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인간은 태어나 성장과정 속에서 다양한 자극을 받아들이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감각을 느끼고 지각하며 인지와 정서 등을 발달시켜 사고를 확장시킨다. 반면 생의 초기단계에서 뇌손상 또는 뇌의 발달 지연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상발달단계를 거치지 못하고 정신장애를 겪는데, 이러한 장애를 신경발달장애라고 한다(김청송, 2016; 한혜련, 2015). 신경발달장애의 한 분류인 지적장애는 과거 정신지체로 알려졌던 장애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체 인원수에 49%라는 높은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7). 지적장애 대상으로 게재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에서 초등학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흐름을 분석한 동향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게재된 학위 및 학술지 논문 중에서 아동기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학술지 발표 논문 15편, 학위논문 53편 총 68편을 ...
모든 인간은 태어나 성장과정 속에서 다양한 자극을 받아들이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감각을 느끼고 지각하며 인지와 정서 등을 발달시켜 사고를 확장시킨다. 반면 생의 초기단계에서 뇌손상 또는 뇌의 발달 지연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상발달단계를 거치지 못하고 정신장애를 겪는데, 이러한 장애를 신경발달장애라고 한다(김청송, 2016; 한혜련, 2015). 신경발달장애의 한 분류인 지적장애는 과거 정신지체로 알려졌던 장애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체 인원수에 49%라는 높은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7). 지적장애 대상으로 게재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에서 초등학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흐름을 분석한 동향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게재된 학위 및 학술지 논문 중에서 아동기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학술지 발표 논문 15편, 학위논문 53편 총 6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표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별, 연구 매체별로 항목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논문의 선정 기준에 따라 수집한 연구자와 석사 전공자 1인이 작성한 분석틀과 평정기준으로 분석대상 논문을 검토한 후 각각 분류하여 평정하였다. 평정한 결과는 검토 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각 분석항목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 연도별 동향에서는 전체 68편의 논문 중에서 학술지 15편, 학위논문 53편이며, 연구 증가폭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2000년 이후 꾸준히 연구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장애 등급 항목에서 3급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대상별 주제 분석에서 심리·정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년 분석 결과에서는 고학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주제에서 고학년, 저학년 모두 사회성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별 동향에서는 발표 연도에 따른 연구 주제에서 사회성 항목이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심리·정서와 부적응 행동이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진행된 회기수를 살펴본 결과 11-20회기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치료 장소별 주제에서 일반학교와 심리치료기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일반학교에서는 심리·정서, 심리치료기관은 사회성, 부적응행동, 주의력 및 조절의 주제가 가장 많았다. 치료 대상 크기는 집단치료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집단원 3명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연구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한 통합적연구 비율이 높았으며 그 중 단일집단 통합적설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방법에서는 기술통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서 개관적 측정도구는 선별도구로 K-WISC와 사회성숙도 검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효과검증에서는 부적응 행동 감소와 관련해서 아동 행동 평가 척도(K-CBCL)가 가장 높았고, 투사적 측정도구에서는 HTP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을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매체별 동향에서는 평면매체 크레파스, 채색매체 물감, 입체매체 각종 끈과 실, 식재료, 입체매체 지점토/종이죽, 종이매체는 도화지, 색종이 그리고 비정형매체 물풀이 가장 많은 사용되었으며 표현기법에서는 그리기, 만들기, 찍기, 붙이기, 꾸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앞으로 아동기 지적장애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연구의 발전을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든 인간은 태어나 성장과정 속에서 다양한 자극을 받아들이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감각을 느끼고 지각하며 인지와 정서 등을 발달시켜 사고를 확장시킨다. 반면 생의 초기단계에서 뇌손상 또는 뇌의 발달 지연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상발달단계를 거치지 못하고 정신장애를 겪는데, 이러한 장애를 신경발달장애라고 한다(김청송, 2016; 한혜련, 2015). 신경발달장애의 한 분류인 지적장애는 과거 정신지체로 알려졌던 장애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체 인원수에 49%라는 높은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7). 지적장애 대상으로 게재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에서 초등학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흐름을 분석한 동향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게재된 학위 및 학술지 논문 중에서 아동기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학술지 발표 논문 15편, 학위논문 53편 총 6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표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별, 연구 매체별로 항목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논문의 선정 기준에 따라 수집한 연구자와 석사 전공자 1인이 작성한 분석틀과 평정기준으로 분석대상 논문을 검토한 후 각각 분류하여 평정하였다. 평정한 결과는 검토 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각 분석항목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 연도별 동향에서는 전체 68편의 논문 중에서 학술지 15편, 학위논문 53편이며, 연구 증가폭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2000년 이후 꾸준히 연구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장애 등급 항목에서 3급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대상별 주제 분석에서 심리·정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년 분석 결과에서는 고학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주제에서 고학년, 저학년 모두 사회성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별 동향에서는 발표 연도에 따른 연구 주제에서 사회성 항목이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심리·정서와 부적응 행동이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진행된 회기수를 살펴본 결과 11-20회기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치료 장소별 주제에서 일반학교와 심리치료기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일반학교에서는 심리·정서, 심리치료기관은 사회성, 부적응행동, 주의력 및 조절의 주제가 가장 많았다. 치료 대상 크기는 집단치료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집단원 3명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연구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한 통합적연구 비율이 높았으며 그 중 단일집단 통합적설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방법에서는 기술통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서 개관적 측정도구는 선별도구로 K-WISC와 사회성숙도 검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효과검증에서는 부적응 행동 감소와 관련해서 아동 행동 평가 척도(K-CBCL)가 가장 높았고, 투사적 측정도구에서는 HTP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을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매체별 동향에서는 평면매체 크레파스, 채색매체 물감, 입체매체 각종 끈과 실, 식재료, 입체매체 지점토/종이죽, 종이매체는 도화지, 색종이 그리고 비정형매체 물풀이 가장 많은 사용되었으며 표현기법에서는 그리기, 만들기, 찍기, 붙이기, 꾸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앞으로 아동기 지적장애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연구의 발전을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very individual is born and grows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exploring various stimuli, expanding his or her thoughts by developing cognition and emotion from feeling and perceiving these stimuli.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experience brain damage or developmental delays in the early...
Every individual is born and grows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exploring various stimuli, expanding his or her thoughts by developing cognition and emotion from feeling and perceiving these stimuli.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experience brain damage or developmental delays in the early stages of life experience mental disorders without undergoing normal development, in what are known as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y, a disorder previously referred to as mental retardation,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at is reported to amount to 49% of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require special education. Although art 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previous studies examining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 is no research analyzing the trends and flow of art therapy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15 journal articles and 53 graduate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18, for a total of 68 articles examining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em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treatment content, research methods, and treatment media. Data se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researcher and another master’s student after review based on the analysis frame and selection criteria of the the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each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trend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of 15 journal articles and 53 theses in the total of 68 pap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increase of research, but instea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teadily since 200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rends of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children with third degre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y, and the subjects of psychology·emotion were the most studied amongst the various themes. Results from analysis based on grade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more studies conducted on upper grades, and the topic of social skills was the most studied in both the upper and lower grades. Third, analyses on trends of research contents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showed that the topic of social skills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psychology·emotion, and maladaptive behavi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sessions held by topic, 11 to 20 sessions was the most common. Schools and psychotherapy institu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regards to treatment locations. Psychology·emotion was highest in school settings, while social skills, maladaptive behaviors, and attention and control were highest in psychotherapy institutions. In regards to size of the treatment group, group therapy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groups of three members being most common. Fourth, according to analyses on trends of research methods, integrated research that combined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highest, among which a single group integrated design was the most comm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he most among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K-WISC and Social Maturity Scale were the most common assessment tools. As for tools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K-CBCL was most used to show decreases in maladaptive behavior, and HT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jective test. Fifth, in regards to research trends of treatment media, crayons for flat media, paint for color media, various strings and threads, food, and clay for three-dimensional media, drawing paper and colored paper for paper media, and glue for atypical media were most used. Methods of expression were most common in the following order, drawing, making, printing pasting, and decorat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presents background data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It is expected that thi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rther research.
Every individual is born and grows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exploring various stimuli, expanding his or her thoughts by developing cognition and emotion from feeling and perceiving these stimuli.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experience brain damage or developmental delays in the early stages of life experience mental disorders without undergoing normal development, in what are known as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y, a disorder previously referred to as mental retardation,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at is reported to amount to 49% of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require special education. Although art 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previous studies examining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 is no research analyzing the trends and flow of art therapy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15 journal articles and 53 graduate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18, for a total of 68 articles examining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em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treatment content, research methods, and treatment media. Data se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researcher and another master’s student after review based on the analysis frame and selection criteria of the the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each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trend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of 15 journal articles and 53 theses in the total of 68 pap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increase of research, but instea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teadily since 200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rends of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children with third degre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y, and the subjects of psychology·emotion were the most studied amongst the various themes. Results from analysis based on grade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more studies conducted on upper grades, and the topic of social skills was the most studied in both the upper and lower grades. Third, analyses on trends of research contents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showed that the topic of social skills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psychology·emotion, and maladaptive behavi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sessions held by topic, 11 to 20 sessions was the most common. Schools and psychotherapy institu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regards to treatment locations. Psychology·emotion was highest in school settings, while social skills, maladaptive behaviors, and attention and control were highest in psychotherapy institutions. In regards to size of the treatment group, group therapy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groups of three members being most common. Fourth, according to analyses on trends of research methods, integrated research that combined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highest, among which a single group integrated design was the most comm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he most among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K-WISC and Social Maturity Scale were the most common assessment tools. As for tools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K-CBCL was most used to show decreases in maladaptive behavior, and HT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jective test. Fifth, in regards to research trends of treatment media, crayons for flat media, paint for color media, various strings and threads, food, and clay for three-dimensional media, drawing paper and colored paper for paper media, and glue for atypical media were most used. Methods of expression were most common in the following order, drawing, making, printing pasting, and decorat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presents background data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It is expected that thi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rther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