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구분한 후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 간 FoMO의 매개효과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층인 만 19세부터 34세 322명(남 117명, 여 205명)에게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에서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비교했을 때, 개방형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구분한 후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 간 FoMO의 매개효과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층인 만 19세부터 34세 322명(남 117명, 여 205명)에게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에서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비교했을 때, 개방형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에서 두 집단 모두에서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을 확인하였고, 이 관계에서 FoMO가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향비교 경향이 강할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고, 특히 상향비교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을 강화시켜 SNS 중독경향성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SNS 중독으로 인한 문제에서 상향비교와 FoMO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특히 개방형 SNS 집단과 여성이 SNS 중독경향성 문제에 취약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구분한 후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 간 FoMO의 매개효과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층인 만 19세부터 34세 322명(남 117명, 여 205명)에게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에서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SNS 집단과 폐쇄형 SNS 집단을 비교했을 때, 개방형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상향비교, FoMO, SNS 중독경향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에서 두 집단 모두에서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을 확인하였고, 이 관계에서 FoMO가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향비교 경향이 강할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고, 특히 상향비교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을 강화시켜 SNS 중독경향성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SNS 중독으로 인한 문제에서 상향비교와 FoMO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특히 개방형 SNS 집단과 여성이 SNS 중독경향성 문제에 취약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comparis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differs between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For this pu...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comparis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differs between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For this purpose, 322 adult participants(117 males, 205 females) completed a series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upward comparison, FoMO,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opened-type SN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upward comparison, FoMO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in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both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f FoM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ward comparis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upward comparison tendency increases FoMO which eventually leads to higher 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in upward comparison and FoMO is required when dealing with problems caused by SNS addiction.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opened-type SNS users and females are more vulnerable for SNS addi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comparis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differs between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For this purpose, 322 adult participants(117 males, 205 females) completed a series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upward comparison, FoMO,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opened-type SN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upward comparison, FoMO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in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both opened-type SNS and closed-type SNS group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f FoM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ward comparis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upward comparison tendency increases FoMO which eventually leads to higher 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in upward comparison and FoMO is required when dealing with problems caused by SNS addiction.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opened-type SNS users and females are more vulnerable for SNS addi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