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대인관계, 이직의도와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urnover Intention and Self-efficacy on Job Stress in New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547 - 558  

김수현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자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중재전략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신규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는 이직의도(β=.481)가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 대인관계, 이직의도 3개의 설명변수의 직무스트레스(R2= .572, F=55.10, p<.001)에 대한 설명력은 57.2%였다. 이상의 결과로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감정노동과 대인관계능력 향상 및 조기에 이직의도를 발견하고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향후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예측요인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convergenc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new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nurses and collected data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tent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대인관계능력, 이직의도,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예측요인을 탐색해 봄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대인관계,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연구로, 감정노동, 대인관계, 이직의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신규간호사에 대한 인력관리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탐색해 봄으로써,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전략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및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의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간호사의 감정노동, 대인관계 능력,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 대인관계능력,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직무스트레스의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2%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업무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감정노동 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전략을 모색하여 신규간호사의 임상현장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지역의 신규간호사를 임의표집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자기효능감이 낮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한 선행연구가 없어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접적 비교는 힘든 상황으로 다른 대상자를 연구한 논문과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작업치료사[22]와 특수교사[23]의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었는데,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직무스트레스를 더 적다고 보고되어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Ministy of Health and Welfare. (2018, April 10). National health care survey. Retrieved July 17, 2020,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page1&CONT_SEQ344184 

  2. Ministy of Health and Welfare. (2018, March 20).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nurses. Retrieved September 7, 2020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3.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2016, February 19). 2015 Annual report: Hospital nurse staffing status survey. Retrieved September 7, 2020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page4 

  4. M. J. Kim & S. S. Han. (2007).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experience between national/public hospital nurses and private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3(1), 22-30. 

  5. A. M. Pines. (2000). Treating career burnout: a psychodynamic existential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5), 633-642. 

  6. J. A. Morris, & D. C. Feldman,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DOI : 10.5465/AMR.1996.9704071861 

  7. S. Mann & J. Cowburn. (2005). Emotional labor and stress with 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154-162 DOI : 10.1111/j.1365-2850.2004.00807.x 

  8. K. W. Sung. (2012). Comparison between nursing home nurses and hospital nurses for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 (1), 40-49. http://www.jkgn.org/journal/view.php?number297 

  9. S. J. Kim, M. S. Choi & K. W. Sung.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10. G. L. Kim, H. J. Lee, Y. S. Cho & M. H. Kim. (2013). The experience of turnover decision making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1), 23-33. 

  11. D. L. Miller. (2001). Reexamining teamwork KSAs and employe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32(6), 745-766. 

  12. H. S. Lee. (2017). The Convergenc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fficacy : Lack of Slee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ramet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315-323 

  13. R, C. Kesler, R. H Price & C. B. Wortman.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531-572. 

  14. A. L. Pinkus & J. S. Wiggins. (1990). Interpersonal problems and conceptions of personality disorders.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4, 342-352 

  15. J. M. Lee. (2013).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ir Work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2(1), 81-97 

  16. E. H. Kim & H. Y. Lee. (2013).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of Working Women,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5(3), 49-59. 

  17. A. Bandur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18.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Co., 

  19. A. R. Spencer. (1990). Psychology. Holt, Rinehart and Winston 

  20. M. P. Leither.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123-144. 

  21. A. Bandura. (1977). Self-Efficacy: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2. E. Y. Park & E. J. Kim. (2008).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10), 208-216. DOI : 10.5392/jkca.2008.8.10.208 

  23. O, Lee, J. Hong & E. Park. (2011).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3(3), 371-385. DOI : 10.21075/kacsn.2011.13.3.371 

  24. H. J. Kim & J. E. Bae. (2014). A the degre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6, 221-232. 

  25. R. D. Iverson.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USA. 

  26. S. Min et al. (2011).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1), 1-21. 

  27. J. H. Lee, H. R. Noh, & J. Y. Park. (2020). Predictive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in new nurses.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7(1), 50-60. DOI : 10.5953/JMJH.2020.27.1.50 

  28. E. Lee, & J. Kim. (2020). Nursing stres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e12819. DOI : 10.1111/ijn.12819 

  29. J. S. Kim. (2020). Male Nurses' adaptation process of after turnover to community institu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30. S. Kim, J. Y. Jang & C. H. Park. (2012).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ist. 160-161. DOI : http://www.ppekorea.or.kr 

  31. A. K. Lee, J. Y. Yeo & S. S. Byun. (2013).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2), 299-308. DOI : 10.5392/JKCA.2013.13.12.299 

  32. M. J. Kim. (1998).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1(2),129-141. 

  33. J. Warner.(2007). Networking and relationship building profile. MA: HRD Press. 

  34. T. Y. Chung.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managers' life-long education coaching leadership and its memb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35. Y. R. Kim. (2007).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ncolog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36.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P. S. Dunn, B. Jacob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DOI : 10.2466/pr0.1982.51.2.663 

  37. J. I. Kim. (1994). An Effect of Aquatic Exc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8. S. J. Chang et al. (2005).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Korean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39. J. S. Kim, S. Y. Jeong, S. H. Kim & J. O. Kim. (2014).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2), 130-140. 

  40. Y. S. Seo & K. W. Sung. (2011). Relation of emotional labor,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3), 196-203. 

  41. S. S. Han, I. S. Son & N. E. Kim. (2009).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78-887. DOI : 10.4040/jkan.2009.39.6.878 

  42. Y. H. Lee. (2010). A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3. K. J. Kwon & S. H. Lee, (2012).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383-393. DOI : 10.11111/jkana.2012.18.4.383 

  44. S. J. Kim, M. S. Choi & K. W. Sung.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45. Y. L. Jang, H. W. Lee, M. S. Ko & M. S. Wang. (2018).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new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2), 793-803. DOI : 10.35873/ajmahs.2018.8.2.078 

  46. H. Y. Jeong & S. Y. Kim. (2016).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5), 531-5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