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공기관 경영평가 주요사업 지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major project indicators for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원문보기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에서 해마다 진행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경영관리와 주요사업으로 구성된 지표 중 주요사업 지표의 구성과 주요사업의 지표가 해당 공공기관의 성과를 얼마나 정확하고 적정하게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지표 구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영관리부문 지표는 기획재정부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으며 주요사업 부문은 사업을 위탁한 정부부처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어 주요사업의 평가는 공공기관의 설립목적사업을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라 하라 수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주요사업 지표를 구성하는 결정요인을 지표구성 주체, 지표구성 과정, 지표구성 체계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결정요인별로 현재 공공기관들이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주요사업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하여 결정요인간의 영향력 및 연계구조를 ...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에서 해마다 진행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경영관리와 주요사업으로 구성된 지표 중 주요사업 지표의 구성과 주요사업의 지표가 해당 공공기관의 성과를 얼마나 정확하고 적정하게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지표 구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영관리부문 지표는 기획재정부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으며 주요사업 부문은 사업을 위탁한 정부부처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어 주요사업의 평가는 공공기관의 설립목적사업을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라 하라 수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주요사업 지표를 구성하는 결정요인을 지표구성 주체, 지표구성 과정, 지표구성 체계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결정요인별로 현재 공공기관들이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주요사업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하여 결정요인간의 영향력 및 연계구조를 다중회귀분석과 DEMATEL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현황 분석결과 첫째, 지표구성 주체 영역의 한계로는 기관장의 관심도가 평가의 중요성 인식정도,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평가부서는 성과관리 외에 다양한 업무를 같이 수행하고 있어 성과관리 업무에 대한 집중력이 취약해 질 수 있다. 또한 평가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 전문가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표구성 과정 영역의 한계는 주요사업과 연계한 정보시스템은 주요사업별로 독립적으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어 데이터의 통합성이 결여되고 전체 사업에 대한 분류, 분석 통계 등의 기능이 미흡하다. 지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주요사업 구성원의 일부만이 참여하고 있으며, 정례화 되어 있지 않다. 지표구성에 대한 동기부여는 부서 또는 개인에 대해 금전적 보상이 미흡하여 실질적인 동기부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표구성 체계 영역의 한계는 중장기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이 낮으며 주요사업의 일부 성과만을 대변하는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지표의 속성은 과정 혹은 산출지표 위주로 지표가 구성되어져 사업의 궁극적인 성과의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표운영 현황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계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목표달성도에는 구성원참여도, 전략목표연계성, 사업대표성 등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성과향상도의 경우 인력전문성, 시스템구축, 동기부여적절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계구조 분석을 위해 수행한 DEMATEL분석 결과 중심도(D+R)은 기관장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R)의 경우 기관장 관심도와 전략목표 연계성 등이 중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 주요사업 지표가 주요사업 성과에 미치는 세부요인의 현황 및 한계점을 실증분석의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지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지표구성 주체 부문은 공공기관에서 기관장의 의지는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발휘 및 업무성과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기관장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한 교육, 평가방식, 현재 기관의 지표 등에 대한 등에 대한 공유를 통해 기관장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전략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평가조직은 경영평가 업무를 전담하는 독립된 형태로 조직되어야 하며, 평가를 전담하는 인력은 일정기간 이상 평가부서 근무와 대내외 교육 등을 통한 역량강화 및 평가관련 전문가를 외부에서 채용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표구성 과정부문에서는 사업별로 구축된 정보시스템의 통합 관리하여 지표구성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손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의 공유, 분류, 통계, 분석 등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사업을 수행하는 부서 직원의 의견수렴을 정례화하고 그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부서와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지표개발에 따른 동기부여는 조직차원의 보상을 강화하고 인사고과, 포상 등 개인차원의 보상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표구성 체계 부문에서는 개발되는 주요사업 지표는 전사 전략 목표와 연계되어야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수 있으며, 단기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목표부여(편차)방식 보다는 중장기적인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중장기목표부여 방식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사업 지표는 사업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로 선정되어야 하며, 개발되는 지표는 로직분석을 통해 과정이나 산출지표가 아닌 결과지표로 개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에서 해마다 진행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경영관리와 주요사업으로 구성된 지표 중 주요사업 지표의 구성과 주요사업의 지표가 해당 공공기관의 성과를 얼마나 정확하고 적정하게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지표 구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영관리부문 지표는 기획재정부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으며 주요사업 부문은 사업을 위탁한 정부부처의 관심사항을 대표하고 있어 주요사업의 평가는 공공기관의 설립목적사업을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라 하라 수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주요사업 지표를 구성하는 결정요인을 지표구성 주체, 지표구성 과정, 지표구성 체계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결정요인별로 현재 공공기관들이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주요사업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하여 결정요인간의 영향력 및 연계구조를 다중회귀분석과 DEMATEL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현황 분석결과 첫째, 지표구성 주체 영역의 한계로는 기관장의 관심도가 평가의 중요성 인식정도,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평가부서는 성과관리 외에 다양한 업무를 같이 수행하고 있어 성과관리 업무에 대한 집중력이 취약해 질 수 있다. 또한 평가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 전문가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표구성 과정 영역의 한계는 주요사업과 연계한 정보시스템은 주요사업별로 독립적으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어 데이터의 통합성이 결여되고 전체 사업에 대한 분류, 분석 통계 등의 기능이 미흡하다. 지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주요사업 구성원의 일부만이 참여하고 있으며, 정례화 되어 있지 않다. 지표구성에 대한 동기부여는 부서 또는 개인에 대해 금전적 보상이 미흡하여 실질적인 동기부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표구성 체계 영역의 한계는 중장기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이 낮으며 주요사업의 일부 성과만을 대변하는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지표의 속성은 과정 혹은 산출지표 위주로 지표가 구성되어져 사업의 궁극적인 성과의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표운영 현황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계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목표달성도에는 구성원참여도, 전략목표연계성, 사업대표성 등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성과향상도의 경우 인력전문성, 시스템구축, 동기부여적절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계구조 분석을 위해 수행한 DEMATEL분석 결과 중심도(D+R)은 기관장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R)의 경우 기관장 관심도와 전략목표 연계성 등이 중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 주요사업 지표가 주요사업 성과에 미치는 세부요인의 현황 및 한계점을 실증분석의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지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지표구성 주체 부문은 공공기관에서 기관장의 의지는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발휘 및 업무성과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기관장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한 교육, 평가방식, 현재 기관의 지표 등에 대한 등에 대한 공유를 통해 기관장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전략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평가조직은 경영평가 업무를 전담하는 독립된 형태로 조직되어야 하며, 평가를 전담하는 인력은 일정기간 이상 평가부서 근무와 대내외 교육 등을 통한 역량강화 및 평가관련 전문가를 외부에서 채용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표구성 과정부문에서는 사업별로 구축된 정보시스템의 통합 관리하여 지표구성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손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의 공유, 분류, 통계, 분석 등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사업을 수행하는 부서 직원의 의견수렴을 정례화하고 그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부서와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지표개발에 따른 동기부여는 조직차원의 보상을 강화하고 인사고과, 포상 등 개인차원의 보상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표구성 체계 부문에서는 개발되는 주요사업 지표는 전사 전략 목표와 연계되어야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수 있으며, 단기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목표부여(편차)방식 보다는 중장기적인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중장기목표부여 방식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사업 지표는 사업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로 선정되어야 하며, 개발되는 지표는 로직분석을 통해 과정이나 산출지표가 아닌 결과지표로 개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re showing the accurate performance of the public institutions in the annual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methods of majo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re showing the accurate performance of the public institutions in the annual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methods of major project indicators. The major project indicators represent the interests of t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major project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ministries that have commissioned projects. The determinants of the main project indicators are divided into the indicators constituent subject, the indicator constituent process, and the indicator constitue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major project indicators currently constituted by the public organizations The limitations were also derived, and the influence and linkage structure of determinants were analyzed with method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matel analysis. With the status analysis indicates, as the limit of the constituent subject area of the indicator, it was understood that the degree of the director 's interest varie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and personal tendency. The evaluation department may perform various tasks in addition to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may weaken the focus on performance management.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development of indicatores, and efforts to acquire performance management specialists for capacity building for evaluation personnel. Secondly, the limitation of the process of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systems linked with major projects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for each major project, lacking data integration, and lacking functions such a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statistics for the entire project. In the course of building the indicator, only a subset of key project members are participated. The motiv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 is insufficient in financial compensation for the department or the individual, and the actual motivation is insufficient. Thirdly, the limit of the indicator composition system area is low in relation to the mid term management strategy and consists of indicators that represent only partial performance of major projects.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ultimate performance of the project because the indicator of the development indicator consists of the process or the calculation indicator. In order to supp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indicator operation,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goal achieve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 of performance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workforce expertise, system construction, and appropriateness of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Demate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enter level (D+R) ha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in the headquarters, and the center level (D-R) had the lowest level of interest in the headquarters. With analyzing the methods of major project indicators for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suggests follows. Firstly, as the context of the current constituent subject sector,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ity and work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public institution. Therefore, the chief engineer is interested in strategic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participates strategically. The evaluation organization should be organized in an independent form dedicated to the management evaluation tasks. The personnel dedicated to the evaluation should hire external experts to strengthen and evaluate the competencies through the evaluation department work and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condly, as the context of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asily obtain the necessary data in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by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ed for each project, and the functions such as data sharing, classification, statistics and analysis need to be continuously improve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c link with the evaluation department in order to regularly collect opinions from departmental staff who perform major projects and fully reflect the opinions. The motiv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should be strengthen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compens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and reward, should be improved. Third, as the context of the indicator composition system, major project indicators to be developed should be linked to corporate strategic objectives, and they can concentrate their enterprise capabilities. Developed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as result indicators rather than process or output indicators. In addition, major project indicators should be selected as the whole indicato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re showing the accurate performance of the public institutions in the annual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methods of major project indicators. The major project indicators represent the interests of t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major project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ministries that have commissioned projects. The determinants of the main project indicators are divided into the indicators constituent subject, the indicator constituent process, and the indicator constitue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major project indicators currently constituted by the public organizations The limitations were also derived, and the influence and linkage structure of determinants were analyzed with method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matel analysis. With the status analysis indicates, as the limit of the constituent subject area of the indicator, it was understood that the degree of the director 's interest varie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and personal tendency. The evaluation department may perform various tasks in addition to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may weaken the focus on performance management.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development of indicatores, and efforts to acquire performance management specialists for capacity building for evaluation personnel. Secondly, the limitation of the process of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systems linked with major projects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for each major project, lacking data integration, and lacking functions such a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statistics for the entire project. In the course of building the indicator, only a subset of key project members are participated. The motiv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 is insufficient in financial compensation for the department or the individual, and the actual motivation is insufficient. Thirdly, the limit of the indicator composition system area is low in relation to the mid term management strategy and consists of indicators that represent only partial performance of major projects.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ultimate performance of the project because the indicator of the development indicator consists of the process or the calculation indicator. In order to supp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indicator operation,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goal achieve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 of performance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workforce expertise, system construction, and appropriateness of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Demate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enter level (D+R) ha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in the headquarters, and the center level (D-R) had the lowest level of interest in the headquarters. With analyzing the methods of major project indicators for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suggests follows. Firstly, as the context of the current constituent subject sector,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ity and work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public institution. Therefore, the chief engineer is interested in strategic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participates strategically. The evaluation organization should be organized in an independent form dedicated to the management evaluation tasks. The personnel dedicated to the evaluation should hire external experts to strengthen and evaluate the competencies through the evaluation department work and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condly, as the context of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asily obtain the necessary data in the indicator construction process by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ed for each project, and the functions such as data sharing, classification, statistics and analysis need to be continuously improve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c link with the evaluation department in order to regularly collect opinions from departmental staff who perform major projects and fully reflect the opinions. The motiv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should be strengthen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compens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and reward, should be improved. Third, as the context of the indicator composition system, major project indicators to be developed should be linked to corporate strategic objectives, and they can concentrate their enterprise capabilities. Developed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as result indicators rather than process or output indicators. In addition, major project indicators should be selected as the whole indicat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