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축약 표현들의 유형을 밝히고 사용 양상과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결 축약 표현은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종결어미와 같은 문법범주로 종결어미화되는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 실제적인 구어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구어적인 형태를 한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다루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문장 종결 축약 표현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다음 세 연구의 목표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어 구어 발화를 종결하는 축약 표현의 유형을 밝힌다. 둘째, 문장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밝힌다. 셋째, 담화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의미 기능과 사용 양상을 밝힌다. 이 세 연구 목표에 따라 한국어 구어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축약 표현들의 유형을 밝히고 사용 양상과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결 축약 표현은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종결어미와 같은 문법범주로 종결어미화되는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 실제적인 구어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구어적인 형태를 한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다루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문장 종결 축약 표현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다음 세 연구의 목표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어 구어 발화를 종결하는 축약 표현의 유형을 밝힌다. 둘째, 문장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밝힌다. 셋째, 담화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의미 기능과 사용 양상을 밝힌다. 이 세 연구 목표에 따라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한국어의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구어 말뭉치 중 장르를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10만 어절의 규모로 재구성한 구어말뭉치를 활용하였다. 장르는 담화의 성격이 사적인지 공적인지에 따라, 화청자 상호작용의 정도에 따라 ‘대화’와 ‘독백’, ‘토론/회의’, ‘연설/강의/강연’의 네 가지로 구성이 되었다. 이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종결 축약 표현을 추출하고 각 종결 축약 표현의 문장 특성 및 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종결 축약 표현은 이희자·이종희(1999), 백봉자(1999/2006), 국립국어원(2005ㄴ), 강현화 외(2016)의 네 한국어 교육용 사전을 검토하여 귀납적으로 유형화한 뒤 선정하였다. 검토한 결과 종결 축약 표현의 유형으로는 ① 간접 인용 구성 축약 표현, ② '-(으)려고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③ '-어야/아야/여야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④ 의존 명사 구성 축약 표현, ⑤ 보조사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⑥ 어미 ‘-지’ 결합 구성 축약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후 문장 유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살폈는데 종결 축약 표현이 쓰인 문장 종결 유형에 따라 약 90% 정도가 평서문의 문장으로 나타났으며 약 10% 정도가 의문문으로 나타났다. 상대높임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는데 구어말뭉치에서는 대부분 비격식체의 두루높임과 두루낮춤의 화계에서 종결 축약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는 종결 축약 표현이 문장 내에서 문장을 종결하고 상대높임법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담화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크게 장르와 발화자 변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구어 말뭉치에서 분석하였다. 종결 축약 표현은 상호작용성과 공공성에 따라 나눈 장르 유형에 따라 그 양상이 많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발화자 변인으로 크게 발화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종결 축약 표현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화자 연령별로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할 때 담화 장르나 담화 맥락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화청자의 성별, 연령의 맥락 요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으나 사용한 구어 말뭉치 자료의 한계로 직업이나 화청자 관계와 같은 추가적인 담화 특성에 따른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결 축약 표현은 문법 항목의 하나로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부류로 각각이 한국어 구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장 특성에 따라 종결 유형과 화계가 한정되어 나타나지만 담화 특성에 따라서는 담화 상황과 맥락, 발화자의 변인에 의존하여 사용 양상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구어 연구에 담화적인 문법 연구가 보다 더 필요할 것이다. 또 종결 축약 표현뿐 아니라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종결 표현 전체를 연구하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결 축약 표현들의 개별적이고 세부적인 논의도 이 연구에 이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축약 표현들의 유형을 밝히고 사용 양상과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결 축약 표현은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종결어미와 같은 문법범주로 종결어미화되는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 실제적인 구어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구어적인 형태를 한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다루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문장 종결 축약 표현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다음 세 연구의 목표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어 구어 발화를 종결하는 축약 표현의 유형을 밝힌다. 둘째, 문장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밝힌다. 셋째, 담화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의미 기능과 사용 양상을 밝힌다. 이 세 연구 목표에 따라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한국어의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구어 말뭉치 중 장르를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10만 어절의 규모로 재구성한 구어말뭉치를 활용하였다. 장르는 담화의 성격이 사적인지 공적인지에 따라, 화청자 상호작용의 정도에 따라 ‘대화’와 ‘독백’, ‘토론/회의’, ‘연설/강의/강연’의 네 가지로 구성이 되었다. 이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종결 축약 표현을 추출하고 각 종결 축약 표현의 문장 특성 및 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종결 축약 표현은 이희자·이종희(1999), 백봉자(1999/2006), 국립국어원(2005ㄴ), 강현화 외(2016)의 네 한국어 교육용 사전을 검토하여 귀납적으로 유형화한 뒤 선정하였다. 검토한 결과 종결 축약 표현의 유형으로는 ① 간접 인용 구성 축약 표현, ② '-(으)려고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③ '-어야/아야/여야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④ 의존 명사 구성 축약 표현, ⑤ 보조사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⑥ 어미 ‘-지’ 결합 구성 축약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후 문장 유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살폈는데 종결 축약 표현이 쓰인 문장 종결 유형에 따라 약 90% 정도가 평서문의 문장으로 나타났으며 약 10% 정도가 의문문으로 나타났다. 상대높임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는데 구어말뭉치에서는 대부분 비격식체의 두루높임과 두루낮춤의 화계에서 종결 축약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는 종결 축약 표현이 문장 내에서 문장을 종결하고 상대높임법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담화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크게 장르와 발화자 변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구어 말뭉치에서 분석하였다. 종결 축약 표현은 상호작용성과 공공성에 따라 나눈 장르 유형에 따라 그 양상이 많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발화자 변인으로 크게 발화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종결 축약 표현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화자 연령별로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할 때 담화 장르나 담화 맥락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화청자의 성별, 연령의 맥락 요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으나 사용한 구어 말뭉치 자료의 한계로 직업이나 화청자 관계와 같은 추가적인 담화 특성에 따른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결 축약 표현은 문법 항목의 하나로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부류로 각각이 한국어 구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장 특성에 따라 종결 유형과 화계가 한정되어 나타나지만 담화 특성에 따라서는 담화 상황과 맥락, 발화자의 변인에 의존하여 사용 양상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구어 연구에 담화적인 문법 연구가 보다 더 필요할 것이다. 또 종결 축약 표현뿐 아니라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종결 표현 전체를 연구하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결 축약 표현들의 개별적이고 세부적인 논의도 이 연구에 이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ypes of contraction expressions that close sentences in Korean spoken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use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using practical colloquial data, as they show a p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ypes of contraction expressions that close sentences in Korean spoken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use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using practical colloquial data, as they show a pattern of grammaticalization that is widely used in spoken languages and is embodied in the same grammatical category as the sentence-final ending. The study targeted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mainly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spoken forms have been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the need for communica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presented below. First, reveal the type of sentence-ending contradiction expression that ends Korean spoken language. Second, reveal the uses of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entence characteristics. Third, reveal the meaning function and uses of closing abbreviate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is revealed. In lin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e Korean spoken corpus was used as a research material and the Korean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First, the concept and criteria of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various types were shown.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t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and the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and the spoken corpus, largely according to genre and speaker var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ypes of contraction expressions that close sentences in Korean spoken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use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using practical colloquial data, as they show a pattern of grammaticalization that is widely used in spoken languages and is embodied in the same grammatical category as the sentence-final ending. The study targeted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mainly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spoken forms have been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the need for communica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presented below. First, reveal the type of sentence-ending contradiction expression that ends Korean spoken language. Second, reveal the uses of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entence characteristics. Third, reveal the meaning function and uses of closing abbreviate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is revealed. In lin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e Korean spoken corpus was used as a research material and the Korean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First, the concept and criteria of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various types were shown.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t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and the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and the spoken corpus, largely according to genre and speaker variation.
Keyword
#종결 축약 표현 구어 말뭉치 문법화 종결어미화 문장 종결 유형 구어 담화 장르 발화자 변인
학위논문 정보
저자
한승규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
지도교수
원미진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ix, 201p.
키워드
종결 축약 표현 구어 말뭉치 문법화 종결어미화 문장 종결 유형 구어 담화 장르 발화자 변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