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종합예술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인 뮤지컬은 19세기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태생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최근 TV, 음악, 영화 시장에서도 뮤지컬의 대중성과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뮤지컬을 단순히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무대 위에서 직접 공연을 하는 전문 배우가 되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를 반영하듯 실제 다수의 고등학교에서 뮤지컬 교육에 관련된 학과와 과목들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선 예술 고등학교의 뮤지컬 정규수업의 시수가 많지 않고, 무엇보다 1:1 도제식 방법 외 다양한 교수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1:1 도제식 수업만으로는 적은 시수 내 학습자들이 지도자와 소통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기 어렵고, 수업을 받는 1명 이외의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 효과도 다소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지도자의 입장에서도, 특히 신입 교사의 경우 교수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길잡이가 없어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효과는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고등과정 뮤지컬 교육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특히, ...
현대 종합예술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인 뮤지컬은 19세기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태생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최근 TV, 음악, 영화 시장에서도 뮤지컬의 대중성과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뮤지컬을 단순히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무대 위에서 직접 공연을 하는 전문 배우가 되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를 반영하듯 실제 다수의 고등학교에서 뮤지컬 교육에 관련된 학과와 과목들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선 예술 고등학교의 뮤지컬 정규수업의 시수가 많지 않고, 무엇보다 1:1 도제식 방법 외 다양한 교수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1:1 도제식 수업만으로는 적은 시수 내 학습자들이 지도자와 소통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기 어렵고, 수업을 받는 1명 이외의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 효과도 다소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지도자의 입장에서도, 특히 신입 교사의 경우 교수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길잡이가 없어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효과는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고등과정 뮤지컬 교육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특히,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을 고찰하여, 학생들의 뮤지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및 교육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도안 구성을 시도하였다. 특히, 반두라가 제시한 관찰 학습의 4단계, 즉, 관찰, 파지, 운동 재생, 동기화에 자기·상호 평가 시간을 더해 총 5차시의 교육안을 구성하여 뮤지컬 보컬 수업안을 제작, 이를 바탕으로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을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심층 면접을 통해 수업 내용 및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발적 참여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다른 학생들의 성취를 관찰하는 것이 학습자의 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이 밝혀졌다. 즉,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및 보상을 관찰함으로써 대리학습을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평가 및 자기 강화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반두라의 이론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지도안 연구에 도움이 되고, 또한, 일선 교육현장에서도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증진되는 방향으로 활발히 활용되길 바란다.
현대 종합예술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인 뮤지컬은 19세기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태생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최근 TV, 음악, 영화 시장에서도 뮤지컬의 대중성과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뮤지컬을 단순히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무대 위에서 직접 공연을 하는 전문 배우가 되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를 반영하듯 실제 다수의 고등학교에서 뮤지컬 교육에 관련된 학과와 과목들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선 예술 고등학교의 뮤지컬 정규수업의 시수가 많지 않고, 무엇보다 1:1 도제식 방법 외 다양한 교수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1:1 도제식 수업만으로는 적은 시수 내 학습자들이 지도자와 소통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기 어렵고, 수업을 받는 1명 이외의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 효과도 다소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지도자의 입장에서도, 특히 신입 교사의 경우 교수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길잡이가 없어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효과는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고등과정 뮤지컬 교육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특히,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을 고찰하여, 학생들의 뮤지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및 교육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도안 구성을 시도하였다. 특히, 반두라가 제시한 관찰 학습의 4단계, 즉, 관찰, 파지, 운동 재생, 동기화에 자기·상호 평가 시간을 더해 총 5차시의 교육안을 구성하여 뮤지컬 보컬 수업안을 제작, 이를 바탕으로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을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심층 면접을 통해 수업 내용 및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발적 참여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다른 학생들의 성취를 관찰하는 것이 학습자의 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이 밝혀졌다. 즉,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및 보상을 관찰함으로써 대리학습을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평가 및 자기 강화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반두라의 이론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지도안 연구에 도움이 되고, 또한, 일선 교육현장에서도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증진되는 방향으로 활발히 활용되길 바란다.
Musical,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modern synthetic arts, was born in Broadway of America in the 19th century, and is currently gaining explosive popularity over the world; even TV, music and movie markets are noticing the popular appeal and value of musical. Due to this popularity, the nu...
Musical,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modern synthetic arts, was born in Broadway of America in the 19th century, and is currently gaining explosive popularity over the world; even TV, music and movie markets are noticing the popular appeal and value of musical. Due to this popularity, the number of people who simply appreciate musical, and further, the number of those who hope to become professional actors and actresses performing in person on the stage. And actually, as if this is reflected, numbers of high schools are opening and operating departments and classes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However, the number of musical regular lesson hours of our arts high school is low, and above all, there is much less discussion of diverse teaching methodologies besides a 1:1 master-apprentice teaching method. The reality is that, only with this 1:1 master-apprentice teaching method,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have enough time to communicate with their instructors within the small number of hours, and that the practical education effects for the learners except a student taking a class are also a little decreased. Particularly, a new teacher as well as an instructor does not have a direct guide to a teaching method and is likely to undergo trial and error, all of whose negative effects go to the students. To improve these issues, this study made an advanced course musical teaching plan. Especially, By reviewing 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 it attempted to compose a teaching plan for students' improvement in motivation and educational effect on musical learning. In particular, it composed a total of five periods of educational plan by adding self · mutual evaluations to the four steps of observational learning presented by Bandura: observation, grasping, revival exercise, and motivation, and produced a musical vocal teaching plan; actual classes were taught for arts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class contents and effect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n in-depth interview after a demonstration class showed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in class increased among students and that especially, a teacher's positive feedback and observation of other students' achievem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the motives of students. Namely, learners can practice vicarious learning by observing the learning and compensation of other learners, based on which they evaluate and reinforce themselves. Hopefully, this study helps study a teaching plan which applied to Bandura' theory, and is also actively used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motive for lessons and self-efficiency in classes at school.
Musical,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modern synthetic arts, was born in Broadway of America in the 19th century, and is currently gaining explosive popularity over the world; even TV, music and movie markets are noticing the popular appeal and value of musical. Due to this popularity, the number of people who simply appreciate musical, and further, the number of those who hope to become professional actors and actresses performing in person on the stage. And actually, as if this is reflected, numbers of high schools are opening and operating departments and classes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However, the number of musical regular lesson hours of our arts high school is low, and above all, there is much less discussion of diverse teaching methodologies besides a 1:1 master-apprentice teaching method. The reality is that, only with this 1:1 master-apprentice teaching method,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have enough time to communicate with their instructors within the small number of hours, and that the practical education effects for the learners except a student taking a class are also a little decreased. Particularly, a new teacher as well as an instructor does not have a direct guide to a teaching method and is likely to undergo trial and error, all of whose negative effects go to the students. To improve these issues, this study made an advanced course musical teaching plan. Especially, By reviewing 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 it attempted to compose a teaching plan for students' improvement in motivation and educational effect on musical learning. In particular, it composed a total of five periods of educational plan by adding self · mutual evaluations to the four steps of observational learning presented by Bandura: observation, grasping, revival exercise, and motivation, and produced a musical vocal teaching plan; actual classes were taught for arts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class contents and effect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n in-depth interview after a demonstration class showed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in class increased among students and that especially, a teacher's positive feedback and observation of other students' achievem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the motives of students. Namely, learners can practice vicarious learning by observing the learning and compensation of other learners, based on which they evaluate and reinforce themselves. Hopefully, this study helps study a teaching plan which applied to Bandura' theory, and is also actively used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motive for lessons and self-efficiency in classes at school.
Keyword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뮤지컬 교육, 뮤지컬 보컬, 관찰(대리)학습, 모델링, 자기강화, 대리강화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다영
학위수여기관
명지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영화.뮤지컬학과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Ⅵ, 93 p.
키워드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뮤지컬 교육, 뮤지컬 보컬, 관찰(대리)학습, 모델링, 자기강화, 대리강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