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놀 권리 보장조례의 이행과 놀이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조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Right to Play and the Practice of Play: Focusing on the Ordinance of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6, 2020년, pp.1 - 17  

김정화 (목포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has been implemented well and investigate play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nam-do. Res...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7)

  1. 강명숙 (2012). 학생인권조례 제정의 교육적 의의. 법과인권교육연구, 5(2), 1-15. 

  2. 관계부처합동 (2015). 제1차('15-'19) 아동정책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3. 관계부처합동 (2019). 포용국가 아동정책. 세종: 보건복지부. 

  4. 김정화, 김갑순 (2019).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대상과 놀이유형별 소요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2(3), 55-70. doi:10.20325/KCA.2019.12.3.55 

  5. 김정화 (2019). 농촌지역 아동의 놀이충분성과 놀이만족도가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9(9), 625-633. doi:10.35873/ajmahs.2019.9.9.054 

  6. 김젤나, 이재연 (2007). 학교에서 아동의 참여권 행사와 적응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1(2). 167-185. 

  7. 박현선 (2020).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놀이공간 조성과 지역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69(2). 175-201. doi:10.24300/jkscw.2020.6.69.2.175 

  8. 염유식, 김경미, 이미란 (2014).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 조사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9. 유혜경 (2018). 신체적 놀이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기우, 하승수 (2007). 지방자치법. 서울: 대영문화사 

  11. 이숙재 (2019). 영유아 놀이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2.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6. 4). 전국시도교육청 어린이 놀 권리 정책 추진현황. 어린이 놀 권리 보장, 학교가 나서자 자료집, 서울. 

  13. 전라남도교육청 (2018. 3). 2019. 어린이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지원 계획. https://www.jne.go.kr/sse/na/ntt /selectNttInfo.do?mi796&bbsId385&nttSn1729715에서 2019년 05월 1일 인출 

  14. 법제처 (2018. 1). 전라남도교육청 어린이 놀 권리 보장에 관한 조례.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gubunKLAW&ordinSeq1290579&viewClsordinInfoP &conDatGubunC0&urlModeordinScJoRltInfoR&ordinId2173796&vSct%EB%86%80 +%EA%B6%8C%EB%A6%AC&chrClsCd010202&lgovOrgCd849에서 2019년 05월 1일 인출 

  15. 정우진, 염두승, 김난현, 김경렬 (2002). 초등학생들의 놀이활동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2(1), 281-290. 

  16. 조영제, 송현진 (2005). 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1(1), 141-154. 

  17.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4). 대한민국 아동을 말한다: '아동의, 아동에 의한, 아동을 위한' 2014 어린이 연구원(Greeny) 연구보고서. 서울: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18. 황옥경, 김정화, 명준희 (2019).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8), 286-294. doi:10.5762/KAIS.2019.20.8.286 

  19. 황옥경, 한유미, 김정화 (2014).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서울: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권리학회. 

  20. Anthamatten, P., Brink, L., Lampe, S., Greenwood, E., Kingston, B., & Nigg, C. (2011). An Assessment of Schoolyard Renovation Strategies to Encourag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8(1), 1-9. doi:10.1186/1479-5868-8-27. 

  21. Burghardt, G. M. (2011). Defining and recognizing play. In A. D. Pellegrini (Ed.), The Oxford handbook of the development of play (pp. 9-18).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2. Daly, L., & Beloglovsky, M. (2015). Introducing loose parts to preschoolers. Teaching Young Children, 9(1), 18-20. 

  23. Jones, P., & Walker, G. (2011). Children's rights in practice. London: Sage. 

  24. Harber, V., & Schleppe, S. (2010). Promoting Early Physical Literacy in Alberta. Well Spring, 21(4), 1-5. 

  25. Hirsh-Pasek, K., Golinkoff, R. M., Berk, L. E., & Singer, D. G. (2008). A Mandate for Playful Learning in Preschool: Presenting the Evid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Panksepp, J. (2007). Can play diminish ADHD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 brain? Journal of Canadi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6(2), 57-66. 

  27. Prilleltensky, I. (2005). Promoting well-being: time for a paradigm shift in health and human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3, 53-60. doi:10.1080/140349505100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