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원에서 일하는 임상 간호사가 근무 중 수행하는 업무 수행 빈도를 측정하고 간호사 별로 업무 수행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어떤 업무의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으로 조사하여 자주 수행하는 업무와 함께 발생 가능한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사전에 예측 및 예방하고, 이미 발생했다면 적절하게 해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상급종합병원 일반 병동에 근무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무를 이해하고 나열할 수 있으며, 간호사로서의 근무경력이 1년 이상 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가한 대상자 114명의 자가 기입형 설문지를 ...
본 연구는 병원에서 일하는 임상 간호사가 근무 중 수행하는 업무 수행 빈도를 측정하고 간호사 별로 업무 수행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어떤 업무의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으로 조사하여 자주 수행하는 업무와 함께 발생 가능한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사전에 예측 및 예방하고, 이미 발생했다면 적절하게 해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상급종합병원 일반 병동에 근무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무를 이해하고 나열할 수 있으며, 간호사로서의 근무경력이 1년 이상 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가한 대상자 114명의 자가 기입형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로서 업무의 수행 빈도는 박인숙(2012)의 간호사 직무분석에 따라 임무별로 그룹화된 일을, 직무스트레스는 Hingley (1986)가 개발하여 김향옥(2004)이 번안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중 업무 관련 요인 10문항을 각각 5점 척도로 수량화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업무적 특성과 업무별 빈도는 기술통계방법을, 대상자별 직무스트레스 및 업무 빈도는 t-test와 ANOVA를, 사후검증은 Games-Howell방법을 사용하였고 업무별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무 수준에서 간호관리와 전문성 향상, 안전과 감염관리, 잠재적 위험요인 관리, 기본간호, 생리적 통합유지, 심리적 통합유지 임무에서 경력이 높은 간호사가 유의하게 임무를 더 자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수준에서는 유의하게 내과계 병동 간호사가 인수인계하기, 처방전 관리하기, 응급상황 대처하기, 호스피스 간호하기를 자주 수행하였고, 외과계 병동 간호사는 내과계 병동 간호사에 비해 수술 전·중·후 간호하기, 상처 관리하기, 배액관 관리하기 일을 자주 수행하였다. 2)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5점 만점에 3.63±0.59로 나타났다. 개인적, 업무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평균 평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업무의 빈도에 따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을 때, 응급상황 대처하기 일을 자주 할수록 스트레스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응급상황 대처하기 일을 자주 수행할수록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불시에 발생 가능한 응급상황 대처에 관한 시뮬레이션이나 교육을 임상 경력과 관계없이 수시로 수행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른 요인을 배제한 채 업무 요인만으로 한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호환경도 변화하였지만 최근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간호업무 각각의 빈도를 측정하고 간호사의 특성별로 비교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병원에서 일하는 임상 간호사가 근무 중 수행하는 업무 수행 빈도를 측정하고 간호사 별로 업무 수행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어떤 업무의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으로 조사하여 자주 수행하는 업무와 함께 발생 가능한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사전에 예측 및 예방하고, 이미 발생했다면 적절하게 해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상급종합병원 일반 병동에 근무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무를 이해하고 나열할 수 있으며, 간호사로서의 근무경력이 1년 이상 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가한 대상자 114명의 자가 기입형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로서 업무의 수행 빈도는 박인숙(2012)의 간호사 직무분석에 따라 임무별로 그룹화된 일을, 직무스트레스는 Hingley (1986)가 개발하여 김향옥(2004)이 번안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중 업무 관련 요인 10문항을 각각 5점 척도로 수량화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업무적 특성과 업무별 빈도는 기술통계방법을, 대상자별 직무스트레스 및 업무 빈도는 t-test와 ANOVA를, 사후검증은 Games-Howell방법을 사용하였고 업무별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무 수준에서 간호관리와 전문성 향상, 안전과 감염관리, 잠재적 위험요인 관리, 기본간호, 생리적 통합유지, 심리적 통합유지 임무에서 경력이 높은 간호사가 유의하게 임무를 더 자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수준에서는 유의하게 내과계 병동 간호사가 인수인계하기, 처방전 관리하기, 응급상황 대처하기, 호스피스 간호하기를 자주 수행하였고, 외과계 병동 간호사는 내과계 병동 간호사에 비해 수술 전·중·후 간호하기, 상처 관리하기, 배액관 관리하기 일을 자주 수행하였다. 2)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5점 만점에 3.63±0.59로 나타났다. 개인적, 업무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평균 평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업무의 빈도에 따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을 때, 응급상황 대처하기 일을 자주 할수록 스트레스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응급상황 대처하기 일을 자주 수행할수록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불시에 발생 가능한 응급상황 대처에 관한 시뮬레이션이나 교육을 임상 경력과 관계없이 수시로 수행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른 요인을 배제한 채 업무 요인만으로 한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호환경도 변화하였지만 최근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간호업무 각각의 빈도를 측정하고 간호사의 특성별로 비교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