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환경정책연구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14 no.1 = no.44, 2015년, pp.85 - 112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policy for linking and utilizing spatial data for resilient spatial planning against disaster due to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patial data in the fields of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To do so, spatial plan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자연재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100년만의 호우, 폭염, 폭설, 한파, 홍수 등 예측하지 못한 대규모 자연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도시환경의 고밀화, 복합화, 입체화로 인하여 재난으로 인한 잠재적 위험 및 연쇄적인 확산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과 같이 도시홍수관리를 위한 친환경 공간계획 기법이 도시계획 및 환경관리, 방재 부분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강정은 외, 2011; 김동현, 최희선, 2013). | |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정의는 무엇인가? | 이론적으로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은 도시와 커뮤니티가 기후변화로 인한 외생적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적인 적응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회복력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참여 기반의 의사소통적 계획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김동현 외, 2013). 하지만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공간계획 과정이나 기법에 대하여는 이미 선행연구가 진행되었고(김동현 외, 2014), 연구범위에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사회 전반적 내용을 모두 포함하기는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난에 대응하는 공간계획 수립 시 도시, 환경, 방재 분야 공간정보의 연계 및 활용방안에 초점을 두기로 한다. | |
자연재난으로 인한 잠재적 위험 및 연쇄적인 확산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한 기법은 무엇인가?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100년만의 호우, 폭염, 폭설, 한파, 홍수 등 예측하지 못한 대규모 자연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도시환경의 고밀화, 복합화, 입체화로 인하여 재난으로 인한 잠재적 위험 및 연쇄적인 확산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과 같이 도시홍수관리를 위한 친환경 공간계획 기법이 도시계획 및 환경관리, 방재 부분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강정은 외, 2011; 김동현, 최희선, 2013).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