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로열 패션 아이콘의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고, 로열 아이콘의 패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신보다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모방하면서 그들과 같아지고자 하는 심리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로열(Royal) 아이콘이 생겨났고 로열이라는 계층의 패션을 따라 하는 유행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로열과 아이콘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로열 계층 패션을 분석하여 그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의상에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로열 아이콘 중 시대별로 가장 이슈가 된 아이콘을 중심으로 1950년대 ...
본 연구에서는 로열 패션 아이콘의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고, 로열 아이콘의 패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신보다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모방하면서 그들과 같아지고자 하는 심리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로열(Royal) 아이콘이 생겨났고 로열이라는 계층의 패션을 따라 하는 유행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로열과 아이콘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로열 계층 패션을 분석하여 그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의상에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로열 아이콘 중 시대별로 가장 이슈가 된 아이콘을 중심으로 1950년대 그레이스 켈리 (Grace Kelly), 1980년대 다이애나 스펜서(Lady Diana Frances Spencer), 2000년대 케이트 미들턴(Catherine Elizabeth Middleton)을 선정 그들의 패션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아이콘의 이미지는 그레이스 켈리가 결혼한 1956년부터 생애를 마감하게 된 1982년까지의 총 237장의 의상 사진 자료를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다이애나 스펜서는 1981년부터 1996년 찰스 황태자와 파경을 맞기 전까지 착용한 의상을 범위로 총 369장의 의상 사진을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케이트 미들턴의 경우 윌리엄 왕자와 결혼한 2011년부터 결혼 이후 2019년 12월까지 케이트가 착용한 의상 중 총 425장의 의상 사진을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아이템, 실루엣, 길이, 디테일, 문양, 색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열 패션 아이콘의 패션 경향은 유행에 민감하게 변화를 주지는 않지만 트렌드의 일부를 반영하여 세련되고 단아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였고, 실루엣과 아이템에서는 많은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아이템들이 지적이며 신뢰감을 주는 단정한 스타일의 재킷과 스커트가 코디된 투피스나 여성스러움이 강조된 원피스 아이템이 많이 보였고, 실루엣은 단정하고 세련된 H형의 실루엣과 여성스럽고 우아한 X형의 실루엣이 많이 보였다. 길이는 각 패션 아이콘들의 개성에 맞춰 나타났는데, 대부분이 니렝스, 노말렝스, 미디길이를 착용해 고급스럽고 단정한 느낌을 나타냈다. 디테일이나 문양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은 깔끔한 스타일을 선호했으며, 문양보다 컬러를 사용해 본인의 이미지를 나타냈다. 색채에서는 화려함보다는 단정하고 신뢰적인 느낌을 주는 색상의 의상들을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로열 아이콘들의 패션 스타일은 왕족으로서의 품위와 지도층으로서의 신뢰감을 바탕으로 한 의상 스타일이 대부분이었지만, 보수적인 스타일 안에서도 각자의 개성을 표현해 변화를 주어 현대 패션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는 많은 연구가 없는 로열 아이콘들의 로열 패션에 대해 분석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고감도의 차별화된 로열 패션에 관련된 브랜딩이나 로열 계층의 패션을 모방하고자 하는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스타일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열 패션 아이콘의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고, 로열 아이콘의 패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신보다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모방하면서 그들과 같아지고자 하는 심리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로열(Royal) 아이콘이 생겨났고 로열이라는 계층의 패션을 따라 하는 유행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로열과 아이콘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로열 계층 패션을 분석하여 그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의상에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로열 아이콘 중 시대별로 가장 이슈가 된 아이콘을 중심으로 1950년대 그레이스 켈리 (Grace Kelly), 1980년대 다이애나 스펜서(Lady Diana Frances Spencer), 2000년대 케이트 미들턴(Catherine Elizabeth Middleton)을 선정 그들의 패션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아이콘의 이미지는 그레이스 켈리가 결혼한 1956년부터 생애를 마감하게 된 1982년까지의 총 237장의 의상 사진 자료를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다이애나 스펜서는 1981년부터 1996년 찰스 황태자와 파경을 맞기 전까지 착용한 의상을 범위로 총 369장의 의상 사진을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케이트 미들턴의 경우 윌리엄 왕자와 결혼한 2011년부터 결혼 이후 2019년 12월까지 케이트가 착용한 의상 중 총 425장의 의상 사진을 최종 연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아이템, 실루엣, 길이, 디테일, 문양, 색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열 패션 아이콘의 패션 경향은 유행에 민감하게 변화를 주지는 않지만 트렌드의 일부를 반영하여 세련되고 단아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였고, 실루엣과 아이템에서는 많은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아이템들이 지적이며 신뢰감을 주는 단정한 스타일의 재킷과 스커트가 코디된 투피스나 여성스러움이 강조된 원피스 아이템이 많이 보였고, 실루엣은 단정하고 세련된 H형의 실루엣과 여성스럽고 우아한 X형의 실루엣이 많이 보였다. 길이는 각 패션 아이콘들의 개성에 맞춰 나타났는데, 대부분이 니렝스, 노말렝스, 미디길이를 착용해 고급스럽고 단정한 느낌을 나타냈다. 디테일이나 문양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은 깔끔한 스타일을 선호했으며, 문양보다 컬러를 사용해 본인의 이미지를 나타냈다. 색채에서는 화려함보다는 단정하고 신뢰적인 느낌을 주는 색상의 의상들을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로열 아이콘들의 패션 스타일은 왕족으로서의 품위와 지도층으로서의 신뢰감을 바탕으로 한 의상 스타일이 대부분이었지만, 보수적인 스타일 안에서도 각자의 개성을 표현해 변화를 주어 현대 패션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는 많은 연구가 없는 로열 아이콘들의 로열 패션에 대해 분석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고감도의 차별화된 로열 패션에 관련된 브랜딩이나 로열 계층의 패션을 모방하고자 하는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스타일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shion styles of three royal fashion icons. The study identified the fashion styles of royal icons through the clothes used by them. People attempted to emulate those of a higher status by imitating them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s a resul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shion styles of three royal fashion icons. The study identified the fashion styles of royal icons through the clothes used by them. People attempted to emulate those of a higher status by imitating them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s a result, royal icons are identified, and trends are created that follow the fashion styles of these icon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royal” and “icon”, and examined how the royal class expressed their image through clothes, by analyzing the fashion styles of three memb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photographs were conducted. Among the Royal icons, Grace Kelly of 1950s, Lady Diana Spencer of 1980s, and Catherine Middleton of the 2000s, respectively,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ir fashion characteristics. The styles of each icon were studied through the photographs of their clothes. For Grace Kelly, a total of 237 photos ranging from 1956 when she got married to 1982 when her life ended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iana Spencer, 369 photos of clothes worn from 1981 to 1996 before her breakup with Prince Charles were selected. In the case of Kate Middleton, 425 photo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costumes she wore from 2011 when she married Prince William to December 2019. The parameters of analysis, identified by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were: item, silhouette, length, detail, pattern, and col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shion trend of royal icons does not sensitively bring a change to the trend, but represents a refined and elegant image by reflecting a part of the trend, and does not have much change in silhouette and item. Most of the items were dignified and there were many two-piece outfits with a neat style jacket and skirt that gave a sense of trust or one-piece items that emphasized femininity. As for the silhouette, smart and sophisticated H-line silhouettes and feminine and elegant X-line silhouettes were often observed. Although the length appear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ity of each fashion icon, most of them wore knee length, normal length, and midi length outfits to express a luxurious and graceful feeling. In terms of detail or pattern, most of them preferred a style unique to them, and expressed their own image by using color rather than pattern. In terms of color, they were found to select colors that give a well-groomed and trustworthy feeling rather than flashy colors. Most of the fashion styles of the royal icons were based on their dignity as royalty and trust as leaders, but even within such conservative styles, they expressed their individuality and made changes, giving them a profound influence on the modern fashion wor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has analyzed the fashion styles of royal icons, which have not much been studied earlier. It aimed to present a styling method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who want to imitate the branding related to royal fashion, differentiated with high sensitivity or fashion of the royal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shion styles of three royal fashion icons. The study identified the fashion styles of royal icons through the clothes used by them. People attempted to emulate those of a higher status by imitating them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s a result, royal icons are identified, and trends are created that follow the fashion styles of these icon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royal” and “icon”, and examined how the royal class expressed their image through clothes, by analyzing the fashion styles of three memb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photographs were conducted. Among the Royal icons, Grace Kelly of 1950s, Lady Diana Spencer of 1980s, and Catherine Middleton of the 2000s, respectively,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ir fashion characteristics. The styles of each icon were studied through the photographs of their clothes. For Grace Kelly, a total of 237 photos ranging from 1956 when she got married to 1982 when her life ended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iana Spencer, 369 photos of clothes worn from 1981 to 1996 before her breakup with Prince Charles were selected. In the case of Kate Middleton, 425 photo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costumes she wore from 2011 when she married Prince William to December 2019. The parameters of analysis, identified by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were: item, silhouette, length, detail, pattern, and col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shion trend of royal icons does not sensitively bring a change to the trend, but represents a refined and elegant image by reflecting a part of the trend, and does not have much change in silhouette and item. Most of the items were dignified and there were many two-piece outfits with a neat style jacket and skirt that gave a sense of trust or one-piece items that emphasized femininity. As for the silhouette, smart and sophisticated H-line silhouettes and feminine and elegant X-line silhouettes were often observed. Although the length appear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ity of each fashion icon, most of them wore knee length, normal length, and midi length outfits to express a luxurious and graceful feeling. In terms of detail or pattern, most of them preferred a style unique to them, and expressed their own image by using color rather than pattern. In terms of color, they were found to select colors that give a well-groomed and trustworthy feeling rather than flashy colors. Most of the fashion styles of the royal icons were based on their dignity as royalty and trust as leaders, but even within such conservative styles, they expressed their individuality and made changes, giving them a profound influence on the modern fashion wor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has analyzed the fashion styles of royal icons, which have not much been studied earlier. It aimed to present a styling method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who want to imitate the branding related to royal fashion, differentiated with high sensitivity or fashion of the royal cla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