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있어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제13회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널응답자 중 만 65세 이상 으로 독신가구가 아니고, 1촌 이내의 직계혈족이 있고, 배우자와 2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노인 1,92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노인 건강상태와 우울간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에 있어서 가족관계 만족도가 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 성별, 종교 유무, 저소득층가구 여부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반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족관계 만족도의 하위변수 중 가족생활 만족도,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자녀 형제자매관계 만족도순으로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배우자관계 만족도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있어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제13회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널응답자 중 만 65세 이상 으로 독신가구가 아니고, 1촌 이내의 직계혈족이 있고, 배우자와 2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노인 1,92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노인 건강상태와 우울간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에 있어서 가족관계 만족도가 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 성별, 종교 유무, 저소득층가구 여부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반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족관계 만족도의 하위변수 중 가족생활 만족도,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자녀 형제자매관계 만족도순으로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배우자관계 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효성 검증 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관적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노인의 상시 건강상태 점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상담 인원을 배치하여 간단한 건강상태 테스트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운동 및 관리 방법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제도권 밖의 만성질환자 및 거동불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악화가 우울로 전이되는 것을 예방하는 예방적 관리체계와 서비스 연계의 확대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건소 또는 주민자치센터 등 기존 인프라를 통해 건강상태와 우울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노인 관련 프로그램이나 노인 돌봄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 유지 및 증진에 대한 노력과 함께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단기적으로는 긍정적 가족관계 개선을 위해 가족관계의 역할 변화와 인식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권 밖의 노인들 대상 지역의 복지시설 등을 활용한 돌봄 대리 등 새로운 노인 돌봄 복지서비스의 개발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관련 요인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및 가족관계가 상호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긍정적 가족관계가 함께 했을 때 우울에 미치는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가족 구성원별 매개효과를 세분화하여 유효성 여부 및 효과를 검증하고 차이점을 밝혀냈다는데 본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 노인, 건강상태, 우울, 가족관계 만족도, 돌봄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있어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제13회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널응답자 중 만 65세 이상 으로 독신가구가 아니고, 1촌 이내의 직계혈족이 있고, 배우자와 2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노인 1,92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노인 건강상태와 우울간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영향에 있어서 가족관계 만족도가 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 성별, 종교 유무, 저소득층가구 여부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반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족관계 만족도의 하위변수 중 가족생활 만족도,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자녀 형제자매관계 만족도순으로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배우자관계 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효성 검증 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관적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노인의 상시 건강상태 점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상담 인원을 배치하여 간단한 건강상태 테스트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운동 및 관리 방법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제도권 밖의 만성질환자 및 거동불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악화가 우울로 전이되는 것을 예방하는 예방적 관리체계와 서비스 연계의 확대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건소 또는 주민자치센터 등 기존 인프라를 통해 건강상태와 우울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노인 관련 프로그램이나 노인 돌봄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 유지 및 증진에 대한 노력과 함께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단기적으로는 긍정적 가족관계 개선을 위해 가족관계의 역할 변화와 인식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권 밖의 노인들 대상 지역의 복지시설 등을 활용한 돌봄 대리 등 새로운 노인 돌봄 복지서비스의 개발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관련 요인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및 가족관계가 상호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긍정적 가족관계가 함께 했을 때 우울에 미치는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가족 구성원별 매개효과를 세분화하여 유효성 여부 및 효과를 검증하고 차이점을 밝혀냈다는데 본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The analysis data were used for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The analysis data were used for the 13th session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this study, 1,925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were not single households and had spouses and two or more immediate blood descenda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s a study, first, the elderly's health status and specific trends of depression were examined. Second, how doe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ffect depression? Third, it is to verify whet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hav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ages. This is consistent with a number of studies. In general,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as worse with the higher age group, and also increased depress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ge, gender, religious status, and low-income household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mong sub-variable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tatic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order of family life satisfacti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hild sibl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but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re should be an active way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and management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y, the new and consultative personnel, and simple health and gend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nk between preventive management systems and services that can manage the health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prevent chronic and behavioral disorders outside the institutional system from spreading to depression in advance. To this end, programs related to senior citizens or the expansion of care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health centers and residents' self-governing centers to identify and manage signs of depression in advance. Third, In conjunction with efforts to maintain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ere should be a multifaceted effor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policy alternatives to the Elderly Health and Welfare System and policy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hips. As an alternative,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promote the role change and awareness of family relations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family relations.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e development of new elderly care welfare services, such as caring agents us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areas of the elderly outside the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ealth condition and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of the elderly are having an organic effect on each other and that the synergy effect on depression whe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h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are together is very great.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existing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by verifying validity status and effectiveness by subdividing the mediated effects of each family member.
Key words: elderly, health,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The analysis data were used for the 13th session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this study, 1,925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were not single households and had spouses and two or more immediate blood descenda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s a study, first, the elderly's health status and specific trends of depression were examined. Second, how doe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ffect depression? Third, it is to verify whet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hav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ages. This is consistent with a number of studies. In general,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as worse with the higher age group, and also increased depress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ge, gender, religious status, and low-income household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mong sub-variable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tatic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order of family life satisfacti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hild sibl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but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re should be an active way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and management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y, the new and consultative personnel, and simple health and gend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nk between preventive management systems and services that can manage the health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prevent chronic and behavioral disorders outside the institutional system from spreading to depression in advance. To this end, programs related to senior citizens or the expansion of care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health centers and residents' self-governing centers to identify and manage signs of depression in advance. Third, In conjunction with efforts to maintain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ere should be a multifaceted effor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policy alternatives to the Elderly Health and Welfare System and policy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hips. As an alternative,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promote the role change and awareness of family relations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family relations.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e development of new elderly care welfare services, such as caring agents us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areas of the elderly outside the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ealth condition and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of the elderly are having an organic effect on each other and that the synergy effect on depression whe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h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are together is very great.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existing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by verifying validity status and effectiveness by subdividing the mediated effects of each family member.
Key words: elderly, health,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ca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