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 개발과 척도의 타당화 두 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척도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놀이민감성 관련 문헌고찰 및 유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척도의 구성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 및 개방형 설문 자료를 토대로 선정된 구성요인에 따라 예비문항 68개를 개발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1, 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고, 이후 유아교육․보육현장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항적합성 및 이해도 검증을 받았다. 이후 최종적으로 전문가 2인의 검증을 거쳐 4개의 요인 57개의 예비문항이 구성되었다. 척도의 타당화 단계에서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 개발과 척도의 타당화 두 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척도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놀이민감성 관련 문헌고찰 및 유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척도의 구성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 및 개방형 설문 자료를 토대로 선정된 구성요인에 따라 예비문항 68개를 개발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1, 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고, 이후 유아교육․보육현장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항적합성 및 이해도 검증을 받았다. 이후 최종적으로 전문가 2인의 검증을 거쳐 4개의 요인 57개의 예비문항이 구성되었다. 척도의 타당화 단계에서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판별타당도 검증, 공인타당도 검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만 3-5세 담임교사로 재직 중인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25문항이 추출되었다. 이후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집중-판별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델 적합도 지수가 모두 권장 적합도 수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의 모형 적합성이 입증되었고, 집중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 민감성 척도와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이 개발한 놀이교수효능감 척도와의 상관관계 검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3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교사 놀이민감성을 측정함에 있어 신뢰로운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척도의 내용, 내적인 구조, 외적인 근거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도 또한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는 5점 리커트식 척도로, ‘놀이지원’ 요인 9문항, ‘놀이해석’ 요인 5문항, ‘유아이해’ 요인 6문항, ‘놀이관찰’ 요인 5문항으로 총 4개 요인 25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교사 놀이민감성 개념을 정의하고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를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미뤄봤을 때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는 시의적으로 현장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 놀이민감성 관련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유아교육·보육현장에서 교사 스스로 자신의 놀이민감성 수준을 살펴보고 분석해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 개발과 척도의 타당화 두 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척도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놀이민감성 관련 문헌고찰 및 유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척도의 구성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 및 개방형 설문 자료를 토대로 선정된 구성요인에 따라 예비문항 68개를 개발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1, 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고, 이후 유아교육․보육현장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항적합성 및 이해도 검증을 받았다. 이후 최종적으로 전문가 2인의 검증을 거쳐 4개의 요인 57개의 예비문항이 구성되었다. 척도의 타당화 단계에서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판별타당도 검증, 공인타당도 검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만 3-5세 담임교사로 재직 중인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25문항이 추출되었다. 이후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집중-판별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델 적합도 지수가 모두 권장 적합도 수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의 모형 적합성이 입증되었고, 집중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 민감성 척도와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이 개발한 놀이교수효능감 척도와의 상관관계 검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3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교사 놀이민감성을 측정함에 있어 신뢰로운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척도의 내용, 내적인 구조, 외적인 근거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도 또한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는 5점 리커트식 척도로, ‘놀이지원’ 요인 9문항, ‘놀이해석’ 요인 5문항, ‘유아이해’ 요인 6문항, ‘놀이관찰’ 요인 5문항으로 총 4개 요인 25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교사 놀이민감성 개념을 정의하고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를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미뤄봤을 때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는 시의적으로 현장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 놀이민감성 관련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유아교육·보육현장에서 교사 스스로 자신의 놀이민감성 수준을 살펴보고 분석해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on young childrens's play, and then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such as development of scale and validation of scale. In the stage of scale development, first, the factors o...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on young childrens's play, and then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such as development of scale and validation of scale. In the stage of scale development, first, the factors of scale were selected through literary review on the play sensitivity and an open-ended survey targeting total 110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that, total 68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factors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literary review and open-ended survey data. Those selected factors and preliminary items received the first & second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from an expert group, and then received the verification of goodness-of-fit and understanding of items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care sites. After that, total four factors and 57 preliminary items were composed through the final verification by two experts. In the stage of scale validati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verification, concurr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513 homeroom teachers of children in their 3-5 year old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otal four factors and 25 items were extracted. After that, in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verification by using the AMOS 21.0, all the model goodness-of-fit indexes met the recommended goodness-of-fit level, so that the model goodness-of-fit of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was verified, and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secured. After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infant teacher’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by Min, Kwang-Mi(2014) and verifying the correlation with the play teaching efficacy developed by Sin, Eun-Soo, Yoo, Yeong, & Park, Hyeon-Kyeong(2004). Lastly, the whol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93, which showed that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would be a reliable tool for measuring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Like this,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secu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scale contents, internal structure, and external basis. Finally,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was composed of total four factors and 25 items including nine items of ‘play support’ factor, five items of ‘play interpretation’ factor, six items of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five items of ‘play observ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by defining the concept of teacher play sensitivi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specially, considering the time flow showing the young children/play-centered curriculum,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has reflected the timely necessity of site, which is more significant. Also,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establishing the basis of researches related to the play sensitivity, and also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play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mselv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care sites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on young childrens's play, and then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such as development of scale and validation of scale. In the stage of scale development, first, the factors of scale were selected through literary review on the play sensitivity and an open-ended survey targeting total 110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that, total 68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factors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literary review and open-ended survey data. Those selected factors and preliminary items received the first & second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from an expert group, and then received the verification of goodness-of-fit and understanding of items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care sites. After that, total four factors and 57 preliminary items were composed through the final verification by two experts. In the stage of scale validati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verification, concurr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513 homeroom teachers of children in their 3-5 year old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otal four factors and 25 items were extracted. After that, in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verification by using the AMOS 21.0, all the model goodness-of-fit indexes met the recommended goodness-of-fit level, so that the model goodness-of-fit of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was verified, and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secured. After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infant teacher’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by Min, Kwang-Mi(2014) and verifying the correlation with the play teaching efficacy developed by Sin, Eun-Soo, Yoo, Yeong, & Park, Hyeon-Kyeong(2004). Lastly, the whol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93, which showed that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would be a reliable tool for measuring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Like this,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secu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scale contents, internal structure, and external basis. Finally,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was composed of total four factors and 25 items including nine items of ‘play support’ factor, five items of ‘play interpretation’ factor, six items of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five items of ‘play observ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by defining the concept of teacher play sensitivi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specially, considering the time flow showing the young children/play-centered curriculum, the teacher play sensitivity scale has reflected the timely necessity of site, which is more significant. Also,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establishing the basis of researches related to the play sensitivity, and also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play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mselv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care sites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