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ar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5, 2015년, pp.95 - 113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which could be used to evaluate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parents with thei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mprised 408 mothers of 4-6-year-old children. Means, standard deviation, $x^2$, Cramer's V,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아들의 수학적 성취가 타고난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유아들이 경험하는 수학적 경험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Clements, 2001; NAEYC & NCTM, 2002; NCTM, 2000) 우리는 유아기에 접하는 일상적인 수학적 경험에 주목해야 한다. 2013년부터 영유아보육교육기관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누리과정에서도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비형식적 지식을 활용하면서 수학적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데에 목표를 둔다. 최근에는 일상생활의 맥락 속에서 유아가 자신이 이해한 직관적이고 비형식적인 수학적 개념을 재설명, 재조직, 수량화, 추상화, 일반화, 표상화하는 등의 수학화(mathematizing)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Cross, Woods, & Schweingruber, 2009).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질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부모 면접조사를 통해 문항을 제작하여 문항양호도와 타당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사전조사, 본 조사 2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 조사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만 4, 5세)를 둔 어머니 9명을 면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수학적 태도란? 여기서 말하는 유아의 수학적 능력이란 유아가 이해하고 있는 수학적 개념과 지식을 통해서 합리적인 사고를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Hong, 2004), 수와 연산, 공간과 도형, 측정, 규칙성, 자료수집과 결과의 다섯 가지 내용의 수학적 능력이 있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그리고 수학적 태도란 수학에 대한 생각과 특별한 행동양식(Kim, 2004)으로, 유아의 수학적 태도는 유아들이 수학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지며, 수학에 접근하는 방식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Han, 2003; Kim, 2005).
수학의 목표는? 수학은 단순히 수를 계산하는 학문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Koestler, Felto, Bieda, Otten, & NCTM, 2013). 특히 유아기에는 유아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비형식적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탐구하고, 주위의 또래 및 성인과 수학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접법을 통한 수학적 상호작용의 연구에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먼저 면접법은 현재 한국의 유아기 부모들의 일상적인 수학교육 현실을 밝혀내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면접법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유아가 속한 가정의 전반적인 상황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러나 면접법은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중요한 측면을 도출해내어 타당한 질문지를 개발하는 선행 작업으로 유용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연령별누리과정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 장영애(1981). 가정환경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Anderson, A. (1997). Families and mathematics: A study of parent-child intera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 484-511. 

  4. Askew, M., Brown, M., Rhodes, V., Johnson, D., & William, D. (1997). Effective teachers of numeracy: Report of a study carried out for the teacher training agency 1995-96 by school of Education. London: King's College. 

  5.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ey. 

  6. Cannon, J., & Ginsburg, H. P. (2008). “Doing the math: Maternal beliefs about early mathematics versus language learn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2), 238-260. 

  7. Choi, B.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mathematics education environment at home, and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H., & Chung. C. (2007).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on the children's number concep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4), 377-399. 

  9. Choi, H., & Lee, H. (2005). The effects of learner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2), 27-48. 

  10. Clements, D. H. (2001). Mathematics in the preschool.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5), 270-275. 

  11. Cooke, B. D., & Buchholz, D. (2005).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A teacher makes a differ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2(6), 365-369. 

  12. Cross, C. T., Woods, T. A., & Schweingruber, H. (Eds.)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3. Eloff, L., Maree, J. G., & Miller, L. H. (2006). The role of parents' learning facilitation mode in supporting informal learning in mathematic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6(3), 313-328. 

  14. Ginsburg, H. P., Lee, J. S., & Boyd, J. S. (2008).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at it is and how to promote it. Social Policy Report, 22(1), 3-22. 

  15. Han, J. (2007).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status of home mathematics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4), 29-54. 

  16. Han, J. H. (2003). A study of construction and effects on a inquiry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Hong, H. K. (2004). The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math tasks done during free play time in kindergarten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2), 173-191. 

  18. Hong, H. K. (2010). The differences in “math talks” during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h storybook use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5), 63-77. 

  19. Hong, H. K. (2011). The effects of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zing,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bil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5-29. 

  20. Kang, S. (2012).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 for home mathematic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lation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o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y.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2(2), 85-99. 

  21. Kim, H. A. (2002). A study on the parents' role to mathematical activitie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9(1), 115-147. 

  22. Kim, J. (2012). The effect of project activity based on role play on 5-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6), 115-127. 

  23. Kim, J. J., & Park, H. S. (2008).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arents' level of understanding,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regarding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7(4), 77-92. 

  24. Kim, J., & Kim, J. M. (2013). A research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5), 97-108. 

  25. Kim, M. (2005). A study of change for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 through investigation based number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Kim, M., & Kim, S. (2014).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using mathematic-related fairy tales based on mathematizing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Korea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15(1), 97-119. 

  27. Kim, S. H. (2004). Development of mathematical games as an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 and mathematical attitu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Y. J., & Lee, J. A. (2013). Mother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9(1), 177-195. 

  29.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30. Koestler, C., Felton, M. D., Bieda, K., & Otten, S,. & NCTM (2013). Connecting the NCTM process standards and the CCSSM practice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 Lee, G. G., & Lee, J. W. (2010). Teachers' approach and teaching strategies in kindergarten math-activ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5), 291-310. 

  32. Lee, H. (2011). A survey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on status of parent-child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at hom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4), 745-757. 

  33. Lee, H., & Park, H. (2010). The effects of a parent-child interaction and usability of mathematical media in home on children's number concep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1), 171-190. 

  34. Lee, J. W., & Lee, S. J. (2010).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aching in the kindergart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4), 341-357. 

  35. Lee, Y. (2006).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use of base-ten and place value materials and children's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USA. 

  36. Levin, S. C., Suriyakham, L. W., Rowe, M. L., Huttenlocher, J., & Gunderson, E. A. (2010). What counts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number knowledge?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309-1319. 

  37.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sa. 

  38.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C. : NAEYC. 

  3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40. Sarama, J., & Clements, D. H. (2007). Manual for Classroom Observation (COMMET) - Version 3. Unpublished version. 

  41. Shin, N. J. (2010). The effects of family related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use of story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ception of par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2. Young-Loveridge, J. M. (2004). Effect of early numeracy of program using number books and ga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1), 82-9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