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행된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러 고전소설 중에서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출판 빈도와 구매도가 높은 <홍길동전>, <사씨남정기>, <박씨전>을 중심으로 현대역 텍스트의 제반 상황을 고찰하였다. 몇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 온 한국고전소설은 지금의 시대상과 이념에 맞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당시 작품을 창작한 ...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행된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러 고전소설 중에서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출판 빈도와 구매도가 높은 <홍길동전>, <사씨남정기>, <박씨전>을 중심으로 현대역 텍스트의 제반 상황을 고찰하였다. 몇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 온 한국고전소설은 지금의 시대상과 이념에 맞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당시 작품을 창작한 작자층과 독자층은 성인들이었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주로 아동과 청소년에게 고전소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와 부모들은 고전소설 읽기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민간 출판사들은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며 서로 경쟁적으로 현대역 텍스트를 출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어휘와 사건 장면의 표현 등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현황들을 살펴보고 36편의 연구 자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텍스트들의 각 작품별로 언어와 사건 장면 분석 및 책 구성의 간행 형태와 삽화, 부가정보 등의 형식적 특징을 탐구하였다.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연구에서 대상 작품들의 어휘를 살펴보면, 단어의 난이도와 고유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고전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고어나 한자어는 독자층에 따라 현대어로 순화시키거나 고유성을 그대로 살려 표현하였다. 문장 종결부의 문체는 ‘-다’, ‘-ㅂ니다’, ‘-네/-어/-지’, ‘-더라’ 종결체 유형을 선택하고 있었다. 또 고전소설 문장의 율문체적 특징을 살리기 위해 연결어미와 조사들을 사용하여 고유성을 유지하고 있다. 문장이 길게 되어 있는 것은 가독성에 중점을 두고 끊어서 문장 종결 어미를 현대어로 변형해 주었다. 한편 시대상의 변화로 인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원전에서의 장면과 사건들이 현대역 텍스트에서 일부 변용되거나 삭제되기도 했다. 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삽화는 여러 삽화 유형을 선택하고 있었지만 고전소설의 원형을 전하는데 부합하는 경우는 발견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고전소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 부가정보, 다시 말해 작품에 제공되는 자료에 따라서 이해의 폭과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고전소설을 현대역할 때는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영역이었다.
주제어: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단어의 난이도, 단어의 고유성, 문장 종결부의 문체, 율문체와 가독성, 장면의 적절성, 사건 구성의 변용, 삽화 유형, 부가정보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행된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러 고전소설 중에서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출판 빈도와 구매도가 높은 <홍길동전>, <사씨남정기>, <박씨전>을 중심으로 현대역 텍스트의 제반 상황을 고찰하였다. 몇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 온 한국고전소설은 지금의 시대상과 이념에 맞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당시 작품을 창작한 작자층과 독자층은 성인들이었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주로 아동과 청소년에게 고전소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와 부모들은 고전소설 읽기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민간 출판사들은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며 서로 경쟁적으로 현대역 텍스트를 출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어휘와 사건 장면의 표현 등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현황들을 살펴보고 36편의 연구 자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텍스트들의 각 작품별로 언어와 사건 장면 분석 및 책 구성의 간행 형태와 삽화, 부가정보 등의 형식적 특징을 탐구하였다.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연구에서 대상 작품들의 어휘를 살펴보면, 단어의 난이도와 고유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고전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고어나 한자어는 독자층에 따라 현대어로 순화시키거나 고유성을 그대로 살려 표현하였다. 문장 종결부의 문체는 ‘-다’, ‘-ㅂ니다’, ‘-네/-어/-지’, ‘-더라’ 종결체 유형을 선택하고 있었다. 또 고전소설 문장의 율문체적 특징을 살리기 위해 연결어미와 조사들을 사용하여 고유성을 유지하고 있다. 문장이 길게 되어 있는 것은 가독성에 중점을 두고 끊어서 문장 종결 어미를 현대어로 변형해 주었다. 한편 시대상의 변화로 인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원전에서의 장면과 사건들이 현대역 텍스트에서 일부 변용되거나 삭제되기도 했다. 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의 삽화는 여러 삽화 유형을 선택하고 있었지만 고전소설의 원형을 전하는데 부합하는 경우는 발견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고전소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 부가정보, 다시 말해 작품에 제공되는 자료에 따라서 이해의 폭과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고전소설을 현대역할 때는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영역이었다.
주제어: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단어의 난이도, 단어의 고유성, 문장 종결부의 문체, 율문체와 가독성, 장면의 적절성, 사건 구성의 변용, 삽화 유형, 부가정보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modernized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published for children and teenagers. In particular, those which have not only been valuabl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been published and read very often are selected to exami...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modernized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published for children and teenagers. In particular, those which have not only been valuabl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been published and read very often are selected to examine how classical novels have been translated in the modern times. Those novels include Honggildongjeon (The Story of Hong Gildong), Sassinamjeonggi (The Record of Lady Sa’s Journey to the South) and Bakssijeon (The Story of Lady Bak). Korean classical novels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often have contents which are not in line with modern values. Also those novels were written by and published for adults then. Today, however, they are often read by children and teenagers in school, who are strongly encouraged to read classics. This in turn leads many publishing companies to vie for more publications of classical novels in their modernized versions. Meanwhile, a host of problems such as improper use of vocabulary and incorrect description of scenes have emerged.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have selected 36 novels after examining the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 texts. Each of them has been analyzed for the use of words, scenes, book publication types, illustratio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 for the vocabulary, its difficulty levels could be observed, and peculiarities have been shown in diverse manners. The archaic and Sino-Korean words which often appeared in classical novels are rephrased into modern Korean words, or their peculiarities are sometimes kept intact. The sentence endings are usually in the form of "...da," "...bnida," "...neh/eoh/ji," or "...duhra." In order to maintain the verse styles in the original texts and thus keep their peculiarities, connective endings and postpositions are used. In the cases where sentences are too long, they are cut into two or three shorter sentences for better readability and their endings are modified in the modern ways. In addition, some of the scenes and events in the original work which could be controversial from the modern perspective are modified or deleted. As for illustrations, there are several types of illustrations in use, and most of them are not so successful in delivering the feel of original texts. We also found that, depending on the qu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for understanding the texts better, the readers could understand the texts better or worse and they might have different viewpoints. Henc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providing illustrations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texts for children or teenagers.
Keywords: Classical Novels of Korean Literature, Modern Translations, Vocabulary Difficulty, Vocabulary Peculiarity, Literary Style of Sentence Endings, Verse Sentences & Readability, Scene Appropriateness, Variation in Event Development, Illustration Type, Additional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modernized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published for children and teenagers. In particular, those which have not only been valuabl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been published and read very often are selected to examine how classical novels have been translated in the modern times. Those novels include Honggildongjeon (The Story of Hong Gildong), Sassinamjeonggi (The Record of Lady Sa’s Journey to the South) and Bakssijeon (The Story of Lady Bak). Korean classical novels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often have contents which are not in line with modern values. Also those novels were written by and published for adults then. Today, however, they are often read by children and teenagers in school, who are strongly encouraged to read classics. This in turn leads many publishing companies to vie for more publications of classical novels in their modernized versions. Meanwhile, a host of problems such as improper use of vocabulary and incorrect description of scenes have emerged.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have selected 36 novels after examining the modern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 texts. Each of them has been analyzed for the use of words, scenes, book publication types, illustratio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 for the vocabulary, its difficulty levels could be observed, and peculiarities have been shown in diverse manners. The archaic and Sino-Korean words which often appeared in classical novels are rephrased into modern Korean words, or their peculiarities are sometimes kept intact. The sentence endings are usually in the form of "...da," "...bnida," "...neh/eoh/ji," or "...duhra." In order to maintain the verse styles in the original texts and thus keep their peculiarities, connective endings and postpositions are used. In the cases where sentences are too long, they are cut into two or three shorter sentences for better readability and their endings are modified in the modern ways. In addition, some of the scenes and events in the original work which could be controversial from the modern perspective are modified or deleted. As for illustrations, there are several types of illustrations in use, and most of them are not so successful in delivering the feel of original texts. We also found that, depending on the qu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for understanding the texts better, the readers could understand the texts better or worse and they might have different viewpoints. Henc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providing illustrations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texts for children or teenagers.
Keywords: Classical Novels of Korean Literature, Modern Translations, Vocabulary Difficulty, Vocabulary Peculiarity, Literary Style of Sentence Endings, Verse Sentences & Readability, Scene Appropriateness, Variation in Event Development, Illustration Type, Additional Information
Keyword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단어의 난이도 단어의 고유성 문장종결부의 문체 율문체와 가독성 장면의 적절성 사건 구성의 변용 삽화 유형 부가정보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명주
학위수여기관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지도교수
송성욱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vii, 168p.
키워드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단어의 난이도 단어의 고유성 문장종결부의 문체 율문체와 가독성 장면의 적절성 사건 구성의 변용 삽화 유형 부가정보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