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es and self-esteem in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원문보기
본 연구는 학습에 대한 거부감과 위축감을 보이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단일사례연구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목적을 두고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에 소재한 00초등학교 4학년에 다니는 만 10세 남아로 담임으로부터 또래관계는 비교적 원만하나 학습 시 질문에도 답을 하지 않거나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위축된 행동을 보여 의뢰되었다. H복지관 내 상담센터 상담실에서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24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에 아동의 ...
본 연구는 학습에 대한 거부감과 위축감을 보이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단일사례연구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목적을 두고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에 소재한 00초등학교 4학년에 다니는 만 10세 남아로 담임으로부터 또래관계는 비교적 원만하나 학습 시 질문에도 답을 하지 않거나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위축된 행동을 보여 의뢰되었다. H복지관 내 상담센터 상담실에서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24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에 아동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화된 지능검사인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K-WISC-IV)를 실시한 결과 아동은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아동으로 나왔다. 이에 아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불균형된 인지를 파악하고 아동의 잠재적 능력을 고려하여 미술활동에 학습을 접목시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 학습동기 척도지와 신철(1997)이 번안하고 조영숙(2012)이 수정, 보완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투사검사로 집-나무-사람(HTP) 투사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위영역인 계속동기에는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비본질적 동기, 본질동기, 수업동기에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위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집-나무-사람(HTP) 투사검사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하여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은 미술치료 초기단계에 목소리도 작고 눈맞춤도 안되고 자신감 없으며 위축된 모습에서 차츰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목소리도 커지고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기도 하고 아이디어도 내며 활동에 적극적인 모습에서 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에 대한 거부감과 위축감을 보이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단일사례연구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목적을 두고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에 소재한 00초등학교 4학년에 다니는 만 10세 남아로 담임으로부터 또래관계는 비교적 원만하나 학습 시 질문에도 답을 하지 않거나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위축된 행동을 보여 의뢰되었다. H복지관 내 상담센터 상담실에서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24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에 아동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화된 지능검사인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K-WISC-IV)를 실시한 결과 아동은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아동으로 나왔다. 이에 아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불균형된 인지를 파악하고 아동의 잠재적 능력을 고려하여 미술활동에 학습을 접목시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 학습동기 척도지와 신철(1997)이 번안하고 조영숙(2012)이 수정, 보완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투사검사로 집-나무-사람(HTP) 투사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위영역인 계속동기에는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비본질적 동기, 본질동기, 수업동기에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위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집-나무-사람(HTP) 투사검사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하여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은 미술치료 초기단계에 목소리도 작고 눈맞춤도 안되고 자신감 없으며 위축된 모습에서 차츰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목소리도 커지고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기도 하고 아이디어도 내며 활동에 적극적인 모습에서 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미술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습동기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showed a feeling of discomfort and depression. We performed individual art 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 targ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showed a feeling of discomfort and depression. We performed individual art 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 target child was a 10-year-old boy who attended forth grade in 00 elementary school in B city. It was commissioned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from the classroom to the peer relationship was relatively satisfactory but did not respond to the question during the study or showed a shrinking behavior. In the counseling room at H Welfare Counseling Center from April to September 2018,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4 sessions, once a week for 50 minutes. In order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child in advance, we conducted a standardized intelligence test, the Wechsler Children's Intelligence Test (K-WISC-IV), and found that the child was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refore, we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ild, grasped the unbalanced cognition, and applied the art therapy program which incorporates learning into the art activity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the child. As a measurement tool, the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prepared by Kim Yong-rae (2000) was analyzed by pre- and post-test to measure the self-esteem test for children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 Young-Sook(2012) and was adapted by Shin-cheol (1997). Projective tests were carried out for house-tree-person (HTP)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domain of continuous motivation, but showed an improvement in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motiv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rt therapy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gener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mong the sub-domains, bu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family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Third,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self-esteem by comparing pre- and post- projective tests of house–tree-person (HTP)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 child showed a small voice at the early stage of art therapy, no eye contact, no confidence, and atrophic appearance. However,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voices grew and the child was able to choose his own themes and ideas, and observe the changes in an active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child'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showed a feeling of discomfort and depression. We performed individual art 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 target child was a 10-year-old boy who attended forth grade in 00 elementary school in B city. It was commissioned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from the classroom to the peer relationship was relatively satisfactory but did not respond to the question during the study or showed a shrinking behavior. In the counseling room at H Welfare Counseling Center from April to September 2018,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4 sessions, once a week for 50 minutes. In order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child in advance, we conducted a standardized intelligence test, the Wechsler Children's Intelligence Test (K-WISC-IV), and found that the child was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refore, we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ild, grasped the unbalanced cognition, and applied the art therapy program which incorporates learning into the art activity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the child. As a measurement tool, the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prepared by Kim Yong-rae (2000) was analyzed by pre- and post-test to measure the self-esteem test for children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 Young-Sook(2012) and was adapted by Shin-cheol (1997). Projective tests were carried out for house-tree-person (HTP)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domain of continuous motivation, but showed an improvement in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motiv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rt therapy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gener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mong the sub-domains, bu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family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Third,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self-esteem by comparing pre- and post- projective tests of house–tree-person (HTP) of the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e child showed a small voice at the early stage of art therapy, no eye contact, no confidence, and atrophic appearance. However,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voices grew and the child was able to choose his own themes and ideas, and observe the changes in an active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child'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