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of disability acceptance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다니는 발달장애아동 3명과 비장애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아침놀이 및 중간놀이 시간에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아동 1명과 비장애아동 11명이 한 팀으로 10회씩 2∼3주간 진행되었다.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관찰자 2명이 기초선 4∼6회, 중재 10회, 유지 3회 관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는 활동선호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다니는 발달장애아동 3명과 비장애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아침놀이 및 중간놀이 시간에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아동 1명과 비장애아동 11명이 한 팀으로 10회씩 2∼3주간 진행되었다.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관찰자 2명이 기초선 4∼6회, 중재 10회, 유지 3회 관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는 활동선호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를 통해 발달장애아동 3명 중 2명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눈에 띄게 증가였으며, 1명은 긍정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 3명 모두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다. 둘째,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비장애아동과의 놀이 환경에서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다니는 발달장애아동 3명과 비장애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아침놀이 및 중간놀이 시간에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아동 1명과 비장애아동 11명이 한 팀으로 10회씩 2∼3주간 진행되었다.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관찰자 2명이 기초선 4∼6회, 중재 10회, 유지 3회 관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는 활동선호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를 통해 발달장애아동 3명 중 2명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눈에 띄게 증가였으며, 1명은 긍정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 3명 모두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다. 둘째,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깍두기 가 있는 전래놀이가 비장애아동과의 놀이 환경에서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located in D city, and 33 peer children in the integrated classes performed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at the morning playtime and the middle playtime. One team in 1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1 children played the game 10 times for 2∼3 weeks.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observed 4∼6 times on baseline, 10 times on intervention, and 2 times on maintenance by two observ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was measured by pre-test and post-test by an activity preference scale and a corresponding samp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has greatly increased the positive interaction of two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a qualitative change in positive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negative interaction of th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creased.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positively affected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accep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the play environment with non-disabled children but also positively affects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 disability accep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located in D city, and 33 peer children in the integrated classes performed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at the morning playtime and the middle playtime. One team in 1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1 children played the game 10 times for 2∼3 weeks.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observed 4∼6 times on baseline, 10 times on intervention, and 2 times on maintenance by two observ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was measured by pre-test and post-test by an activity preference scale and a corresponding samp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has greatly increased the positive interaction of two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a qualitative change in positive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negative interaction of th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creased.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positively affected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accep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the play environment with non-disabled children but also positively affects the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 disability accept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