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5, 2014년, pp.83 - 100  

김나림 (전주비전대학교 유아교육과) ,  권이정 (호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296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이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유아교사가 가진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고찰해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목표에 대한 관점을 알아보고 다문화교육 목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통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을 논의하고 그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이 지닌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그에 관하여 논의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총 150개를 선정하고 각 기관에 2부씩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한 후, 296부를 수거하였다.
  • 마지막으로, 배려중심 유형의 교사는 어린이들이 상호존경하고 배려하는 분위기를 통해 정의와 평등의 가치에 기초한 다문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다문화교육의 목표로 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인간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인식하게 하고 더 나아가 사회에 존재하는 편견과 차별 문제를 생각해보게 한다.

가설 설정

  • 2)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ng(2005)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해 갖는 관점과 교수 실천에 따라 교사들을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이와 같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한편으로, 교사가 가진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밝히려는 연구들도 수행되었다. Pang(2005)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해 갖는 관점과 교수 실천에 따라 교사들을 동화주의 유형(Assimilationist Teacher), 인간관계 강조 유형(Human Relations Teacher), 사회적 행동 강조유형(Social Action Teacher), 그리고 배려중심 유형(Caring-centered Teacher)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
동화주의 유형의 교사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동화주의 유형의 교사들은 다문화 어린이들이 기존의 사회 정치적 체제에 동화되도록 돕는 것이 학교교육의 목적이라고 보는 유형으로, 이를 위해서 어린이들에게 출신가정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기 보다는 주류사회의 문화를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인간관계 강조 유형의 교사들은 어린이들이 서로 편견을 극복하여 존중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다문화교육의 목표로 보았으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체험해보고 다양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다문화가족지원법 (2013). 다문화가족지원법. 서울: 여성가족부. 

  2. 모경환 (2009a).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75-99. 

  3. 모경환 (2009b).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245-270. 

  4. 모경환, 황혜원 (2007).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 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79-100. 

  5. 박미경, 엄정애 (2007). 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5-29, 

  6. 박미경, 이승연 (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 실천 형태 및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8(2), 5-27. 

  7. 서현, 이승은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8. 서현, 이승은 (2009).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89-116. 

  9. 서현아, 천희영, 위수정 (2011).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69-94. 

  10. 심성경, 변길희, 박주희 (2008). 다문화 가정 유아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183-200. 

  11. 옥장흠 (2009).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191-221. 

  12. 우희숙 (2010). 예비교사의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141-165. 

  13. 유효순, 이채호 (2011).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6). 23-40. 

  14. 윤현숙 (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1), 415-430. 

  15. 이규림, 김영옥 (2012).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3), 197-223. 

  16. 이규림, 김영옥 (2013).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181-200. 

  17. 이세나, 강순미 (2013).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95-124. 

  18. 정대현 (2009). 유아교사의 인적 변인과 다문화교육 신념이 교수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9). 219-241. 

  19. 정대현, 장지영 (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학논집, 13(1). 309-328. 

  20. 채영란, 박희숙 (2009).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71-581. 

  21.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2014).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2. 최문성, 김순자 (2009).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의 과제. 윤리교육연구, 19. 91-118. 

  23. 최충옥, 모경환 (2007).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39(4), 163-182. 

  24. 최현정 (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최현정.우민정 (2012).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315-338. 

  26. 하은영, 이승연 (2008). 유아교육 실제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반영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53-75. 

  27. Banks, J. A. (2007).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Massachusetts: Allyn & Bacon. 

  28. Derman-Sparks, L., & A. B. C. Task Force. (1992).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9. Dilworth, P. (2004).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2(2), 153-186. 

  30. Pang, V. O. (2005).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2nd ed.). New York: McGraw Hill. 

  31. Ponterotto, J. G., Baluch, S., Greig, T., & Rivera, L. (1998). Development and initial score validation of th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8(6), 1002-1016. 

  32. Seefeldt, C. (2005).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