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 용어가 생소하고 어려워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관광학 어휘 연구는 다소 미진한 상태여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광학 어휘 선정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1장에서는 관광학과에 진학하는 유학생 및 관광 시장 현황,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전공어휘에 어려움을 느낌을 언급함으로써 연구 목적을 밝힌다. 그리고 기존에 이루어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 연구 및 관광 분야 어휘 선정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한다. 2장에서는 일반 목적 한국어와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문 목적 어휘인 기초어휘, 기본어휘, ...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 용어가 생소하고 어려워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관광학 어휘 연구는 다소 미진한 상태여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광학 어휘 선정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1장에서는 관광학과에 진학하는 유학생 및 관광 시장 현황,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전공어휘에 어려움을 느낌을 언급함으로써 연구 목적을 밝힌다. 그리고 기존에 이루어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 연구 및 관광 분야 어휘 선정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한다. 2장에서는 일반 목적 한국어와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문 목적 어휘인 기초어휘, 기본어휘, 전문어휘의 개념과 학술 테스트에 등장하는 어휘 유형 간 관계를 서술한다. 3장에서는 관광학 어휘의 개념 및 특성을 정리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광학 어휘 선정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한다. 어휘 선정 기준은 ‘필요성, 유용성 및 활용성, 시대성’이며, 어휘 선정 방법은 절충적 방법이다. 개론적 성격의 관광학 교재 4권을 선정하여 어휘 색인(찾아보기)을 직접 입력하고, 맞춤법 및 띄어쓰기 등의 교정 작업을 한다. 이를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및 전공 용어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지 비교해 본다. 그리고 관광학 전공자 5명이 어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관광학 어휘를 A/B/C등급으로 판정한다. 4장에서는 최종 선정된 관광학 어휘를 토대로 ‘범주별 관광학 어휘’로 분석하고, ‘관광학 기초어휘’를 정의하며, A등급 관광학 전공어휘를 우선하여 제시한다. 범주별 관광학 어휘는 관광학을 11개의 범주, ‘관광의 이해, 관광 산업, 관광자 행동/관광 의사 결정, 관광 마케팅, 관광 인적 자원 관리, 관광 정보·기술, 관광 경제·회계·재무·위험 경영, 관광 자원·개발, 관광 정책·조직·행정·법규, 오락·스포츠·문화, 관광의 분류’로 구분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면서 마무리한다. 관광 및 관광학의 낙관적인 미래를 전망하며, 본 연구의 관광학 어휘 목록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관광학 전공 강의 수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 대학 진학 예정인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전공 학습을 마친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관광학 전공 수학에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관광학 전공어휘 후속 연구 및 어휘 목록 구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 용어가 생소하고 어려워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관광학 어휘 연구는 다소 미진한 상태여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광학 어휘 선정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1장에서는 관광학과에 진학하는 유학생 및 관광 시장 현황,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전공어휘에 어려움을 느낌을 언급함으로써 연구 목적을 밝힌다. 그리고 기존에 이루어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 연구 및 관광 분야 어휘 선정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한다. 2장에서는 일반 목적 한국어와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문 목적 어휘인 기초어휘, 기본어휘, 전문어휘의 개념과 학술 테스트에 등장하는 어휘 유형 간 관계를 서술한다. 3장에서는 관광학 어휘의 개념 및 특성을 정리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광학 어휘 선정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한다. 어휘 선정 기준은 ‘필요성, 유용성 및 활용성, 시대성’이며, 어휘 선정 방법은 절충적 방법이다. 개론적 성격의 관광학 교재 4권을 선정하여 어휘 색인(찾아보기)을 직접 입력하고, 맞춤법 및 띄어쓰기 등의 교정 작업을 한다. 이를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및 전공 용어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지 비교해 본다. 그리고 관광학 전공자 5명이 어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관광학 어휘를 A/B/C등급으로 판정한다. 4장에서는 최종 선정된 관광학 어휘를 토대로 ‘범주별 관광학 어휘’로 분석하고, ‘관광학 기초어휘’를 정의하며, A등급 관광학 전공어휘를 우선하여 제시한다. 범주별 관광학 어휘는 관광학을 11개의 범주, ‘관광의 이해, 관광 산업, 관광자 행동/관광 의사 결정, 관광 마케팅, 관광 인적 자원 관리, 관광 정보·기술, 관광 경제·회계·재무·위험 경영, 관광 자원·개발, 관광 정책·조직·행정·법규, 오락·스포츠·문화, 관광의 분류’로 구분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면서 마무리한다. 관광 및 관광학의 낙관적인 미래를 전망하며, 본 연구의 관광학 어휘 목록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관광학 전공 강의 수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 대학 진학 예정인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전공 학습을 마친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관광학 전공 수학에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관광학 전공어휘 후속 연구 및 어휘 목록 구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the terminology of their major is unfamiliar and difficult. Accordingly, although research on Korean vocabulary for academic purpose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urism vocabulary research is rather incomple...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the terminology of their major is unfamiliar and difficult. Accordingly, although research on Korean vocabulary for academic purpose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urism vocabulary research is rather incomplete. This study was developed as follows. Chapter 1 reveals the purpose of the study, by mentioning the current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Tourism, as well as looking at Korean learn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have with their vocabulary fluency related to their specific majors. Also looking at what the difficulties might be with Korean students and learning the required vocabulary for their specific majors. In addition,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on vocabulary select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Korean learners, specifically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field of tourism. Chapter 2 summarizes the concepts of general-purpose Korean and academic Korean. Additionally,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In chapter 2 we will also look at which vocabulary are for academic purposes, as well as the types of vocabulary appearing in academic tests. Chapter 3 summariz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vocabulary, as well as presents the criteria and methods for the selection of tourism vocabulary. The vocabulary selection criteria that are used are 'necessity, usefulness, utility and trend of the times'. The vocabulary selection method was eclectic. I received four selected books about tourism as well as the audio. From the four selected introductory tourism textbooks, I directly put them in the lexical index (search) and corrected the spelling and spacing. Then I compared this to the vocabulary list offered by the Korean education and the glossary for tourism majors. Then based on the five tourism majors, I applied the vocabulary selection criteria, to determine the tourism major vocabularies and the A/B/C grades of those vocabularies. Chapter 4 defines the ‘basic vocabulary for tourism studies’ based on the final selected vocabulary. A-grade tourism major vocabulary is presented first. Then it is analyzed by the ‘tourism major vocabulary by category’. Taking the list and arranging it according to priority. “Tourism major vocabulary by category” covers tourism in 11 different categories which are, 'understanding tourism, tourism industry, tourist behavior/tourism decision-making, tourism marketing, tourism human resource management, tourism information and technology, tourism economy, accounting, finance and risk management, tourism resources/development, tourism policy/organization/administration/regulation, entertainment/sports/culture, and tourism category.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concludes by clarifying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Prospecting the optimistic future of tourism and tourism studies, it is hoped that the vocabulary list of tourism studie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at take courses in tourism.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general-purpose Korean learners who are planning to enter university and vocational learners who have completed their major studies in tourism major math. Additionally, the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ollow-up research on tourism major vocabulary and to build a better vocabulary list.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the terminology of their major is unfamiliar and difficult. Accordingly, although research on Korean vocabulary for academic purpose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urism vocabulary research is rather incomplete. This study was developed as follows. Chapter 1 reveals the purpose of the study, by mentioning the current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Tourism, as well as looking at Korean learn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have with their vocabulary fluency related to their specific majors. Also looking at what the difficulties might be with Korean students and learning the required vocabulary for their specific majors. In addition,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on vocabulary select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Korean learners, specifically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field of tourism. Chapter 2 summarizes the concepts of general-purpose Korean and academic Korean. Additionally,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In chapter 2 we will also look at which vocabulary are for academic purposes, as well as the types of vocabulary appearing in academic tests. Chapter 3 summariz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vocabulary, as well as presents the criteria and methods for the selection of tourism vocabulary. The vocabulary selection criteria that are used are 'necessity, usefulness, utility and trend of the times'. The vocabulary selection method was eclectic. I received four selected books about tourism as well as the audio. From the four selected introductory tourism textbooks, I directly put them in the lexical index (search) and corrected the spelling and spacing. Then I compared this to the vocabulary list offered by the Korean education and the glossary for tourism majors. Then based on the five tourism majors, I applied the vocabulary selection criteria, to determine the tourism major vocabularies and the A/B/C grades of those vocabularies. Chapter 4 defines the ‘basic vocabulary for tourism studies’ based on the final selected vocabulary. A-grade tourism major vocabulary is presented first. Then it is analyzed by the ‘tourism major vocabulary by category’. Taking the list and arranging it according to priority. “Tourism major vocabulary by category” covers tourism in 11 different categories which are, 'understanding tourism, tourism industry, tourist behavior/tourism decision-making, tourism marketing, tourism human resource management, tourism information and technology, tourism economy, accounting, finance and risk management, tourism resources/development, tourism policy/organization/administration/regulation, entertainment/sports/culture, and tourism category.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concludes by clarifying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Prospecting the optimistic future of tourism and tourism studies, it is hoped that the vocabulary list of tourism studie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at take courses in tourism.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general-purpose Korean learners who are planning to enter university and vocational learners who have completed their major studies in tourism major math. Additionally, the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ollow-up research on tourism major vocabulary and to build a better vocabulary li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