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이텔스바흐합의에 기초한 통일교육 발전방안 연구 :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도덕 2」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최슬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측정평가및통일통합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의 통일교육은 그동안 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정부의 변화에 따라 통일교육의 강조점이 변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이에 따라 통일교육이 교육으로서의 독자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수의 학자들은 이념 대립을 극복하고 정치교육의 발전을 이끌어 낸 독일의 ‘보이텔스바흐합의’에 주목하여, 보이텔스바흐합의가 우리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거시적 차원의 연구가 주를 이루며 미시적 차원에서 보이텔스바흐합의가 우리 통일교육의 실행에 있어서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상이다. 보이텔스바흐합의가 최소한의 원칙으로서 우리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있지만, 독일과 우리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배제하고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보이텔스바흐합의가 우리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보이텔스바흐합의가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이 무엇인지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이텔스바흐합의 세 원칙을 기준으로 통일교육의 실행적 차원을 미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국가 차원의 통일교육지침서와의 관계 속에서 분석하였다. 이로써 보이텔스바흐합의가 통일교육의 실천적 차원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일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 논의로 통일교육의 운영체계 및 특징과 현재 학교 교육에 적용되고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 내의 통일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보이텔스바흐합의의 핵심내용과 이 합의가 한국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런 후, 이 합의의 세 가지 원칙을 9가지 분석기준으로 상세화한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과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중학교 「도덕 2」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을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결과, 보이텔스바흐합의의 각 원칙이 지향하는 ‘학습자의 자립적 판단능력 함양,’‘학습자의 비판적 판단능력 함양,’‘학습자의 실천적 참여능력 함양’과 맥을 같이 하는 교육목표들이 이미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과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존재하고 있었다. 다만, 이상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론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었다.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경우, 첫째, 교육목표 및 중점방향이 통일‧북한 문제에 대한 해석의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는 것이 효과적인 것인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통일교육의 주 내용이 실제 사회에서는 상당히 논쟁적으로 다뤄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비판적 판단능력 함양을 위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 셋째, 통일‧북한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 주가 되는 것이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 동기를 유발하는 데 효과적인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경우, 첫째, 통일에 대한 도덕적 해석이나 도덕적 탐구가 곧 통일의 당위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도덕적 사고능력을 어떠한 방식으로 탐구하도록 할 것인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거시적 차원의 통일문제가 개인의 미시적 일상과도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어떻게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도덕 2」 교과서의 경우, 첫째, 가치 함의적 서술은 학습자의 자율적 탐구의 기회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특정 입장을 강조하여 편견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 내용과 관련된 논쟁점을 그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통일문제를 국가‧사회적 차원을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학습자의 실천적 참여능력 함양을 제한하는 문제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통일교육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통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논쟁성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학적 고찰을 통하여 학습자의 실천적 참여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통일교육지침서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통일문제 당사자로서의 학습자의 자립적‧비판적 판단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관점 전환이 필요하다. 넷째, 보이텔스바흐합의와 같은 우리식 통일교육 합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failed in maintaining consistency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it changed as the regime changes. As a result, Unification Education could not maintain the independence and consistency as an education. The scholars in the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studied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최슬기
학위수여기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측정평가및통일통합교육전공
지도교수 권성아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ⅸ, 134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577947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