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 다양한 국가 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과 유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국가수준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2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유아 다문화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 2019년 개정 발표 되어 2020년 3월부터 새롭게 실시되는 놀이·유아 중심의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유아와 관련된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관련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2018년도까지 ...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국가 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과 유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국가수준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2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유아 다문화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 2019년 개정 발표 되어 2020년 3월부터 새롭게 실시되는 놀이·유아 중심의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유아와 관련된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관련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2018년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대분야(사회과학)의 중분야(교육학)에 속해 있는 등재 학술지 논문 17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누리과정 시행 이후 교육학 분야 학술지 논문의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 연도별·대상별·주제별·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2020년 개정 누리과정 실시 이후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는 무엇인가? 이다. 분석은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주제의 분석은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발간한 유아교육백서(2007)의 준거와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분류를 참고한 전영은(2015) 연구의 주제를 바탕으로 ‘철학 및 발달, 교육방법,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척도개발, 교육자료, 교육정책, 교육환경, 이론고찰, 연구동향’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첫째, 한국연구재단(KCI) 대분야(사회과학) 중분야(교육학)에 발표되었던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는데, 다양한 교육·보육·사회 연구를 하는 학술지를 모두 포함하여 동향 분석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앞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발맞춰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교육활동을 제시해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적인 실·내외적 환경구성을 통해 교육환경을 제공해주고 유아 스스로가 놀이의 주인이 되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가 ‘유아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철학 및 발달’을 주제로 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유아교육기관(유치원·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원장 또는 유아교육기관과 다문화 가정에 다문화 교육을 실제 편성하여 적용·지원하는 다문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예비교사 대상 직전교육 및 현직 영·유아 교사의 보수교육에서부터 다문화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2020년 실시될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놀이를 먼저하고 내용이 만들어지는 실행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유아의 자율적인 놀이를 신장시키는 다문화적 접근의 교육환경의 연구, 유아가 자발성을 갖고 놀이를 함으로써 관찰되는 양상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놀이 중심의 수업 접근법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한다.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국가 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과 유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국가수준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2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유아 다문화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 2019년 개정 발표 되어 2020년 3월부터 새롭게 실시되는 놀이·유아 중심의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유아와 관련된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관련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2018년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대분야(사회과학)의 중분야(교육학)에 속해 있는 등재 학술지 논문 17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누리과정 시행 이후 교육학 분야 학술지 논문의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 연도별·대상별·주제별·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2020년 개정 누리과정 실시 이후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는 무엇인가? 이다. 분석은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주제의 분석은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발간한 유아교육백서(2007)의 준거와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분류를 참고한 전영은(2015) 연구의 주제를 바탕으로 ‘철학 및 발달, 교육방법,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척도개발, 교육자료, 교육정책, 교육환경, 이론고찰, 연구동향’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첫째, 한국연구재단(KCI) 대분야(사회과학) 중분야(교육학)에 발표되었던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는데, 다양한 교육·보육·사회 연구를 하는 학술지를 모두 포함하여 동향 분석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앞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발맞춰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교육활동을 제시해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적인 실·내외적 환경구성을 통해 교육환경을 제공해주고 유아 스스로가 놀이의 주인이 되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가 ‘유아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철학 및 발달’을 주제로 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유아교육기관(유치원·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원장 또는 유아교육기관과 다문화 가정에 다문화 교육을 실제 편성하여 적용·지원하는 다문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예비교사 대상 직전교육 및 현직 영·유아 교사의 보수교육에서부터 다문화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2020년 실시될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놀이를 먼저하고 내용이 만들어지는 실행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유아의 자율적인 놀이를 신장시키는 다문화적 접근의 교육환경의 연구, 유아가 자발성을 갖고 놀이를 함으로써 관찰되는 양상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놀이 중심의 수업 접근법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