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살펴보고, 부부 관계요인이 결혼불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의 이혼율 통계를 살펴보면, 이혼한 부부의 절반이상은 성격차이로 이혼을 한다. 또한 개개인의 삶에 대한 주관적 가치의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부부관계에 문제가 생기고, 부부간의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이혼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년기의 이혼은 중년기의 삶의 질을 저하시며, 장기적으로는 노년기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년기를 행복하고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년기의 부부 관계적인 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일상적으로 부부호응을 잘하고, 부부 갈등시에 회복시도를 유연하게 하며 배우자를 신뢰하는 것에 따라 결혼 생활의 질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부부 관계적인 요인을 밝혀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40세-64세(1978년생-1954년생)에 해당하는 중년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였고, 설문지 총 2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
본 연구는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살펴보고, 부부 관계요인이 결혼불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의 이혼율 통계를 살펴보면, 이혼한 부부의 절반이상은 성격차이로 이혼을 한다. 또한 개개인의 삶에 대한 주관적 가치의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부부관계에 문제가 생기고, 부부간의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이혼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년기의 이혼은 중년기의 삶의 질을 저하시며, 장기적으로는 노년기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년기를 행복하고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년기의 부부 관계적인 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일상적으로 부부호응을 잘하고, 부부 갈등시에 회복시도를 유연하게 하며 배우자를 신뢰하는 것에 따라 결혼 생활의 질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부부 관계적인 요인을 밝혀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40세-64세(1978년생-1954년생)에 해당하는 중년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였고, 설문지 총 2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기혼남성은 결혼불안정성이 5점 만점에 1.71점으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1.96점)을 행동적인 측면(1.53점)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높은 인지적인 측면은 행동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에 결혼에 대한 중년 기혼남성의 생각과 인지적인 측면을 주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불안정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종교를 가지고 있고 학력이 높으며 경제 상태가 보통일 경우 결혼불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관계 특성으로는 부부가 각방 사용 경험이 있고 맞벌이를 하며 동반외출을 안하고 은퇴경험이 없는 집단의 결혼불안정 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요인을 일상적 부부호응도, 회복시도, 배우자신뢰로 살펴본 결과, 부부 관계적인 변수들은 높은 설명력(39.8%)을 보였고, 일상적 부부호응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 냈다. 또한 배우자 신뢰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이 허약할수록 중년 기혼남성의 인식하는 결혼불안정성은 낮아졌다. 이를 통해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파악하고, 부부관계특성의 중요성을 검증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부부 학교나 중년기 부부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회복지 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살펴보고, 부부 관계요인이 결혼불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의 이혼율 통계를 살펴보면, 이혼한 부부의 절반이상은 성격차이로 이혼을 한다. 또한 개개인의 삶에 대한 주관적 가치의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부부관계에 문제가 생기고, 부부간의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이혼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년기의 이혼은 중년기의 삶의 질을 저하시며, 장기적으로는 노년기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년기를 행복하고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년기의 부부 관계적인 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일상적으로 부부호응을 잘하고, 부부 갈등시에 회복시도를 유연하게 하며 배우자를 신뢰하는 것에 따라 결혼 생활의 질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부부 관계적인 요인을 밝혀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40세-64세(1978년생-1954년생)에 해당하는 중년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였고, 설문지 총 2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기혼남성은 결혼불안정성이 5점 만점에 1.71점으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1.96점)을 행동적인 측면(1.53점)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높은 인지적인 측면은 행동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에 결혼에 대한 중년 기혼남성의 생각과 인지적인 측면을 주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불안정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종교를 가지고 있고 학력이 높으며 경제 상태가 보통일 경우 결혼불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관계 특성으로는 부부가 각방 사용 경험이 있고 맞벌이를 하며 동반외출을 안하고 은퇴경험이 없는 집단의 결혼불안정 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요인을 일상적 부부호응도, 회복시도, 배우자신뢰로 살펴본 결과, 부부 관계적인 변수들은 높은 설명력(39.8%)을 보였고, 일상적 부부호응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 냈다. 또한 배우자 신뢰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이 허약할수록 중년 기혼남성의 인식하는 결혼불안정성은 낮아졌다. 이를 통해 중년 기혼남성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파악하고, 부부관계특성의 중요성을 검증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부부 학교나 중년기 부부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회복지 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takes cover the difference between marital instability of middle-age married male and that of general features, and examines how several marital interrelated factors such as ordinary inter-marriage response, restorative attempt, and inter-spousal trust affect marital instability. Accordin...
This study takes cover the difference between marital instability of middle-age married male and that of general features, and examines how several marital interrelated factors such as ordinary inter-marriage response, restorative attempt, and inter-spousal trust affect marital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vorce rate of Korean society, marital problems between spouses occur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which is similar to western cases. Also, it is prospected that divorces due to emotional matters between spouses would increase. Thus, for happy and healthy senescence of marriage, middle-age marital instability should be minimized, which is accomplished by active ordinary response between spouses, flexible restorative attempt on conflicts, and inter-spousal trust. Therefore, it is priority that marital instability be investigated through mutual view on relationship of middle-age married male. For the stated purpose, this study made a survey on married men at the age of 40~64(born in 1978~1954), extracted 205 circulations. For model qualification, technolog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3.0 have been conducted. The major result for this study follows. First, the marital instability of middle-aged male showed 1.71 on the scale of 5, which is relatively not high. However, it turns out that respondents perceived cognitive aspects of marriage instability more than behavioral aspect. This suggests that as high score of cognitive aspects is 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behavioral change, it could be manifested in the aspect of behavior. Second, the difference of marital instabilit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ggests that groups with religious value, high education, and medium economic class showed relatively low marriage instabil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arriage life, groups with dual-income, experience of separate room, absence of going out together showed high marital instability. Third, the variables regarding inter-spousal relationship showed high validity of 39.8% on marital instability. It turns out that the higher the ordinary inter marriage response and higher inter-spousal trust, the lower the marriage instability of middle-aged married male. Meanwhile, when selecting the age range of middle-aged married male, this study has set a wide range of middle-age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institutional age designating ‘old man’ getting higher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ructure change due to family system alteration. Also, it took cover the relationship-related parts of middle-aged married which was relatively negligent since now and characteristics of marital variables, provided fundamental materials for marriage research on the preventive purpose of healthy senescence maintenance, and suggested political, practical undertone to alleviate marital instability.
This study takes cover the difference between marital instability of middle-age married male and that of general features, and examines how several marital interrelated factors such as ordinary inter-marriage response, restorative attempt, and inter-spousal trust affect marital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vorce rate of Korean society, marital problems between spouses occur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which is similar to western cases. Also, it is prospected that divorces due to emotional matters between spouses would increase. Thus, for happy and healthy senescence of marriage, middle-age marital instability should be minimized, which is accomplished by active ordinary response between spouses, flexible restorative attempt on conflicts, and inter-spousal trust. Therefore, it is priority that marital instability be investigated through mutual view on relationship of middle-age married male. For the stated purpose, this study made a survey on married men at the age of 40~64(born in 1978~1954), extracted 205 circulations. For model qualification, technolog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3.0 have been conducted. The major result for this study follows. First, the marital instability of middle-aged male showed 1.71 on the scale of 5, which is relatively not high. However, it turns out that respondents perceived cognitive aspects of marriage instability more than behavioral aspect. This suggests that as high score of cognitive aspects is 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behavioral change, it could be manifested in the aspect of behavior. Second, the difference of marital instabilit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ggests that groups with religious value, high education, and medium economic class showed relatively low marriage instabil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arriage life, groups with dual-income, experience of separate room, absence of going out together showed high marital instability. Third, the variables regarding inter-spousal relationship showed high validity of 39.8% on marital instability. It turns out that the higher the ordinary inter marriage response and higher inter-spousal trust, the lower the marriage instability of middle-aged married male. Meanwhile, when selecting the age range of middle-aged married male, this study has set a wide range of middle-age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institutional age designating ‘old man’ getting higher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ructure change due to family system alteration. Also, it took cover the relationship-related parts of middle-aged married which was relatively negligent since now and characteristics of marital variables, provided fundamental materials for marriage research on the preventive purpose of healthy senescence maintenance, and suggested political, practical undertone to alleviate marital inst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