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놀이지원 양상을 교사의 경험적 회고와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유아의 놀 권리가 보장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놀이지원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2020년 9월 초부터 말까지 인천의 다른 행정구역에 속한 6학급 규모의 사립유치원 2곳에 근무하는 총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각 2회씩 총 4회에 걸쳐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놀이지원 양상을 교사의 경험적 회고와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유아의 놀 권리가 보장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놀이지원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2020년 9월 초부터 말까지 인천의 다른 행정구역에 속한 6학급 규모의 사립유치원 2곳에 근무하는 총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각 2회씩 총 4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놀이가 기본적으로 유아에게 흥미와 즐거움, 몰입, 호기심과 배움의 과정을 충족시켜주며, 유아의 즐겁고 행복할 권리를 지켜주는 삶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유아 놀 권리’에 대해서는 아직 용어 자체에는 낯설음, 생소함, 다소 막연하고 모호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유아놀이가 그냥 ‘놀이’가 아닌 ‘권리로서의 놀이’의 놀이신념으로 유지되고, 놀이가 존중되는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유아 놀 권리를 인식이 정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놀이하는 유아에 대한 믿음, 충분한 놀이시간 제공 및 시간의 고정관념 탈피, 활발한 놀이를 지지하는 놀이공간 확보 그리고 다양한 교재교구 제공으로 놀이를 지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놀이의 가치 인정과 허용 및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유아들의 자유의사 존중과 호혜적 관계속 합의, 놀이 관찰을 통한 적절한 개입 등으로 놀이효과를 증진하며 유아 놀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다각적·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부 유아만이 아닌 모든 유아들이 놀이의 주체로서 놀이존중과 보장을 위한 놀이지원 전략과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원하지 않는 유아의 대그룹활동 참여, 자칫 놀이중단으로 치부될 수 있는 정리시간과 유아 놀 권리와의 관계를 고심하며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권리로서의 유아 놀이 존중을 위한 긍정의 과도기로 예상할 수 있었다. 한편 유아 놀 권리 존중에 있어 교육현장의 어려움으로 놀 권리 존중과 허용의 선 찾기, 유아 놀 권리와 위험한 놀이 및 안전규제에 대한 고민, 유아놀이 관찰과 평가의 모호성, 놀이 존중에 있어 부모와의 견해 차이를 갈등하며 당면한 다양한 요구의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유아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요구로 먼저 자구적 측면에 있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놀 권리 인식교육 필요, 놀이전문가로서의 교사 역량 증진 및 원장의 유아 놀 권리 정립과 실제 교육운영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또한 놀이운영에 적합한 교사 대 유아 비율 축소, 교사의 근무환경 개선, 효율적인 행정업무, 과정중심 교육활동 지향 등 유아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교사의 의지에 기반한 행정적 제도적 개선 요구의 절실함을 전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사회적 측면으로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위 및 신분 보장, 유아놀이의 가치와 놀 권리에 대한 부모와 사회의 인식변화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 위생과 안전에 대한 지나친 걱정과 사회분위기 축소, 위험감수 놀이와 같은 놀이특성을 잘 나타내는 신체놀이의 적극 지원, 제약보다 선택과 기회가 확대된 놀이환경 제공 등 유아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법적 제도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유아교육현장과 부모, 사회, 국가의 올바른 인식을 고취하고 유아 놀 권리 회복과 보장의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놀이지원 양상을 교사의 경험적 회고와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유아의 놀 권리가 보장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놀이지원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2020년 9월 초부터 말까지 인천의 다른 행정구역에 속한 6학급 규모의 사립유치원 2곳에 근무하는 총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각 2회씩 총 4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놀이가 기본적으로 유아에게 흥미와 즐거움, 몰입, 호기심과 배움의 과정을 충족시켜주며, 유아의 즐겁고 행복할 권리를 지켜주는 삶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유아 놀 권리’에 대해서는 아직 용어 자체에는 낯설음, 생소함, 다소 막연하고 모호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유아놀이가 그냥 ‘놀이’가 아닌 ‘권리로서의 놀이’의 놀이신념으로 유지되고, 놀이가 존중되는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유아 놀 권리를 인식이 정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 놀 권리 존중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놀이하는 유아에 대한 믿음, 충분한 놀이시간 제공 및 시간의 고정관념 탈피, 활발한 놀이를 지지하는 놀이공간 확보 그리고 다양한 교재교구 제공으로 놀이를 지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놀이의 가치 인정과 허용 및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유아들의 자유의사 존중과 호혜적 관계속 합의, 놀이 관찰을 통한 적절한 개입 등으로 놀이효과를 증진하며 유아 놀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다각적·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부 유아만이 아닌 모든 유아들이 놀이의 주체로서 놀이존중과 보장을 위한 놀이지원 전략과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원하지 않는 유아의 대그룹활동 참여, 자칫 놀이중단으로 치부될 수 있는 정리시간과 유아 놀 권리와의 관계를 고심하며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권리로서의 유아 놀이 존중을 위한 긍정의 과도기로 예상할 수 있었다. 한편 유아 놀 권리 존중에 있어 교육현장의 어려움으로 놀 권리 존중과 허용의 선 찾기, 유아 놀 권리와 위험한 놀이 및 안전규제에 대한 고민, 유아놀이 관찰과 평가의 모호성, 놀이 존중에 있어 부모와의 견해 차이를 갈등하며 당면한 다양한 요구의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유아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요구로 먼저 자구적 측면에 있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놀 권리 인식교육 필요, 놀이전문가로서의 교사 역량 증진 및 원장의 유아 놀 권리 정립과 실제 교육운영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또한 놀이운영에 적합한 교사 대 유아 비율 축소, 교사의 근무환경 개선, 효율적인 행정업무, 과정중심 교육활동 지향 등 유아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교사의 의지에 기반한 행정적 제도적 개선 요구의 절실함을 전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사회적 측면으로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위 및 신분 보장, 유아놀이의 가치와 놀 권리에 대한 부모와 사회의 인식변화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 위생과 안전에 대한 지나친 걱정과 사회분위기 축소, 위험감수 놀이와 같은 놀이특성을 잘 나타내는 신체놀이의 적극 지원, 제약보다 선택과 기회가 확대된 놀이환경 제공 등 유아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법적 제도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유아교육현장과 부모, 사회, 국가의 올바른 인식을 고취하고 유아 놀 권리 회복과 보장의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genuinely guaranteed by analyz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aspect of play suppor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genuinely guaranteed by analyz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aspect of play suppor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preschoolers, focusing on the teachers' empirical retrospectives and case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 on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How is the aspect of play support in preschool education fields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young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regarding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focus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a total of 4 times: 2 times each, with 8 teachers working in 2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Incheon, operating about 6 classes each, throughout September 2020. The conclusions acquired by conducting this study are shown hereafter.
First, teachers perceived play as basically a “life,” which gives the interest, enjoyment, immersion, curiosity, satisfies the process of learning for young children and protects young children's right to feel pleasant and happy. On the other hand, the term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itself was unfamiliar, strange, somewhat vague, and imprecise for the teachers. The teachers cited that early childhood play should be maintained as a play belief of “play as a right,” not merely as “play.” Moreover, the teachers asserted that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hat respects playing,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play in childre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support play by believing in playing children, providing sufficient playtime, growing out from the stereotype of time, securing a sufficient space to play where supports active play, and providing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eachers were actively supporting the children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promote play effects and respect the right to play, by recognizing the value of play and creating an atmosphere of freedom, respecting children's free will, agreeing in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nd intervening appropriately through observing the playing. The teachers said that they were in a dilemma as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not wanting to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clean-up time, when could be regarded as a stop sign of playing, and the right to play. However, such agony could also be considered as a sign of a positive transition to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field regarding the respect of the right to play, such as finding a borderline between respect for and allowing play rights, contemplating about the right to play and dangerous play and safety measures for children, ambiguity i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lay, and conflict with parents regarding the respect for play. In this vein, the teachers also emphasized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at the field is facing.
Third, regarding the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teachers primarily insisted on the need for awareness education for play rights in terms of self-reliance.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in teacher’s skill as a play specialist, the establishment of rights from the head of the kindergarten, and the reflection of the right to play in actual educ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teachers showed the urgent need for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grounded on the teachers’ will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such as reduc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to be suitable for managing play, improving th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efficient administrative work, and course-oriented educational activities.
Finally, in policy and social aspects, the necessity of the social status and status guarantee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change in perceptions and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by parents and society about the value of young children’s play and the right to play were suggested. In addition, teachers disclosed that urgent improvements in the legal system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such as reducing exorbitant worries about hygiene and safety, actively supporting physical play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lay well, like risk-taking play, and providing a play environment with more options and opportunities than applying restrictions, are necessary.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 data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arents, society, and the country in the correct way regarding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o establish policies for restoring and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genuinely guaranteed by analyz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aspect of play suppor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preschoolers, focusing on the teachers' empirical retrospectives and case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 on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How is the aspect of play support in preschool education fields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young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regarding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focus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a total of 4 times: 2 times each, with 8 teachers working in 2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Incheon, operating about 6 classes each, throughout September 2020. The conclusions acquired by conducting this study are shown hereafter.
First, teachers perceived play as basically a “life,” which gives the interest, enjoyment, immersion, curiosity, satisfies the process of learning for young children and protects young children's right to feel pleasant and happy. On the other hand, the term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itself was unfamiliar, strange, somewhat vague, and imprecise for the teachers. The teachers cited that early childhood play should be maintained as a play belief of “play as a right,” not merely as “play.” Moreover, the teachers asserted that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hat respects playing,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play in childre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o respect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support play by believing in playing children, providing sufficient playtime, growing out from the stereotype of time, securing a sufficient space to play where supports active play, and providing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eachers were actively supporting the children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promote play effects and respect the right to play, by recognizing the value of play and creating an atmosphere of freedom, respecting children's free will, agreeing in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nd intervening appropriately through observing the playing. The teachers said that they were in a dilemma as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not wanting to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clean-up time, when could be regarded as a stop sign of playing, and the right to play. However, such agony could also be considered as a sign of a positive transition to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field regarding the respect of the right to play, such as finding a borderline between respect for and allowing play rights, contemplating about the right to play and dangerous play and safety measures for children, ambiguity i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lay, and conflict with parents regarding the respect for play. In this vein, the teachers also emphasized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at the field is facing.
Third, regarding the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teachers primarily insisted on the need for awareness education for play rights in terms of self-reliance.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in teacher’s skill as a play specialist, the establishment of rights from the head of the kindergarten, and the reflection of the right to play in actual educ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teachers showed the urgent need for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grounded on the teachers’ will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such as reduc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to be suitable for managing play, improving th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efficient administrative work, and course-oriented educational activities.
Finally, in policy and social aspects, the necessity of the social status and status guarantee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change in perceptions and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by parents and society about the value of young children’s play and the right to play were suggested. In addition, teachers disclosed that urgent improvements in the legal system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such as reducing exorbitant worries about hygiene and safety, actively supporting physical play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lay well, like risk-taking play, and providing a play environment with more options and opportunities than applying restrictions, are necessary.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 data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arents, society, and the country in the correct way regarding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to establish policies for restoring and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