relationship and implementing how they carry out interaction are the core activities of Living Museum. Plymouth Plantation, Sidney Living Museum, New York Tenement Museum, and The Museum of Housing and Living in Osaka were selected as major foreign cases, and arranged the present condition and operational program of living museum through the cases and looked into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ype of development program, selected Gyeonggyojang(historic site), House of Go Hui-dong/House of Choi Soon-Woo(house of an artist and art historian), and House of Baek In-Je(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house), and classified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ypes by house. As living museum is forecasted to increase around historical houses in the future, multilateral studies are considered necessary as vitalizing living museum and experiential or participatory program facilitat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iving museum that can be unfamiliar in Korea, to attach a new point of museum research by applying the concept on History House Museum in Seoul, and to vitalize historical experience of visitors by suggest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living history concept. Living Museum was built to preserve authentic rural society and folk culture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has been expanded to preserve historic space and historic housing. The significance of Living Museum of providing vividness of experience to visitors through perfect replica or reenactment of the past, and for them to interpret history in the context of personal experience. Sometimes, Living Museum gets separated into écomusée or open-air museum. However, Living Museum has a certain difference in that it reenacts history more actively and takes the lead in the experience of replication format in living historic concept. Also, major components of Living Museum are composed of historical place as a physical facility, historic life and event, story(content), living historian(narrator), and audience(intervention and participant), and how these components ultimately form relationship and implementing how they carry out interaction are the core activities of Living Museum. Plymouth Plantation, Sidney Living Museum, New York Tenement Museum, and The Museum of Housing and Living in Osaka were selected as major foreign cases, and arranged the present condition and operational program of living museum through the cases and looked into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ype of development program, selected Gyeonggyojang(historic site), House of Go Hui-dong/House of Choi Soon-Woo(house of an artist and art historian), and House of Baek In-Je(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house), and classified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ypes by house. As living museum is forecasted to increase around historical houses in the future, multilateral studies are considered necessary as vitalizing living museum and experiential or participatory program facilitate acquisition of knowledg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