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학습자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학습자 500명,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학습자 473명과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는 전사 작업을 실시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화 과정은 1단계로 공통 핵심어를 추출하고 2단계로 동일 의미어를 추출한 후 3단계로 최종 범주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모험교육 선호도는 ‘좋아함’에 학습자 51.4%가 응답하여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 선호분야는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경험분야는 육상분야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재미 및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났다. 좋지 않았던 프로그램은 육상분야였으며, 그 이유는 ‘힘들고 무서워서’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은 학습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생존 및 위기극복능력 습득’, ‘새로운 경험 및 체험 습득’,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 대한 목적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생존 및 상황대처능력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배운 점은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용기 및 자신감 증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모험교육에서 잘 되고 있는 것은 ‘교육적 효과’, ‘프로그램 전문성’, ‘안전’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체력 및 건강증진’, ‘인내심 및 정신력 강화’, ‘새로운 경험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목적은 ‘체력 및 건강 증진’, ‘전인교육 및 인성교육’,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배려심’, ‘안전 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방법은 ...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학습자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학습자 500명,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학습자 473명과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는 전사 작업을 실시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화 과정은 1단계로 공통 핵심어를 추출하고 2단계로 동일 의미어를 추출한 후 3단계로 최종 범주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모험교육 선호도는 ‘좋아함’에 학습자 51.4%가 응답하여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 선호분야는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경험분야는 육상분야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재미 및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났다. 좋지 않았던 프로그램은 육상분야였으며, 그 이유는 ‘힘들고 무서워서’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은 학습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생존 및 위기극복능력 습득’, ‘새로운 경험 및 체험 습득’,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 대한 목적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생존 및 상황대처능력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배운 점은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용기 및 자신감 증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모험교육에서 잘 되고 있는 것은 ‘교육적 효과’, ‘프로그램 전문성’, ‘안전’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체력 및 건강증진’, ‘인내심 및 정신력 강화’, ‘새로운 경험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목적은 ‘체력 및 건강 증진’, ‘전인교육 및 인성교육’,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배려심’, ‘안전 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방법은 협동학습과 모둠별 수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모험교육 지도자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전문적 지도기술 필요’, ‘지도자 자질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 내용에서는 낙후된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재, 프로그램의 소극적 운영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서는 부적합한 교육 운영, 청소년에 대한 존중·배려 미흡, 이론적 정립 미흡으로 나타났다. 안전에서는 안전에 대한 신뢰성 부족,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 미흡, 안전교육 미흡으로 나타났다. 시설에서는 소극적 투자 및 미흡한 예산, 낙후 및 부족한 시설, 모험시설 안전기준 미비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지도자의 전문성 및 자기계발 미흡, 지도자에 대한 처우 미흡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 실천을 위한 대안으로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발달단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운영, 동적 프로그램 확대·운영, 자연친화적 프로그램 개발·운영, 수련시설의 확대·운영으로 나타났고 안전 및 시설에서는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의 정립, 청소년 수련시설 역할의 확대와 정책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청소년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고, 홍보에서는 모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장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가 향후 신설 또는 체험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공중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패러글라이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도자의 모험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는 전인교육 및 인성교육으로 나타났고, 내용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법에서는 교육방법의 다양화 및 차별화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모험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살펴보면,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 법·제도 기준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서는 수요자 눈높이 교육, 교육 방법 개선, 지도자와 학습자의 소통으로 나타났다. 안전에서는 안전관리 매뉴얼 표준화 및 안전교육 강화, 안전에 대한 신뢰 회복으로 나타났다. 시설에서는 시설 확충 및 개선, 투자 확대, 시설 접근성 개선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지도자 처우 개선, 지도자 교육 및 우수 지도자 양성으로 나타났다. 기타에서는 홍보 및 마케팅 활성화로 나타났다. 미래 모험교육에 대한 전망에서는 ‘활성화 및 필요성이 증대할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험교육 실천을 위한 대안으로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발달단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운영, 동적 프로그램 확대·운영, 자연친화적 프로그램 개발·운영, 수련시설의 확대·운영으로 나타났고 안전 및 시설에서는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의 정립, 청소년 수련시설 역할의 확대와 정책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청소년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고, 홍보에서는 모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장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모험 수련활동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관련 단체 및 수요자들의 자구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의 모험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현장에서의 실천 전략과 적용 가능성이 높은 대안들이 많이 나온다면 진정한 모험교육의 활성화와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학습자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학습자 500명,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학습자 473명과 지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는 전사 작업을 실시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화 과정은 1단계로 공통 핵심어를 추출하고 2단계로 동일 의미어를 추출한 후 3단계로 최종 범주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대안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모험교육 선호도는 ‘좋아함’에 학습자 51.4%가 응답하여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 선호분야는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경험분야는 육상분야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수중분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재미 및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났다. 좋지 않았던 프로그램은 육상분야였으며, 그 이유는 ‘힘들고 무서워서’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은 학습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생존 및 위기극복능력 습득’, ‘새로운 경험 및 체험 습득’,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 대한 목적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생존 및 상황대처능력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배운 점은 ‘협동심 및 단결력, 공동체 의식 함양’, ‘용기 및 자신감 증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모험교육에서 잘 되고 있는 것은 ‘교육적 효과’, ‘프로그램 전문성’, ‘안전’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체력 및 건강증진’, ‘인내심 및 정신력 강화’, ‘새로운 경험 습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의 목적은 ‘체력 및 건강 증진’, ‘전인교육 및 인성교육’,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배려심’, ‘안전 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에서 가르치는 방법은 협동학습과 모둠별 수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모험교육 지도자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는 ‘전문적 지도기술 필요’, ‘지도자 자질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 내용에서는 낙후된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재, 프로그램의 소극적 운영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서는 부적합한 교육 운영, 청소년에 대한 존중·배려 미흡, 이론적 정립 미흡으로 나타났다. 안전에서는 안전에 대한 신뢰성 부족,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 미흡, 안전교육 미흡으로 나타났다. 시설에서는 소극적 투자 및 미흡한 예산, 낙후 및 부족한 시설, 모험시설 안전기준 미비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지도자의 전문성 및 자기계발 미흡, 지도자에 대한 처우 미흡으로 나타났다. 모험교육 실천을 위한 대안으로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발달단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운영, 동적 프로그램 확대·운영, 자연친화적 프로그램 개발·운영, 수련시설의 확대·운영으로 나타났고 안전 및 시설에서는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의 정립, 청소년 수련시설 역할의 확대와 정책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청소년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고, 홍보에서는 모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장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수련활동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가 향후 신설 또는 체험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공중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패러글라이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도자의 모험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는 전인교육 및 인성교육으로 나타났고, 내용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법에서는 교육방법의 다양화 및 차별화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모험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살펴보면,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 법·제도 기준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서는 수요자 눈높이 교육, 교육 방법 개선, 지도자와 학습자의 소통으로 나타났다. 안전에서는 안전관리 매뉴얼 표준화 및 안전교육 강화, 안전에 대한 신뢰 회복으로 나타났다. 시설에서는 시설 확충 및 개선, 투자 확대, 시설 접근성 개선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지도자 처우 개선, 지도자 교육 및 우수 지도자 양성으로 나타났다. 기타에서는 홍보 및 마케팅 활성화로 나타났다. 미래 모험교육에 대한 전망에서는 ‘활성화 및 필요성이 증대할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험교육 실천을 위한 대안으로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발달단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운영, 동적 프로그램 확대·운영, 자연친화적 프로그램 개발·운영, 수련시설의 확대·운영으로 나타났고 안전 및 시설에서는 표준화된 안전관리 매뉴얼의 정립, 청소년 수련시설 역할의 확대와 정책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에서는 청소년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고, 홍보에서는 모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장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모험 수련활동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관련 단체 및 수요자들의 자구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의 모험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현장에서의 실천 전략과 적용 가능성이 높은 대안들이 많이 나온다면 진정한 모험교육의 활성화와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wareness of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and explore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students and 30 educators under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ed on the study of 473 final students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wareness of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and explore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students and 30 educators under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ed on the study of 473 final students and 30 educ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 Win. 22.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eople surveye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were transcribed and the categorized answers were analyzed in frequency. The categorization process was followed by extracting the keyword in common, choosing the same meaning words and lastly grouping. Through the process, the results of identifying awareness of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nd exploring alternative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perception of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is as follows. In preference for the adventure education, the 51.4 percent of respondents said "like", which was in relatively low. They showed the preference to water leisure activities but they had the most experience in the land-based activities. They liked the water leisure activities the best due to having fun and relieving stress. They didn’t like the land-based activities for they were hard and scaring. Most of them recognized the need for adventure education ‘to acquire ability to survive and overcome crisis’, ‘to have a new experience’ and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They replie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was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and ‘acquire ability to survive and overcome crisis’. From the adventure education, they thought that what they learned was to ‘build up cooperative spirit and teamwork and promote sense of community’ Secondly, the educators perceived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s follows. They thought that what was doing well in the adventure education were ‘educational effects’, ‘specialized program’ and ‘safety education’. Most of the educator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adventure education because of ‘improving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strengthening patience and mental strength’, and ‘having new experiences’. They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was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provide whole-pers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In adventure education, they taught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solicitude’, and ‘safety consciousness.’ They use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small group instruction the most. They perceived the need for education to upgrade the professional guidance skills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ors. The problems of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that they said were as follow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there were th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and out-of-date and passive program operation. For the educational method, there were the inadequate education operation and the lack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students. For the safety, there were the lack of the standardized safety management manuals, the insufficient safety training, and the lack of trust in safety. For the facility part, there were old and insufficient facilities, passive investment and inadequate budgets. For the educators, they mentioned un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s, inadequate professionalism and insufficient self-improvement. Finally, the alternatives to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re as follows. The programs that students wanted to create or experience in the future were the highest in the air activities, specifically ‘paragliding’. The educators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should be to provide whole-person and personality education, to develop and run the various programs in contents, and to diversify and differentiate educational methods. To make improvements for the adventure education, the educators mentioned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programs, and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legal and institutional standards. In educational methods, they stated demand-level education, improved train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They said that they should pursue to standardize safety management manuals,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and to restore confidence in safety. It was needed to expand and improve facilities and to increase the investment and accessibility for facilities. It was also requir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to train outstanding educators and to invigorate promotional and marketing for youth training activity. The educators thought that the need and activation for the adventure education would be increased in the future. I offer the alternatives to invigorating the adventure education: as for programs,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ming and operating programs considering development stages, expanding and operating of dynamic programs, developing and operat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ograms, and expanding and operating of training facilities; as for safety and facilities, establishing standardized safety management manuals, expanding the role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supporting with policy; as for educators, actively supporting to enhance their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ir treatment; as for PR, establishing various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by utilizing educational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adven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as followings. In youth training,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nsumers themselves should try to get the attention an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and the nation. By fully understanding youth training and proposing practical and applicable alternatives, it can be achieved to revitalize and qualitatively improve youth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wareness of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and explore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students and 30 educators under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ed on the study of 473 final students and 30 educ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 Win. 22.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eople surveye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were transcribed and the categorized answers were analyzed in frequency. The categorization process was followed by extracting the keyword in common, choosing the same meaning words and lastly grouping. Through the process, the results of identifying awareness of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nd exploring alternative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perception of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is as follows. In preference for the adventure education, the 51.4 percent of respondents said "like", which was in relatively low. They showed the preference to water leisure activities but they had the most experience in the land-based activities. They liked the water leisure activities the best due to having fun and relieving stress. They didn’t like the land-based activities for they were hard and scaring. Most of them recognized the need for adventure education ‘to acquire ability to survive and overcome crisis’, ‘to have a new experience’ and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They replie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was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and ‘acquire ability to survive and overcome crisis’. From the adventure education, they thought that what they learned was to ‘build up cooperative spirit and teamwork and promote sense of community’ Secondly, the educators perceived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s follows. They thought that what was doing well in the adventure education were ‘educational effects’, ‘specialized program’ and ‘safety education’. Most of the educator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adventure education because of ‘improving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strengthening patience and mental strength’, and ‘having new experiences’. They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was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provide whole-pers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In adventure education, they taught ‘a sense of cooperation and community’, ‘solicitude’, and ‘safety consciousness.’ They use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small group instruction the most. They perceived the need for education to upgrade the professional guidance skills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ors. The problems of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that they said were as follow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there were th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and out-of-date and passive program operation. For the educational method, there were the inadequate education operation and the lack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students. For the safety, there were the lack of the standardized safety management manuals, the insufficient safety training, and the lack of trust in safety. For the facility part, there were old and insufficient facilities, passive investment and inadequate budgets. For the educators, they mentioned un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s, inadequate professionalism and insufficient self-improvement. Finally, the alternatives to the adventure education in youth training are as follows. The programs that students wanted to create or experience in the future were the highest in the air activities, specifically ‘paragliding’. The educators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adventure education should be to provide whole-person and personality education, to develop and run the various programs in contents, and to diversify and differentiate educational methods. To make improvements for the adventure education, the educators mentioned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programs, and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legal and institutional standards. In educational methods, they stated demand-level education, improved train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They said that they should pursue to standardize safety management manuals,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and to restore confidence in safety. It was needed to expand and improve facilities and to increase the investment and accessibility for facilities. It was also requir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to train outstanding educators and to invigorate promotional and marketing for youth training activity. The educators thought that the need and activation for the adventure education would be increased in the future. I offer the alternatives to invigorating the adventure education: as for programs,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ming and operating programs considering development stages, expanding and operating of dynamic programs, developing and operat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ograms, and expanding and operating of training facilities; as for safety and facilities, establishing standardized safety management manuals, expanding the role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supporting with policy; as for educators, actively supporting to enhance their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ir treatment; as for PR, establishing various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by utilizing educational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adven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as followings. In youth training,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nsumers themselves should try to get the attention an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and the nation. By fully understanding youth training and proposing practical and applicable alternatives, it can be achieved to revitalize and qualitatively improve youth train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