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적 환유란 어떤 사물을 사용하여 그것과 관련된 다른 사물을 대신하는 대치표현이다. 즉 어떤 개체를 통해서 다른 개체를 지시하는 작용이다. 이러한 개념적 환유가 언어 표현에 동기를 부여해주어 체계적인 환유 표현들이 생성된다. 관용어는 구성 요소가 가지는 표면적인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관용어는 한 나라에서의 언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념적 환유 과정을 오랜 세월에 걸쳐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환유 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사랑'과 ‘미움' 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 우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로 선행연구를 탐구하였다. 한국 관용어 연구, 중국 관용어 연구, 관용어 대조 연구의 세 부분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관용어 중에서 감정과 관련된 것으로 연구 범위를 축소하고, 그중에서도 ‘사랑' 및 ‘미움'과 관련된 표현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기로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본 논문의 몇 개 주요 개념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사랑'과 ‘미움'이라는 두 감정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관용어의 정의와 범위를 탐구하고 관용어와 기타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한 다음, 한·중 양국의 관용어라는 단어의 정의와 범위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정리하였다. 이상의 주요개념을 근거로 본문의 연구대상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유 이론의 기초개념을 인지언어학 측면에서 설명하고, 환유의 의의 및 환유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확대되는 상황과 축소되는 상황 등 환유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본문에서 연구한 ‘사랑'과 ‘미움'의 관용어 환유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감정의 개념을 설명한 후 환유 이론을 근거로 환유와 ...
개념적 환유란 어떤 사물을 사용하여 그것과 관련된 다른 사물을 대신하는 대치표현이다. 즉 어떤 개체를 통해서 다른 개체를 지시하는 작용이다. 이러한 개념적 환유가 언어 표현에 동기를 부여해주어 체계적인 환유 표현들이 생성된다. 관용어는 구성 요소가 가지는 표면적인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관용어는 한 나라에서의 언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념적 환유 과정을 오랜 세월에 걸쳐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환유 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사랑'과 ‘미움' 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 우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로 선행연구를 탐구하였다. 한국 관용어 연구, 중국 관용어 연구, 관용어 대조 연구의 세 부분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관용어 중에서 감정과 관련된 것으로 연구 범위를 축소하고, 그중에서도 ‘사랑' 및 ‘미움'과 관련된 표현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기로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본 논문의 몇 개 주요 개념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사랑'과 ‘미움'이라는 두 감정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관용어의 정의와 범위를 탐구하고 관용어와 기타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한 다음, 한·중 양국의 관용어라는 단어의 정의와 범위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정리하였다. 이상의 주요개념을 근거로 본문의 연구대상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유 이론의 기초개념을 인지언어학 측면에서 설명하고, 환유의 의의 및 환유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확대되는 상황과 축소되는 상황 등 환유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본문에서 연구한 ‘사랑'과 ‘미움'의 관용어 환유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감정의 개념을 설명한 후 환유 이론을 근거로 환유와 감정표현 간의 상호 연계에 관해 서술하였다. 감정은 주관적이고 행동이나 언어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어떤 신체적이나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서 신체 외부의 변화를 유발하며,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신체 변화와 감정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Ⅲ장은 한·중 사랑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 대비 부분이다. 수집된 한국어와 중국어 사랑표현 관용어를 신체 외부 기관과 신체 내부 기관으로 분류하고 다시 ‘눈’, ‘얼굴’, ‘(애)간장’, ‘심장’등으로 나눈 후 환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추상적 개념인 감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과 중국의 사랑과 미움표현 관련 관용어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두 비교군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가 한·중 사랑표현 관용어 중에 모두 ‘눈'과 관련된 관용어가 나타난다. 또한, 신체 내부기관 중에서, 한국어는 주로 ‘(애)간장'을 통해 사랑을 표현하고 중국어에서는 주로 ‘가슴'을 통해 사랑을 표현한다. Ⅳ장은 한·중 미움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을 대비 분석하였다. 한·중 미움표현 관용어를 신체 외부 기관과 신체 내부 기관으로 분류하고 다시 ‘눈’, ‘코', ‘얼굴’, ‘귀’, ‘심장’등으로 나눈 후 환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추상적 개념인 미움 감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가 ‘눈'과 관련된 관용어가 한·중 미움표현에서 큰 비중을 나타난다. 또한 신체 내부 기관 중에, 한국어 미움표현 관용어 중 양이 많은 것은 ‘비위>배알>오장=속'의 순서로 나타나고, 중국어에서는 ‘속'으로만 나타난다. 한·중 양 국어의 관용어는 같은 표현되는 것과 한국어나 중국어에만 있는 것이 있는데, 대비의 결과를 볼 때, 한·중 사랑 감정과 미움 감정의 관용어는 의미적으로 일치한 경우보다 차이점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제Ⅴ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앞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개념적 환유란 어떤 사물을 사용하여 그것과 관련된 다른 사물을 대신하는 대치표현이다. 즉 어떤 개체를 통해서 다른 개체를 지시하는 작용이다. 이러한 개념적 환유가 언어 표현에 동기를 부여해주어 체계적인 환유 표현들이 생성된다. 관용어는 구성 요소가 가지는 표면적인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관용어는 한 나라에서의 언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념적 환유 과정을 오랜 세월에 걸쳐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환유 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사랑'과 ‘미움' 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 우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로 선행연구를 탐구하였다. 한국 관용어 연구, 중국 관용어 연구, 관용어 대조 연구의 세 부분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관용어 중에서 감정과 관련된 것으로 연구 범위를 축소하고, 그중에서도 ‘사랑' 및 ‘미움'과 관련된 표현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기로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본 논문의 몇 개 주요 개념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사랑'과 ‘미움'이라는 두 감정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관용어의 정의와 범위를 탐구하고 관용어와 기타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한 다음, 한·중 양국의 관용어라는 단어의 정의와 범위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정리하였다. 이상의 주요개념을 근거로 본문의 연구대상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유 이론의 기초개념을 인지언어학 측면에서 설명하고, 환유의 의의 및 환유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확대되는 상황과 축소되는 상황 등 환유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본문에서 연구한 ‘사랑'과 ‘미움'의 관용어 환유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감정의 개념을 설명한 후 환유 이론을 근거로 환유와 감정표현 간의 상호 연계에 관해 서술하였다. 감정은 주관적이고 행동이나 언어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어떤 신체적이나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서 신체 외부의 변화를 유발하며,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신체 변화와 감정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Ⅲ장은 한·중 사랑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 대비 부분이다. 수집된 한국어와 중국어 사랑표현 관용어를 신체 외부 기관과 신체 내부 기관으로 분류하고 다시 ‘눈’, ‘얼굴’, ‘(애)간장’, ‘심장’등으로 나눈 후 환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추상적 개념인 감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과 중국의 사랑과 미움표현 관련 관용어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두 비교군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가 한·중 사랑표현 관용어 중에 모두 ‘눈'과 관련된 관용어가 나타난다. 또한, 신체 내부기관 중에서, 한국어는 주로 ‘(애)간장'을 통해 사랑을 표현하고 중국어에서는 주로 ‘가슴'을 통해 사랑을 표현한다. Ⅳ장은 한·중 미움표현 관용어의 환유 양상을 대비 분석하였다. 한·중 미움표현 관용어를 신체 외부 기관과 신체 내부 기관으로 분류하고 다시 ‘눈’, ‘코', ‘얼굴’, ‘귀’, ‘심장’등으로 나눈 후 환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추상적 개념인 미움 감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가 ‘눈'과 관련된 관용어가 한·중 미움표현에서 큰 비중을 나타난다. 또한 신체 내부 기관 중에, 한국어 미움표현 관용어 중 양이 많은 것은 ‘비위>배알>오장=속'의 순서로 나타나고, 중국어에서는 ‘속'으로만 나타난다. 한·중 양 국어의 관용어는 같은 표현되는 것과 한국어나 중국어에만 있는 것이 있는데, 대비의 결과를 볼 때, 한·중 사랑 감정과 미움 감정의 관용어는 의미적으로 일치한 경우보다 차이점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제Ⅴ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앞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conceptual metonymy is the use of one object to replace another object related to it, which is indicating another individual by one individual. A conceptual metaphor like this stimulates language expression and makes the performance of metonymy more specific. The idiom has a third meaning in add...
The conceptual metonymy is the use of one object to replace another object related to it, which is indicating another individual by one individual. A conceptual metaphor like this stimulates language expression and makes the performance of metonymy more specific. The idiom has a third meaning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the surfac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dioms are formed on the basis of a long-term conceptual metonymy process based on the language experience of a country. Therefore, in this thesis, on account of the metonymy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metaphor of the idiom of love and hate in Korea and China is discuss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one is the introduction that first explain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n explore the prior research.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three parts of Korean idiom research, Chinese idiom research, and Korean-Chinese idiom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s first limited to the Korean-Chinese idioms about emotions, then the idioms about love and hate are extracted from the Korean-Chinese emotional idioms a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is followed by several important conceptual introductions of this paper. The first i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love and hate. Afterward, it describe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idioms, then compares Korean and Chinese idioms with other languag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nalyz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diom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thesis is determined based on these conceptual theoretical texts. The next part introduces the main theoretical metonymy of this the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it explains the basic concepts, meanings, and formation process of metonymy, and then introduces the two types of metaphor expansion and reduction. Subsequently, in order to analyze the metaphor of love and hate in this thesis, primarily, analyze the concept of emotion, and then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taphor and emo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theory of metonymy. Emotions are subjective and can be expressed through action and language. A physical or physiological change can cause a change of a person, thereby inducing the occurrence of emotion. Consequently, physical inconvenience and emotions are closely associated. The third chapter is the comparison of the metonymy situation of Korean-Chinese idioms of love. The idiom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l or external organs of the body, and then the specific organs such as 'eyes, face, liver, heart' are used to study how to express the abstract concept of love through the metaphor. Then it analyzes the direc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dioms. Love is expressed through the eyes both in Korean and Chinese. This is one of the common point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In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Korea mainly uses the liver to express love. In contrast, China mainly uses the heart as an expression. The fourth chapter i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taphor of the idioms of hate in Korea and China. It is also even more from external organs and internal organs to classify idioms and then from the specific 'eyes, nose, ears, heart' and other organs, from the specific physiological reactions or actions to analyze how to express hate through abstraction emotion. In Korean idioms of hate, 'ey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In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if organs are sorted b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the sequence should be ‘spleen and stomach > intestines > five internal organs = heart’. In comparison, the Chinese part only has the idioms about ‘heart’. After comparing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of the Korean and Chinese idioms related to love and hate, it can be found that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the similarities. Finally, chapter 5 is a concluding chapter that summarizes the content and provide usag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The conceptual metonymy is the use of one object to replace another object related to it, which is indicating another individual by one individual. A conceptual metaphor like this stimulates language expression and makes the performance of metonymy more specific. The idiom has a third meaning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the surfac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dioms are formed on the basis of a long-term conceptual metonymy process based on the language experience of a country. Therefore, in this thesis, on account of the metonymy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metaphor of the idiom of love and hate in Korea and China is discuss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one is the introduction that first explain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n explore the prior research.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three parts of Korean idiom research, Chinese idiom research, and Korean-Chinese idiom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s first limited to the Korean-Chinese idioms about emotions, then the idioms about love and hate are extracted from the Korean-Chinese emotional idioms a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is followed by several important conceptual introductions of this paper. The first i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love and hate. Afterward, it describe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idioms, then compares Korean and Chinese idioms with other languag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nalyz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diom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thesis is determined based on these conceptual theoretical texts. The next part introduces the main theoretical metonymy of this the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it explains the basic concepts, meanings, and formation process of metonymy, and then introduces the two types of metaphor expansion and reduction. Subsequently, in order to analyze the metaphor of love and hate in this thesis, primarily, analyze the concept of emotion, and then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taphor and emo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theory of metonymy. Emotions are subjective and can be expressed through action and language. A physical or physiological change can cause a change of a person, thereby inducing the occurrence of emotion. Consequently, physical inconvenience and emotions are closely associated. The third chapter is the comparison of the metonymy situation of Korean-Chinese idioms of love. The idiom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l or external organs of the body, and then the specific organs such as 'eyes, face, liver, heart' are used to study how to express the abstract concept of love through the metaphor. Then it analyzes the direc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dioms. Love is expressed through the eyes both in Korean and Chinese. This is one of the common point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In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Korea mainly uses the liver to express love. In contrast, China mainly uses the heart as an expression. The fourth chapter i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taphor of the idioms of hate in Korea and China. It is also even more from external organs and internal organs to classify idioms and then from the specific 'eyes, nose, ears, heart' and other organs, from the specific physiological reactions or actions to analyze how to express hate through abstraction emotion. In Korean idioms of hate, 'ey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In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if organs are sorted b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the sequence should be ‘spleen and stomach > intestines > five internal organs = heart’. In comparison, the Chinese part only has the idioms about ‘heart’. After comparing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of the Korean and Chinese idioms related to love and hate, it can be found that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the similarities. Finally, chapter 5 is a concluding chapter that summarizes the content and provide usag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