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놀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단계별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에 위치한 N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를 희망한 유아의 부모에게 동의를 얻은 후 사회극 놀이에 대한 사전설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남자5, 여자5)씩 무선 배치하였으며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와의 사전 상담을 통한 유아의 기본정보와 사전관찰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실시기간은 실험집단에게 1주 2회 50분씩 총 14회기 진행되었으며, 자기표현능력 척도(김성희, 변창진, 1980)와 놀이몰입 척도(나은숙, 2013)를 담임교사가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놀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단계별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에 위치한 N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를 희망한 유아의 부모에게 동의를 얻은 후 사회극 놀이에 대한 사전설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남자5, 여자5)씩 무선 배치하였으며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와의 사전 상담을 통한 유아의 기본정보와 사전관찰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실시기간은 실험집단에게 1주 2회 50분씩 총 14회기 진행되었으며, 자기표현능력 척도(김성희, 변창진, 1980)와 놀이몰입 척도(나은숙, 2013)를 담임교사가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한 비모수 Wilcoxon 검증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사회극 놀이 전과 후의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극 놀이를 통한 유아의 변화는 각 척도의 하위요인을 기준으로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기표현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은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한 이후에도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놀이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놀이몰입은 사회극 놀이를 통하여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한 이후에도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극 놀이를 통하여 유아는 집단원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였으며 극 안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는 각 상황 속에서 자신의 역할 및 행동방식을 스스로 정하였으며 놀이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추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표현과 놀이몰입 증진이 필요한 유아를 상담하거나 치료할 때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이 연구결과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극 놀이는 유아의 놀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단계별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에 위치한 N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를 희망한 유아의 부모에게 동의를 얻은 후 사회극 놀이에 대한 사전설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남자5, 여자5)씩 무선 배치하였으며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와의 사전 상담을 통한 유아의 기본정보와 사전관찰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실시기간은 실험집단에게 1주 2회 50분씩 총 14회기 진행되었으며, 자기표현능력 척도(김성희, 변창진, 1980)와 놀이몰입 척도(나은숙, 2013)를 담임교사가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한 비모수 Wilcoxon 검증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사회극 놀이 전과 후의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극 놀이를 통한 유아의 변화는 각 척도의 하위요인을 기준으로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기표현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은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한 이후에도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놀이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놀이몰입은 사회극 놀이를 통하여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한 이후에도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극 놀이를 통하여 유아는 집단원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였으며 극 안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는 각 상황 속에서 자신의 역할 및 행동방식을 스스로 정하였으며 놀이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능력과 놀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추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표현과 놀이몰입 증진이 필요한 유아를 상담하거나 치료할 때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이 연구결과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what effects sociodramatic play toward young children had o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of young children.
The main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id sociodramatic play have on the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Second, what...
This study examined what effects sociodramatic play toward young children had o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of young children.
The main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id sociodramatic play have on the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Second, what effects did sociodramatic play have on the play flow of young children?
Third, how did young children change by individual and session through sociodramatic play program?
Six-years old 20 young children at N kindergarten located in D-gu,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preceding explanation on the sociodramatic play was given to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hoped for participatio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10 people (5 boy, 5 girl).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was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dvance consult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liminary observation over young children, and was organized with the intent.
A total of 14 times (each 50 minutes, twice a week) were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achers conducted pre test, post test, and follow-up tests and verified the self-expression scale (Kim Seong-Hee, Byeon Chang-Jin, 1980) and play flow scale (Na Eun-Sook, 2013). The data collect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22.0, and the differences i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of young children before and after sociodramatic play were figured out. Also, changes in young children through sociodramatic pla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step on the basis of the subfactor of each scal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given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x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ex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ositively improved through sociodramatic play. Also, the self-ex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us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was ov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given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play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ositively improved through sociodramatic play. Also, the play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sus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ird, young children formed a sense of closeness with the group members and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e sociodramatic play by experiencing various situations. Also, they were absorbed in play through process of their own choosing their roles and forms of behavior in each situation.
Such study findings has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verified that sociodramatic play toward six-year old young children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in young children, and that the sociodramatic play was effective through follow-up test. Based upon above facts, if allowing a client (the young child) to experience the sociodramatic play when consulting client who needs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just like the study findings.
This study examined what effects sociodramatic play toward young children had o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of young children.
The main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id sociodramatic play have on the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Second, what effects did sociodramatic play have on the play flow of young children?
Third, how did young children change by individual and session through sociodramatic play program?
Six-years old 20 young children at N kindergarten located in D-gu,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preceding explanation on the sociodramatic play was given to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hoped for participatio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10 people (5 boy, 5 girl).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was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dvance consult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liminary observation over young children, and was organized with the intent.
A total of 14 times (each 50 minutes, twice a week) were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achers conducted pre test, post test, and follow-up tests and verified the self-expression scale (Kim Seong-Hee, Byeon Chang-Jin, 1980) and play flow scale (Na Eun-Sook, 2013). The data collect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22.0, and the differences i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of young children before and after sociodramatic play were figured out. Also, changes in young children through sociodramatic pla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step on the basis of the subfactor of each scal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given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x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ex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ositively improved through sociodramatic play. Also, the self-ex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us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was ov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given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play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ositively improved through sociodramatic play. Also, the play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sus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ird, young children formed a sense of closeness with the group members and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e sociodramatic play by experiencing various situations. Also, they were absorbed in play through process of their own choosing their roles and forms of behavior in each situation.
Such study findings has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verified that sociodramatic play toward six-year old young children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in young children, and that the sociodramatic play was effective through follow-up test. Based upon above facts, if allowing a client (the young child) to experience the sociodramatic play when consulting client who needs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nd play flow,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just like the study finding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