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for the Chinese Learners 원문보기

한국교육논총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40 no.2, 2019년, pp.35 - 56  

강비 (중국 산동공상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교육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발음은 언어를 구사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의사소통 과정에서 학습자가 목표 언어에 대한 유창성과 정확성을 판단하는 기본 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제2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범하는 원인 중 하나가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 요인이 많이 작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를 분류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음운 체계의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태어나고 중국에서 거주하는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를 정확히 발음할 수 있도록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centrated to search for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as on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the chinese. Pronunciation is the most basic factor in the use of language. pronunciation is the basic factor for learners to judge the fluency and accuracy of the t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덕유는 모음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박덕유(2013)는 폐로부터 내쉬는 숨이 목청 사이를 지나면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입안에서 목청을 울리면서 나는 소리를 모음이라 하였다. 모음의 종류로는 입의 안에서 발음을 할 때 입술 또는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단모음, 그리고 발음을 할 때 혀의 위치나 입술의 모양이 처음과는 다르게 되는 이중모음을 들 수 있다2).
한국어에는 몇개의 이중모음이 있는가? 한국어에는 11개의 이중모음이 있다.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달리 두 개의 음으로 이루어져있다.
한국어의 단모음 분류는 어떻게 나뉠 수 있는가? 첫째, 혀의 앞뒤의 위치에 따른 분류법이다. 한국어의 단모음은 혀의 위치(앞, 뒤)에 따라서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혀의 앞부분에서 발음되는 모음(ㅣ, ㅔ, ㅐ, ㅚ, ㅟ)을 전설모음이라 하며, 혀의 뒷부분에서 내는 모음(ㅜ, ㅡ, ㅗ, ㅓ, ㅏ)을 후설모음이라고 한다. 중국어의 운모도 한국어와 같이 나뉜다. 둘째, 혀의 높낮이에 따른 분류법이다. 한국어의 단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뉜다. 고모음은 입을 조금 벌리고 혀가 입천장에서 발음되는 모음이다. 중모음은 고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의 위치가 조금 중간에서 발음되는 모음이다. 저모음은 입을 크게 벌리면 혀의 높이가 가장 낮은 모음이다. 셋째, 입술의 모양에 따른 분류법이다.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과 평순모음이 있다. 원순모음은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발음되는 모음인 ‘ㅣ, ㅡ, ㅔ, ㅐ, ㅏ, ㅓ’이고, 평순모음은 입술을 동글게 하면서 내는 모음인 ‘ㅜ, ㅗ, ㅚ, ㅟ’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곡향봉(2005).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정(2017). 몽골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자료 개발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알라(2008).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이(2011). 한국어 치조 마찰음 발음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연락. 

  6. 김지은(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7. 김현숙(201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문연희(2001). 중국 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덕유(1998). 국어의 동사상 연구. 한국문화사. 

  10. 박덕유(2002). 文法?育의 탐구. 한국문화사. 

  11. 박덕유(2013). 한국어 문법의 이론과 실제. 박문사. 

  12. 배주채(2004).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13. 서 영(2015). 한국어 발음 교육 내용의 선정 및 위계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서승아(201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손경애(2009).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송향선(2015). 중국어권 학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요 외(2007).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사동(2016). 한국어 모음과 중국어 운모의 발음비교를 통한 모음 발음 교육 방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승연(2012). 한국어교육을 위한 응용언어학 개론. 태학사. 

  20. 이정명(2019).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인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원해(2004). 중국학생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 연구: 자음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 석사학위논문. 

  22. 최명옥(2004). 국어 음운론. 태학사. 

  23. 허 웅(1985). 국어음운학. 샘문화사. 

  24. 成惠貞(2007). 중국어 발음의 유창성 제고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 석사학위논문. 

  25. 仇美琳(2014).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대조와 발음 교육 방안.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朴海燕(2004).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