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내 공공 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public space for sustainable community : focused on public architecture in Korea원문보기
현대의 도시환경은 변화나 발전의 속도가 급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압축적인 개발을 통해 단절된 도시화와 근대화 과정을 보여줬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과 의식은 점점 더 파편화, 개인화를 띄게 되었으며, 도시환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단편적인 도시개발 및 지역개발 또한 지역 내 구성원 간의 공동체 해체를 야기하였다. 그 간 공공공간 계획의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는 경제적인 효율성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공공공간을 지향했으며, 공공 및 전문가 주축의 정책과 사업 계획 및 추진, 물리적 개발을 우선적으로 시행했다. 최근 공동체적 삶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지역커뮤니티와 주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공간과 커뮤니티는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현시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특성의 공공공간이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모색을 필요로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점차 공공공간 활용 및 주체가 주민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
현대의 도시환경은 변화나 발전의 속도가 급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압축적인 개발을 통해 단절된 도시화와 근대화 과정을 보여줬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과 의식은 점점 더 파편화, 개인화를 띄게 되었으며, 도시환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단편적인 도시개발 및 지역개발 또한 지역 내 구성원 간의 공동체 해체를 야기하였다. 그 간 공공공간 계획의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는 경제적인 효율성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공공공간을 지향했으며, 공공 및 전문가 주축의 정책과 사업 계획 및 추진, 물리적 개발을 우선적으로 시행했다. 최근 공동체적 삶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지역커뮤니티와 주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공간과 커뮤니티는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현시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특성의 공공공간이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모색을 필요로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점차 공공공간 활용 및 주체가 주민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과 지역커뮤니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공간 활용 주체, 디자인 특성을 통해 지역 내 주민들의 상호 커뮤니티 질적 향상과 지속가능성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공공공간의 일반적 고찰을 위해 공공공간 및 공공건축의 일반적 고찰과 지속가능성, 지역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공공공간과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분석을 위해 공공공간 디자인 특성 유형화, 유형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요소 분류, FGI(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해 세부 요소와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세부요소와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실증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지는 공공건축의 행정 공간계와 문화·복지 공간계 중 구산동 도서관마을, 산리 마을회관, 해운대구 중2동 주민센터, 군포시 노인복지관, 울주생활문화센터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공공간의 특성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특성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주도성이 가장 중요한 척도로 나타난다. 셋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간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자생적으로 순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특성 파악 및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공간의 한계 극복 및 잠재 발견을 통해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 하는 데 의의를 둔다.
현대의 도시환경은 변화나 발전의 속도가 급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압축적인 개발을 통해 단절된 도시화와 근대화 과정을 보여줬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과 의식은 점점 더 파편화, 개인화를 띄게 되었으며, 도시환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단편적인 도시개발 및 지역개발 또한 지역 내 구성원 간의 공동체 해체를 야기하였다. 그 간 공공공간 계획의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는 경제적인 효율성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공공공간을 지향했으며, 공공 및 전문가 주축의 정책과 사업 계획 및 추진, 물리적 개발을 우선적으로 시행했다. 최근 공동체적 삶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지역커뮤니티와 주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공간과 커뮤니티는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현시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특성의 공공공간이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모색을 필요로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점차 공공공간 활용 및 주체가 주민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과 지역커뮤니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공간 활용 주체, 디자인 특성을 통해 지역 내 주민들의 상호 커뮤니티 질적 향상과 지속가능성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공공공간의 일반적 고찰을 위해 공공공간 및 공공건축의 일반적 고찰과 지속가능성, 지역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공공공간과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분석을 위해 공공공간 디자인 특성 유형화, 유형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요소 분류, FGI(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해 세부 요소와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세부요소와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실증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지는 공공건축의 행정 공간계와 문화·복지 공간계 중 구산동 도서관마을, 산리 마을회관, 해운대구 중2동 주민센터, 군포시 노인복지관, 울주생활문화센터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공공간의 특성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특성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형성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주도성이 가장 중요한 척도로 나타난다. 셋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간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자생적으로 순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특성 파악 및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공간의 한계 극복 및 잠재 발견을 통해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 하는 데 의의를 둔다.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showed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were cut off through the rapid pace of change or development. As a result, our lives and consciousness have become increasingly fragmented and personalized, and fragmentary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develop...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showed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were cut off through the rapid pace of change or development. As a result, our lives and consciousness have become increasingly fragmented and personalized, and fragmentary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 urban environment have also caused the dissolution of communities among the members of the region. In the meantime, the theoretical framework or framework of public space planning has been oriented toward public spaces that can achieve economic efficiency, and has prioritized policies, business planning and promotion of public and expert initiatives, and physical development. Recently, to restore the relationship of communal life, the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has been rediscovered, and public spaces and commun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At this point, we need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enable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local communities. In response, this research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and lo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gradually changing public space utilization and subject matter into residents, and propose ways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mutual community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rough the subject of public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As a method of study, a general review of public space and public architecture an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ocal community were first conducted for general consideration of public space. Next, for the analysis of public space and sustainable local communities, detailed elements and items of assessment were deriv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Sustainable Community Elements by the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Public Space Design Properties and the Target Group Face Approach (FGI). Demonstration cas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last detailed elements and assessment items that were derived Among the administrative space system of public architecture and cultural and welfare space, the analysis targets were the library village in Gusan-dong, the village center in San-ri, the community center in Jungbu-dong in Haeundae-gu,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Gunpo, and the Ulju life and culture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for the formation of a sustainable local community require user-centered characteristics. Second, the initiative of local people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measure for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community.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sustainable communities in the public space, residents who use space should establish a self-sustaining circulatory system. This paper places significance on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space and finding potential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local community in the public space and presenting measures.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showed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were cut off through the rapid pace of change or development. As a result, our lives and consciousness have become increasingly fragmented and personalized, and fragmentary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 urban environment have also caused the dissolution of communities among the members of the region. In the meantime, the theoretical framework or framework of public space planning has been oriented toward public spaces that can achieve economic efficiency, and has prioritized policies, business planning and promotion of public and expert initiatives, and physical development. Recently, to restore the relationship of communal life, the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has been rediscovered, and public spaces and commun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At this point, we need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enable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local communities. In response, this research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and lo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gradually changing public space utilization and subject matter into residents, and propose ways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mutual community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rough the subject of public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As a method of study, a general review of public space and public architecture an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ocal community were first conducted for general consideration of public space. Next, for the analysis of public space and sustainable local communities, detailed elements and items of assessment were deriv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Sustainable Community Elements by the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Public Space Design Properties and the Target Group Face Approach (FGI). Demonstration cas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last detailed elements and assessment items that were derived Among the administrative space system of public architecture and cultural and welfare space, the analysis targets were the library village in Gusan-dong, the village center in San-ri, the community center in Jungbu-dong in Haeundae-gu,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Gunpo, and the Ulju life and culture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for the formation of a sustainable local community require user-centered characteristics. Second, the initiative of local people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measure for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community.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sustainable communities in the public space, residents who use space should establish a self-sustaining circulatory system. This paper places significance on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space and finding potential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local community in the public space and presenting measur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